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법원직 한국사/20225

2022년 법원직 9급 한국사 해설_21~25번 21. (가), (나) 국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가) 탕평비를 통해 조선 영조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영조는 붕당의 폐해를 경계하기 위해 성균관 입구에 탕평비를 세웠다. (나) 초계문신제를 통해 조선 정조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정조는 유능한 신진 인사를 재교육하는 초계문신제를 실시하였다. ① (가) - 장용영을 설치하여 군사권을 장악하였다. → 정조(장용영을 설치하여 군사권을 장악한 국왕은 정조이다) ② (가) - 조선과 청의 국경을 정하는 백두산정계비를 세웠다. → 숙종(조선고 청의 국경을 정하는 백두산정계비를 세운 국왕은 숙종이다) ③ (나) - 대전통편을 편찬하여 법령을 정비하였다. → 정조(『대전통편』을 편찬하여 법령을 정비한 국왕은 정조이다) ④ (나) - 삼정의 문.. 2022. 12. 10.
2022년 법원직 9급 한국사 해설_16~20번 16. (가) 종교가 반영된 문화유산의 사례로 가장 적절한 것은? 불로장생, 신성을 통해 (가) 종교가 도교임을 알 수 있다. 도교는 민간 신앙, 산천 숭배, 신선 사상과 결합한 것으로, 불로장생 및 현세의 이익을 추구하였다. ① 쌍봉사 철감선사 승탑 → X(통일 신라의 쌍봉사 철감선사 승탑으로, 선종의 영향을 받았다) ② 칠지도 → X(칠지도는 백제 근초고왕 때 일본에 보낸 하사품으로, 백제 제철 기술의 우숭함을 보여 준다) ③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 → X(삼산관을 쓰고 있는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으로, 불교의 영향을 받았다) ④ 백제 금동 대향로 → O(백제 금동 대향로는 용, 봉황, 연꽃, 신선이 산다는 삼신산을 통해 도교의 이상 세계를 형상화한 것이다) 정답 ④ 17. (가) 붕당에 대한.. 2022. 12. 10.
2022년 법원직 9급 한국사 해설_11~15번 11. 밑줄 친 ‘왕’의 재위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을 에서 모두 고른 것은? 은병을 통해 밑줄 친 ‘왕’이 고려 숙종임을 알 수 있다. 은병은 숙종 때 만들어진 고액 화폐로, 주로 지배층이 사용하였다. ㄱ. 해동통보가 발행되었다. → O(해동통보는 숙종 때 발행되었다) ㄴ. 의천이 화폐 주조를 건의하였다. → O(숙종 때 의천의 건의로 화폐 주조를 담당하는 관청이 주전도감이 설치되었다) ㄷ. 원의 화폐인 지원보초가 유통되었다. → X(원의 화폐인 (지원)보초가 유통된 것은 고려 원 간섭기의 일이다) ㄹ. 저화라고 불린 지폐가 제작되어 사용되었다. → X(공양왕 때 최초의 지폐인 저화가 발행되었다) 정답 ① 12. 자료에 나타난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형평사를 통해 자료에 나타난 .. 2022. 12. 10.
2022년 법원직 9급 한국사 해설_6~10번 6. (가)∼(라) 제도를 시행된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가) 역분전은 고려 태조 왕건 때 시행되었다. 태조 왕건은 논공행상에 따라 토지를 지급하였는데, 이를 역분전이라고 한다. (나) 과에 따라 받았고, 땔나무를 베어낼 땅도 지급하였다는 것을 통해 고려 시대 전시과에 대한 설명임을 알 수 있다. 전시과는 관리의 등급을 기준으로 전지와 시지(땔나무를 얻을 수 있는 땅)를 지급하는 것이었다. 경종 때 처음 실시되었고, 문종 때 경정 전시과로 정비되었다. (다) 과전을 통해 고려 말에 처음 실시된 과전법임을 알 수 있다. 고려 말 신진 사대부는 토지 개혁을 실시해 과전법을 실시하였다. (라) 각 도의 등급과 토지 품질의 등급으로써 수세한다는 것을 통해 조선 세종 때 실시된 공법에 대한 설명임을 알 .. 2022. 1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