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7

2020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B'책형)_6~10번 풀이 6. 의 ㉠에 해당하는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만적을 통해 ㉠이 최충헌임을 알 수 있습니다. 최충헌 집권기 사노비였던 만적은 신분 해방과 정권 탈취를 목적으로 난을 일으키고자 하였으나 실패하였습니다. ​ ① 교정도감을 설치하여 국정을 장악하는 한편 도방을 통해 군사적 기반을 강화하였다. → 최충헌(최충헌은 국정을 관장하는 최고 권력 기구로 교정도감을 설치하였고, 경대승이 조직하였던 사병 집단인 도방을 확대 설치하였습니다) ​ ②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여 억울하게 노비가 된 자를 해방하였다. → 광종(광종은 후삼국 시기 불법으로 노비가 된 이들을 양인으로 해방시키는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였습니다) ​ ③ 풍수지리설을 앞세워 서경천도를 적극 추진하였다. → 묘청(묘청은 풍수지리설을 바탕으로 서경 천.. 2023. 1. 29.
2020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B'책형)_1~5번 풀이 1. 의 밑줄 친 ‘그’의 저술로 가장 옳은 것은? 당나라 유학 포기, 종파 갈등 융화, 화쟁국사를 통해 밑줄 그은 그가 통일 신라의 ​원효임을 알 수 있습니다. 원효는 의상과 함께 당으로 유학을 가던 중 해골물을 마시고 모든 것은 마음 먹기에 달렸다는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이에 유학을 포기하고 신라에서 활동하였는데, 특히 여러 종파 간의 갈등을 융합하는 화쟁 사상을 강조하였습니다. ​ ① 『해동고승전』 → 각훈(고려 고종 때 왕명에 따라 각훈이 우리나라 고승들에 대해 정리한 『해동고승전』을 편찬하였습니다) ​ ② 『대승기신론소』 → 원효(원효는 불교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대승기신론소』를 저술하였습니다) ​ ③ 『왕오천축국전』 → 혜초(통일 신라의 혜초는 당, 인도, 중앙아시아를 순례하고 기행.. 2023. 1. 29.
2021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보훈청 추천, 'A'책형)_16~20번 풀이 16. 조선 후기 상업과 무역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영조는 금난전권을 폐지하여 사상들이 시전상인과 자유롭게 경쟁할 수 있게 하였다. → X(금난전권을 폐지한 왕은 정조입니다) ​ ② 경강상인들은 각 지방의 공물을 대납하고 부를 축적하였다. → X(각 지방의 공물을 대납하고 부를 축적하는 방납은 중앙 관청의 서리, 시전 상인들이 자행한 것입니다. 경강상인은 한강을 근거지로 미곡 등의 운송을 장악하여 거상으로 성장하였고, 조선 후기에는 조운까지 담당하였습니다) ​ ③ 18세기에는 상품 경제가 발달하면서 동전과 더불어 환(換)·어음 등의 신용화폐가 사용되었다. → O(조선 후기에는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로 동전 사용량이 증가하였으나 대규모 거래에는 어렵다는 한계가 나타나 환, 어음 등의 신.. 2023. 1. 29.
2021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보훈청 추천, 'A'책형)_11~15번 풀이 11. 의 신라의 발전 과정을 시간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 ㄱ. 대가야를 정복하였다. → 진흥왕(562, 진흥왕이 보낸 이사부에 의해 대가야가 멸망하였습니다) ​ ㄴ. 우산국을 복속시켰다. → 지증왕(512, 지증왕은 이사부를 파견하여 우산국을 복속하였습니다) ​ ㄷ. 기벌포에서 당군을 격파하였다. → 문무왕(676, 문무왕 때 당의 수군을 기벌포에서 섬멸하였습니다) ​ ㄹ. 율령을 반포하고, 불교를 수용하였다. → 법흥왕(520~527, 법흥왕은 520년에 율령을 반포하여 중앙 집권적 고대 국가 체제를 정비하였고, 527년에 이차돈의 순교를 통해 불교를 공인하였습니다. 사실 이 문제는 약간 혼동의 여지가 있습니다. 신라가 불교를 수용한 것은 눌지왕 때이고, 법흥왕 때에는 공인을 한 것이기 때문입.. 2023. 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