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리직 한국사/20224 2022년 계리직 한국사 해설_16~18번 16. 다음 ‘시정방침’에 따른 통치가 이루어지던 시기에 일어난 대중운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통 경찰을 통해 제시된 ‘시정방침’에 따른 통치가 1920년대의 문화 통치임을 알 수 있다. 일제는 3·1 운동 이후 무단 통치의 한계를 인식하고, 통치 방식을 소위 문화 통치로 바꾸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헌병 경찰 제도를 보통 경찰 제도로 바꾸었지만 실제로는 경찰 인력이 더 증가하여 기만적인 통치였음을 알 수 있다. ① 전국적 규모의 노동자조직으로서 조선노동공제회가 결성되었다. → O(조선 노동 공제회가 결성된 것은 1920년의 일이다) ② 빈농을 주체로 한 토지혁명을 주장하는 농민조합운동이 일어났다. → X(토지 혁명 등을 주장한 농민 조합 운동은 1930년대에 일어났다) ③ 대중운동 전국적 조직화의 일.. 2022. 12. 3. 2022년 계리직 한국사 해설_11~15번 11. 밑줄 친 ( ) 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젊고 재능 있는 문신들을 교육하는 인재 양성 정책은 정조 때 실시한 초계문신제이고, 이를 담당한 기관은 규장각이다. 정조는 신진 인물이나 중하급 관리 중 유능한 인사를 재교육하는 초계문신제를 실시하였다. ① 학문 및 정책 연구를 위하여 경복궁 안에 설치되었다. → X(규장각은 창덕궁 안에 설치되었다) ② 왕명 출납 등 국왕 측근에서 비서실의 기능을 하였다. → X(왕명 출납 등을 담당한 기구는 승정원이다) ③ 정책을 비판하는 삼사의 하나로 국왕의 자문에 응하였다. → X(삼사 중 하나로 국왕의 자문에 응한 기관은 홍문관이다) ④ 창덕궁 후원에 설치되어 수만 권의 서적을 보관하였다. → O(규장각은 창덕궁 후원에 설치되어 본래는 역대 왕의 글, 책을.. 2022. 12. 3. 2022년 계리직 한국사 해설_6~10번 6. 다음의 시(詩)를 지은 작자가 생존했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동국이상국집』은 이규보(1168~1241)가 지은 것이다. 이규보는 고려 최씨 무신 정권기에 생존하였던 인물이다. ① 별무반을 조직하여 여진을 정벌하였다. → X(별무반은 고려 숙종 때 윤관의 건의에 따라 편성된 군대로, 1107년 예종 때 윤관이 별무반을 이끌고 여진을 정벌하였다) ② 거란이 보낸 사신을 유배 보냈다. → X(고려 태조는 거란이 수교를 위해 보낸 낙타를 굶겨 죽이고, 사신을 유배 보내는 만부교 사건(942)을 일으켰다) ③ 고려 국왕이 나주로 피난했다. → X(11세기 거란의 제2차 침입 때 현종이 나주로 피난하였다) ④ 경찰 업무를 수행하는 야별초를 만들었다. → O(최씨 무신 정권기에 최우는 야간 순찰,.. 2022. 12. 3. 2022년 계리직 한국사 해설_1~5번 1. 밑줄 친 ( )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우역을 통해 신라 소지 마립간에 대해 묻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소지 마립간은 국가 공문서를 전달하기 위해 사방에 우역을 설치하였다. ① 처음으로 수도에 시장을 열어 사방의 물자를 유통시켰다. → 소지 마립간(소지 마립간 때 사방의 물화가 유통될 수 있도록 경주에 시사(시장)를 열었다) ② 중앙관서를 22부로 정비하고 수도를 5부로 편제하였다. → 성왕(중앙 관서를 22부로 정비하고 수도를 5부로 편제한 것은 백제 성왕 때의 일이다) ③ 우산국으로 불리던 울릉도를 정복하여 영토로 편입하였다. → 지증왕(이사부를 파견하여 우산국으로 불리던 울릉도를 정복한 왕은 신라 지증왕이다) ④ 9주와 5소경을 설치하여 지방행정을 새롭게 정비하였다. → 신문.. 2022. 12.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