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시 한국사/2021

2021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보훈청 추천, 'A'책형)_16~20번 풀이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1. 29.
반응형

 

16. 조선 후기 상업과 무역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영조는 금난전권을 폐지하여 사상들이 시전상인과 자유롭게 경쟁할 수 있게 하였다.

→ X(금난전권을 폐지한 왕은 정조입니다)

② 경강상인들은 각 지방의 공물을 대납하고 부를 축적하였다.

→ X(각 지방의 공물을 대납하고 부를 축적하는 방납은 중앙 관청의 서리, 시전 상인들이 자행한 것입니다. 경강상인은 한강을 근거지로 미곡 등의 운송을 장악하여 거상으로 성장하였고, 조선 후기에는 조운까지 담당하였습니다)

③ 18세기에는 상품 경제가 발달하면서 동전과 더불어 환(換)·어음 등의 신용화폐가 사용되었다.

→ O(조선 후기에는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로 동전 사용량이 증가하였으나 대규모 거래에는 어렵다는 한계가 나타나 환, 어음 등의 신용 화폐가 등장하였습니다)

④ 의주 만상은 중국과 일본 사이에서 양자를 중개하며 큰 이득을 남겼다.

→ X(중국과 일본 사이에서 양자를 중개하여 큰 이득을 남긴 대표적인 사상은 개성의 송상입니다. 송상의 의주의 만상과 동래의 내상을 중계하였는데, 의주의 만상은 대청 무역을, 동래의 내상은 대일 무역을 주도하였습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17. <보기>의 주장을 한 사람은?

영업전 안에서 사고파는 것을 살핀다는 것을 통해 <보기>의 주장을 한 인물이 이익임을 알 수 있습니다. 

① 허목 

→ 허목은 농촌의 자급자족적인 경제를 지향한 경세치용 학파의 실학자였습니다.

② 이익

→ 이익은 영업전을 기반으로 점진적인 토지 균등을 추구한 한전론을 주장하였습니다. 

③ 유형원 

→ 유형원은 신분에 따라 토지를 차등 있게 지급하여 자영농을 육성하자는 균전론을 주장하였습니다.

④ 정약용

→ 정약용은 농지 공동 소유, 노동량에 따른 차등 분배를 주장한 여전론, 토지 국유제에 바탕을 둔 정전제 등을 주장하였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18. 독립협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아관파천 이후 열강의 이권침탈이 자행되자 자주독립의 달성을 추구하며 1896년 7월에 창립되었다.

→ O(독립 협회는 아관 파천 이후 열강의 이권 침탈이 심화되자 서재필 등이 자주독립 등을 주장하여 창설한 단체입니다)

② 황국협회 소속 보부상들은 만민공동회에 참여해 독립협회의 주장에 힘을 실었다.

→ X(보수 세력은 황국 협회를 동원하여 독립 협회를 해산하였습니다)

③ 러시아가 군사 및 재정권을 장악하고 절영도를 조차하려 하자 반러운동을 전개했다.

→ O(독립 협회는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저치, 한러은행 폐쇄, 러시아 재정 고문과 군사 교련단 철수 등 이권 수호 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④ 창립 초기에는 왕실에서도 재정적으로 지원하며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다.

→ O(서재필은 정부의 지원을 받아 독립신문을 창간하였고, 이를 통해 독립 협회를 창설하였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19. <보기>는 일제의 국권 침탈 과정을 시기순으로 나열한 것이다.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가)는 을사늑약(제2차 한·일 협약)입니다.

① 외교권을 빼앗고, 통감부를 설치하였다.

→ 을사늑약(일본은 을사늑약 체결을 강요하여 대한 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고, 통감부를 설치하였습니다)

② 일본이 한반도 내의 주요한 군사적 요충지를 점령하였다.

→ 한·일 의정서(일본은 한·일 의정서를 통해 대한 제국의 독립과 영토 안정을 보장하는 대신 한반도의 주요 군사적 요충지를 점령하였습니다)

③ 일본인 차관을 두어 내정을 장악하고 군대를 해산하였다.

→ 정미 7조약(일본은 정미 7조약을 통해 일본인 차관을 두도록 강요하였고, 부속 조약으로 군대를 해산하였습니다)

④ 재정, 외교 등 각 분야에 일본이 추천하는 고문을 두어 내정을 간섭하였다.

→ 제1차 한·일 협약(일본은 제1차 한·일 협약을 통해 재정(메가타), 외교(스티븐스) 등에 일본이 추천하는 고문을 두도록 하였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20. <보기>의 (가)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이 대통령(이승만)은 즉시 물러나라, 부정 선거(3·15 부정 선거) 다시 하라를 통해 (가)가 4·19 혁명임을 알 수 있습니다. 4·19 혁명 당시 서울 시내 대학교수들이 이승만 대통령의 퇴진 등을 요구하는 시국 선언문을 채택하고, 시위를 전개하였습니다. 결국 이승만은 하야하였습니다. 

① 고려대학교 학생들의 시위를 시작으로 서울에서 대대적인 시위가 벌어졌다.

→ 4·19 혁명(4월 18일 시위 후 학교로 돌아가던 고려대 학생들이 정치 폭력배의 습격을 받았는데, 이는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습니다)

② 마산에서 시위 도중 최루탄을 맞고 숨진 학생의 시체가 발견되었다.

→ 4·19 혁명(3·15 부정 선거에 대항하는 마산 시위 도중 최루탄을 맞고 숨진 김주열 학생의 시체가 발견되었습니다)

③ 연세대학교 학생 이한열이 시위 도중 최루탄에 맞아 사망하였다.

→ 6월 민주 항쟁(연세대 학생 이한열이 시위 도중 최루탄에 맞아 사망한 것은 6월 민주 항쟁 때의 일입니다)

④ 허정을 수반으로 하는 과도정부가 수립되었다.

→ 4·19 혁명(4·19 혁명의 결과 이승만이 하야하고 허정을 수반으로 하는 과도 정부가 수립되었습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