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회직 한국사/20204

2020년 국회직 9급 한국사 해설_16~20번 16. 일제 시대 국학운동에 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신채호는 역사를 ‘인류 사회의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이라고 규정하고 민족주의 사학을 주장하였다. → O(신채호는 『조선상고사』에서 역사를 아와 비아의 투쟁이라고 보았다) ② 백남운은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에 입각하여 한국사의 발전과정을 변증법적 역사발전 법칙에 따라 서술하였다. → O(백남운은 마르크스 역사학에 바탕을 두고 한국사를 세계사적 보편성 위에서 체계화하려고 하였다) ③ 정인보는 ‘민족의 혼’을 강조하고, 저술을 통해 국가를 구성하고 있는 두 요소를 ‘혼’과 ‘백’이라고 하였다. → X(민족의 혼을 강조한 인물은 박은식이다. 정인보는 민족 정신으로 얼을 강조하였다) ④ 문일평은 ‘조선심’을 강조하고 조선심의 결정체로서 ‘조선글.. 2023. 3. 4.
2020년 국회직 9급 한국사 해설_11~15번 11. (가), (나)의 토지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경종, 인품만 가지고 등급을 정하였다는 것을 통해 시정 전시과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경종은 전현직 관리를 대상으로 관직, 인품을 고려해 시정 전시과를 실시하였다. (나) 과전을 통해 과전법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공양왕 때 신진 사대부의 경제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경기 지방 토지를 대상으로 과전법을 실시하였다. ① (가) - 무인에 대한 차별대우가 사라졌다. → X(무인에 대한 차별 대우가 사라진 것은 경정 전시과 때의 일이다) ② (가) - 전지와 시지를 함께 지급하였다. → O(전시과는 전지와 시지의 수조권을 지급하는 제도였다) ③ (나) - 수신전, 휼양전 등이 마련되었다. → O(과전법에서는 관리가 사망하면 .. 2023. 3. 4.
2020년 국회직 9급 한국사 해설_6~10번 6. ㄱ∼ㄹ의 ‘이 책’이 편찬된 순서로 옳은 것은? ㄷ. 이 책은 고구려 건국 영웅을 소재로 서사시를 지은 것으로, 고구려 전통을 계승하려는 의식이 강조되어 있다. → 「동명왕편」(고구려 건국 영웅을 소재로 서사시를 지은 책은 이규보의 「동명왕편」(1193)이다) ㄱ. 이 책은 단군 신화를 서술하면서 예맥, 부여, 옥저, 삼한, 삼국이 모두 단군의 후손임을 밝혀 놓았다. → 『제왕운기』(단군 신화를 수록하였고, 예맥, 부여, 옥저, 삼한, 삼국을 모두 단군의 후손으로 밝혀 놓은 책은 이승휴의 『제왕운기』(1287)이다) ㄴ. 이 책은 고려의 역사를 편년체와 강목체를 결합하여 서술한 것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강목체 사서로 평가된다. → 『본조편년강목』(고려의 역사를 편년체, 강목체로 결합하여 서술한 책은.. 2023. 3. 4.
2020년 국회직 9급 한국사 해설_1~5번 1. 의 밑줄 친 ‘이 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만을 에서 모두 고르면? 직전법을 통해 밑줄 친 ‘이 왕’이 조선 세조임을 알 수 있다. 세조는 현직 관리에게만 토지를 지급하는 직전법을 실시하고, 수신전, 휼양전을 폐지하였다. ㄱ. 상서사에서 맡고 있던 인사권을 이조와 병조에 귀속시켜 6조의 기능을 강화하였다. → X(상서사의 인사권을 이조, 병조에 귀속시켜 6조의 기능을 강화한 왕은 조선 태종이다) ㄴ. 6조 판서들이 국왕에게 직접 보고하는 제도를 부활하여 왕권을 강화하였다. → O(세조는 6조 판서들이 국왕에게 직접 보고하는 6조 직계제를 부활하여 왕권을 강화하였다) ㄷ. 문하부의 낭사를 사간원으로 독립시켜 언론 기능을 강화하고 대신들을 견제하도록 하였다. → X(왕권 강화를 위해 문하부의 낭사를 사간.. 2023.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