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97 2020년 소방직 한국사(A형) 해설_6~10번 6. 다음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돈오점수, 정혜쌍수를 통해 제시된 인물이 지눌임을 알 수 있다. 지눌은 내가 곧 부처라는 것을 깨닫고 이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돈오점수, 선과 교학이 근본적으로 둘이 아니라는 정혜쌍수를 주장하였다. ① 『천태사교의』를 저술하였다. → 제관(『천태사교의』를 저술한 인물은 고려 광종 대 활약한 제관이다) ② 조계산에서 수선사를 개창하였다. → 지눌(지눌은 조계산에서 수선사를 개창하고 승려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자는 수선사 결사 운동을 전개하였다) ③ 속장경의 제작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 의천(속장경 제작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인물은 의천이다) ④ 참회수행과 염불을 통한 백련결사를 주장하였다. → 요세(참회수행과 염불을 통한 백련결사를 주장한 인물은 요세이다) .. 2023. 2. 23. 2020년 소방직 한국사(A형) 해설_1~5번 1. 다음 자료가 설명하는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제시된 자료는 고조선의 범금 8조이다. 고조선에서는 사회 질서 유지를 위해 범금 8조를 제정하였는데, 현재는 살인죄, 상해죄, 절도죄 등을 다룬 3개 조항만 전해진다. ① 영고라는 제천행사가 있었다. → 부여(영고라는 제천행사가 있었던 나라는 부여이다) ② 사람의 생명과 노동력을 중시하였다. → O(고조선에서는 살인자는 즉시 사형에 처하고, 남의 신체를 상해하면 곡물로 보상하게 하는 등 사람의 생명과 노동력을 중시하였다) ③ 형벌과 노비가 존재한 계급사회였다. → O(고조선에서는 절도죄를 저지르며 노예가 되게 하였는데, 이를 통해 형벌과 노비가 존재한 계급 사회였음을 알 수 있다) ④ 상·대부·장군 등의 관직이 있었다. → O(고조선에서는.. 2023. 2. 23. 2021년 소방직 한국사 해설_16~20번 16. 다음 법령과 관련된 사업의 결과로 옳지 않은 것은? 토지 조사국, 조선 총독부를 통해 제시된 법령과 관련된 사업이 토지 조사 사업임을 알 수 있다. 한일 병합 이후 일제는 세원 확보, 토지 약탈을 위해 토지 조사 사업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일제는 조선 총독부 산하에 토지 조사국을 설치하고 토지 조사령을 발표하였다. ① 조선 총독부의 지세 수입이 증가하였다. → O(토지 조사 사업의 결과 세금 부과 대상 토지가 늘어나 조선 총독부의 지세 수입이 증가하였다) ② 소작인들이 경작권을 인정받지 못하였다. → O(토지 조사 사업은 농민의 경작권을 인정하지 않고, 지주의 소유권만 인정하는 형태로 전개되었다) ③ 일본인 농업 이주민이 지주로 성장할 수 있었다. → O(일제는 수탈한 토지를 동양 척신 주식회.. 2023. 2. 18. 2021년 소방직 한국사 해설_11~15번 11.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성학십도』를 통해 (가) 인물이 이황임을 알 수 있다. 이황은 군주 스스로 노력하여 성학을 따라야 한다는 주장을 담아 『성학십도』를 저술하였다. ① 여전론을 주장하였다. → 정약용(농지 공동 소유, 노동량에 따른 차등 분배를 주장한 여전론은 정약용의 토지 개혁론이다) ② 강화 학파를 형성하였다. → 정제두(양명학을 연구하고 강화 학파를 형성한 인물은 정제두이다) ③ 일본의 성리학 발달에 영향을 주었다. → 이황(이황의 성리학 사상은 조선 성리학의 주류가 되었고, 일본의 성리학 발달에 영향을 주었다) ④ ‘이’와 ‘기’를 통일적으로 이해하면서 ‘기’를 중시하였다. → 이이(‘기’를 중시한 인물은 이이이다. 이황은 ‘이’를 중시하였다) 정답 ③ 12. 밑줄 .. 2023. 2. 18. 이전 1 ··· 4 5 6 7 8 9 10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