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시 한국사/20204

2020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B'책형)_16~20번 풀이 16. 의 밑줄 친 ‘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었다는 것은 만파식적을 의미하고, 이는 통일 신라 ​신문왕 때 만들어졌습니다. 만파식적은 불기만 하면 나라에 평안이 온다는 피리인데, 이는 왕권의 안정을 도모하며 만들어진 것이었습니다. ​ ① 녹읍을 부활시켰다. → 경덕왕(경덕왕 때 귀족층의 반발로 관료전이 폐지되고 녹읍이 부활하였습니다) ​ ② 9주 5소경을 설치하였다. → 신문왕(신문왕 때 9주 5소경의 지방 제도를 정비하였습니다) ​ ③ 정전을 지급하였다. → 성덕왕(성덕왕 때 국가의 토지 지배력을 확보하기 위해 백성들에게 정전을 지급하였습니다) ​ ④ 고구려 부흥운동을 지원하였다. → 문무왕(문무왕은 고구려 보장왕의 서자 안승에게 금마저에서 보덕국을 세우도록 후원하는.. 2023. 1. 29.
2020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B'책형)_11~15번 풀이 11. 의 밑줄 친 ‘이 법’에 대한 옳은 설명을 에서 모두 고른 것은? 이원익, 공물, 방납인 폐단을 통해 의 밑줄 친 이 법이 대동법임을 알 수 있습니다. 특산물을 납부해야 하는 공납은 이미 많은 백성들에게 부담이었는데, 방납의 폐단까지 더해지자 백성들의 부담은 더욱 커졌습니다. 이에 이원익이 대동법 실시를 건의하였습니다. ​ ㄱ. 이 법이 실시된 뒤 현물 징수가 완전히 없어졌다. → 대동법 실시로 상공은 없어졌으나 부정기적인 별공과 진상 등은 여전히 존재하여 현물 징수가 계속되었습니다. ​ ㄴ. 처음에는 경기도에서 시험적으로 시행되었다. → 대동법(광해군 때 이원익 등의 주장으로 선혜청을 설치하고, 경기도에 한해 대동법을 시험적으로 실시하였습니다) ​ ㄷ. 과세 기준을 가호 단위에서 토지 결수로 바.. 2023. 1. 29.
2020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B'책형)_6~10번 풀이 6. 의 ㉠에 해당하는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만적을 통해 ㉠이 최충헌임을 알 수 있습니다. 최충헌 집권기 사노비였던 만적은 신분 해방과 정권 탈취를 목적으로 난을 일으키고자 하였으나 실패하였습니다. ​ ① 교정도감을 설치하여 국정을 장악하는 한편 도방을 통해 군사적 기반을 강화하였다. → 최충헌(최충헌은 국정을 관장하는 최고 권력 기구로 교정도감을 설치하였고, 경대승이 조직하였던 사병 집단인 도방을 확대 설치하였습니다) ​ ②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여 억울하게 노비가 된 자를 해방하였다. → 광종(광종은 후삼국 시기 불법으로 노비가 된 이들을 양인으로 해방시키는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였습니다) ​ ③ 풍수지리설을 앞세워 서경천도를 적극 추진하였다. → 묘청(묘청은 풍수지리설을 바탕으로 서경 천.. 2023. 1. 29.
2020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B'책형)_1~5번 풀이 1. 의 밑줄 친 ‘그’의 저술로 가장 옳은 것은? 당나라 유학 포기, 종파 갈등 융화, 화쟁국사를 통해 밑줄 그은 그가 통일 신라의 ​원효임을 알 수 있습니다. 원효는 의상과 함께 당으로 유학을 가던 중 해골물을 마시고 모든 것은 마음 먹기에 달렸다는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이에 유학을 포기하고 신라에서 활동하였는데, 특히 여러 종파 간의 갈등을 융합하는 화쟁 사상을 강조하였습니다. ​ ① 『해동고승전』 → 각훈(고려 고종 때 왕명에 따라 각훈이 우리나라 고승들에 대해 정리한 『해동고승전』을 편찬하였습니다) ​ ② 『대승기신론소』 → 원효(원효는 불교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대승기신론소』를 저술하였습니다) ​ ③ 『왕오천축국전』 → 혜초(통일 신라의 혜초는 당, 인도, 중앙아시아를 순례하고 기행.. 2023. 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