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7

2019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2회, 'A'책형)_6~10번 풀이 6. 고려시대 군사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북방의 양계지역에는 주현군을 따로 설치하였다. → X(양계 지역에 설치된 군대는 주진군이었습니다. 주현군은 5도에 편성된 군대였습니다) ​ ② 2군(二軍)인 응양군과 용호군은 왕의 친위부대였다. → O(고려의 중앙군인 2군은 국왕의 친위부대로, 응양군, 용호군으로 구성되었습니다) ​ ③ 6위(六衛) 중의 감문위는 궁성과 성문수비를 맡았다. → O(6위 중 하나인 감문위는 궁성을 경비하였습니다) ​ ④ 직업군인인 경군에게 군인전을 지급하고 그 역을 자손에게 세습시켰다. → O(고려의 중앙군은 경군이라고도 불리는데, 직업 군인 중심으로 편성되었습니다. 이들은 군인전을 지급받았고, 그 역을 자손에게 세습하였습니다) ​ 정답은 ①입니다. 7... 2023. 1. 29.
2019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2회, 'A'책형)_1~5번 풀이 1. 고조선을 주제로 한 학술 대회를 개최할 경우, 언급될 내용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① 위만의 이동과 집권 과정 → 고조선(중국의 진한 교체기에 위만이 한반도에 들어왔습니다. 준왕의 신임을 받은 위만은 서쪽 변경을 수비하였는데, 세력을 확대한 후 준왕을 축출하고 왕위에 올랐습니다) ​ ② 진대법과 빈민 구제 → 고구려(진대법은 고구려 고국천왕이 실시한 빈민 구제 정책입니다) ​ ③ 범금 8조(8조법)에 나타난 사회상 → 고조선(고조선에는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범금 8조(8조법)가 있었습니다. 범금 8조(8조법)의 내용을 통해 고조선에서는 생명, 노동력, 사유 재산을 중시하였고, 형벌과 노비 제도가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④ 비파형 동검 문화권과 국가의 성립 → 고조선(고조선은 .. 2023. 1. 29.
2020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B'책형)_16~20번 풀이 16. 의 밑줄 친 ‘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었다는 것은 만파식적을 의미하고, 이는 통일 신라 ​신문왕 때 만들어졌습니다. 만파식적은 불기만 하면 나라에 평안이 온다는 피리인데, 이는 왕권의 안정을 도모하며 만들어진 것이었습니다. ​ ① 녹읍을 부활시켰다. → 경덕왕(경덕왕 때 귀족층의 반발로 관료전이 폐지되고 녹읍이 부활하였습니다) ​ ② 9주 5소경을 설치하였다. → 신문왕(신문왕 때 9주 5소경의 지방 제도를 정비하였습니다) ​ ③ 정전을 지급하였다. → 성덕왕(성덕왕 때 국가의 토지 지배력을 확보하기 위해 백성들에게 정전을 지급하였습니다) ​ ④ 고구려 부흥운동을 지원하였다. → 문무왕(문무왕은 고구려 보장왕의 서자 안승에게 금마저에서 보덕국을 세우도록 후원하는.. 2023. 1. 29.
2020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B'책형)_11~15번 풀이 11. 의 밑줄 친 ‘이 법’에 대한 옳은 설명을 에서 모두 고른 것은? 이원익, 공물, 방납인 폐단을 통해 의 밑줄 친 이 법이 대동법임을 알 수 있습니다. 특산물을 납부해야 하는 공납은 이미 많은 백성들에게 부담이었는데, 방납의 폐단까지 더해지자 백성들의 부담은 더욱 커졌습니다. 이에 이원익이 대동법 실시를 건의하였습니다. ​ ㄱ. 이 법이 실시된 뒤 현물 징수가 완전히 없어졌다. → 대동법 실시로 상공은 없어졌으나 부정기적인 별공과 진상 등은 여전히 존재하여 현물 징수가 계속되었습니다. ​ ㄴ. 처음에는 경기도에서 시험적으로 시행되었다. → 대동법(광해군 때 이원익 등의 주장으로 선혜청을 설치하고, 경기도에 한해 대동법을 시험적으로 실시하였습니다) ​ ㄷ. 과세 기준을 가호 단위에서 토지 결수로 바.. 2023. 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