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직 한국사/20224

2022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가'책형)_16~20번 풀이 1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문화유산은? 주심포 양식,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을 통해 안동 봉정사 극락전에 대한 설명임을 알 수 있습니다. ​ ① 서울 흥인지문 → X(서울 흥인지문은 조선 시대의 성문으로, 일반적으로는 동대문이라고 불립니다) ​ ② 안동 봉정사 극락전 → O(고려 시대에 주심포 양식으로 건축된 안동 봉정사 극락전은 현존하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입니다. 주심포 양식이란 공포가 기둥 위에만 짜여져 있는 건축 양식으로, 고려 전기에 유행하였습니다) ​ ③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 X(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은 고려 시대 주심포 양식의 건축물로, 배흘림 기둥, 팔작 지붕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④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 X(합천 해인사 장경판전은 조선 시대에 팔.. 2023. 1. 8.
2022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가'책형)_11~15번 풀이 11. (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헌병 경찰제, 3·1 운동을 통해 (가) 시기가 무단 통치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일제는 대한 제국을 강제 병합한 이후 헌병 경찰제를 실시하는 등 강압적인 통치를 자행하였습니다. 이때를 무단 통치라고 합니다. 이에 반발해 우리 민족은 1919년 3월 1일 만세 운동을 일으켰습니다(3·1 운동) ​ ① 토지 조사령이 공포되었다. → 무단 통치(무단 통치기 일제는 우리나라의 토지를 수탈하기 위해 토지 조사령을 공포하고, 토지 조사 사업을 실시하였습니다) ​ ② 창씨개명 조치가 시행되었다. → 민족 말살 통치(한국인의 성씨를 일본식으로 바꾸는 창씨개명은 민족 말살 통치기에 시행되었습니다) ​ ③ 초등 교육 기관의 명칭이 국민학교로 변경되었다. → 민족 말살 통.. 2023. 1. 8.
2022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가'책형)_6~10번 풀이 6. (가)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대조영의 아들, 인안을 통해 (가) 왕이 발해 무왕​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발해는 대조영이 세운 나라이고, 대조영의 뒤를 이어 무왕이 즉위하였습니다. 발해는 인안 등의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습니다. ​ ① 수도를 상경성으로 옮겼다. → 문왕 등(발해는 여러 차례 수도를 옮겼는데, 문왕 때 동모산, 중경, 상경, 동경 등으로 천도하였고, 성왕 때 동경에서 상경으로 재천도하였습니다) ​ ② ‘해동성국’이라고 불릴 만큼 전성기를 이루었다. → 선왕 이후(발해가 중국으로부터 ‘바다 동쪽의 융성한 나라’라는 의미의 ‘해동성국’으로 불린 것은 선왕 이후의 일입니다) ​ ③ 장문휴를 시켜 당의 등주(산둥성)를 공격하였다. → 무왕(발해 무왕은 대당 강경책을 전개하여 장문.. 2023. 1. 8.
2022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가'책형)_1~5번 풀이 1. 다음 풍습이 있었던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족 공동 무덤인 커다란 목곽에 안치하였다는 것을 통해 제시된 풍습이 있었던 나라가 ​옥저임을 알 수 있습니다. 옥저에서는 가족이 죽으면 시체를 임시로 매장하였다가 그 뼈를 추려 가족 공동 무덤인 목곽에 안치하는 골장제가 있었습니다. ​ ① 민며느리제라는 혼인 풍습이 있었다. → 옥저(일종의 매매혼인 민며느리제는 옥저의 혼인 풍습이었습니다) ​ ② 제가가 별도로 사출도를 다스렸다. → 부여(마가, 우가, 저가, 구가 등의 제가들이 별도로 사출도를 다스린 나라는 부여입니다) ​ ③ 소도라는 신성 구역이 존재하였다. → 삼한(신성 구역인 소도가 존재한 나라는 삼한입니다) ​ ④ 무천이라는 제천행사를 열었다. → 동예(무천이라는 제천 행사가 있었던 나.. 2023.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