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직 한국사/20214

2021년 소방직 한국사 해설_16~20번 16. 다음 법령과 관련된 사업의 결과로 옳지 않은 것은? 토지 조사국, 조선 총독부를 통해 제시된 법령과 관련된 사업이 토지 조사 사업임을 알 수 있다. 한일 병합 이후 일제는 세원 확보, 토지 약탈을 위해 토지 조사 사업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일제는 조선 총독부 산하에 토지 조사국을 설치하고 토지 조사령을 발표하였다. ① 조선 총독부의 지세 수입이 증가하였다. → O(토지 조사 사업의 결과 세금 부과 대상 토지가 늘어나 조선 총독부의 지세 수입이 증가하였다) ② 소작인들이 경작권을 인정받지 못하였다. → O(토지 조사 사업은 농민의 경작권을 인정하지 않고, 지주의 소유권만 인정하는 형태로 전개되었다) ③ 일본인 농업 이주민이 지주로 성장할 수 있었다. → O(일제는 수탈한 토지를 동양 척신 주식회.. 2023. 2. 18.
2021년 소방직 한국사 해설_11~15번 11.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성학십도』를 통해 (가) 인물이 이황임을 알 수 있다. 이황은 군주 스스로 노력하여 성학을 따라야 한다는 주장을 담아 『성학십도』를 저술하였다. ① 여전론을 주장하였다. → 정약용(농지 공동 소유, 노동량에 따른 차등 분배를 주장한 여전론은 정약용의 토지 개혁론이다) ② 강화 학파를 형성하였다. → 정제두(양명학을 연구하고 강화 학파를 형성한 인물은 정제두이다) ③ 일본의 성리학 발달에 영향을 주었다. → 이황(이황의 성리학 사상은 조선 성리학의 주류가 되었고, 일본의 성리학 발달에 영향을 주었다) ④ ‘이’와 ‘기’를 통일적으로 이해하면서 ‘기’를 중시하였다. → 이이(‘기’를 중시한 인물은 이이이다. 이황은 ‘이’를 중시하였다) 정답 ③ 12. 밑줄 .. 2023. 2. 18.
2021년 소방직 한국사 해설_6~10번 6. 다음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천개, 천견충의군을 통해 제시된 사건이 묘청의 난(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임을 알 수 있다. 서경 천도를 주장하던 묘청은 개경파의 반대로 중단되자 국호를 대위국, 연호를 천개, 군대를 천견충의군이라고 하여 난을 일으켰다. ① 김부식이 이끄는 관군에게 진압당하였다. → O(묘청이 일으킨 난은 개경파인 김부식이 이끈 관군에 의해 1년 만에 진압되었다) ② 이자겸이 척준경을 끌어들여 난을 일으켰다. → X(이자겸은 척준경을 끌어들여 난을 일으켜 왕위 찬탈을 시도하였다) ③ 정중부, 이의방 등 무신들이 정권을 장악하였다. → X(정중부, 이의방 등 무신들이 정권을 장악한 사건은 무신 정변이다) ④ 최우는 교정도감 외에 정방과 삼별초를 설치하였다. → X(최충헌 이후 .. 2023. 2. 18.
2021년 소방직 한국사 해설_1~5번 1. (가) 시대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간석기를 통해 (가) 시대가 신석기 시대임을 알 수 있다. 신석기 시대에는 돌을 갈아서 만든 간석기를 사용하였다. ① 계절제를 주관하는 천군 → 철기 시대(제천 행사인 계절제를 실시한 나라는 삼한이고, 이 때는 철기 시대이다) ② 가락바퀴를 사용하는 사람 → 신석기 시대(신석기 시대에는 식물에서 뽑은 가느다란 섬유를 꼬아서 실을 만드는 도구인 가락바퀴를 사용하였는데, 이를 통해 원시적 수공업이 실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③ 부족을 지배하는 읍군과 삼로 → 철기 시대(읍군과 삼로가 있었던 나라는 옥저와 동예이고, 이 때는 철기 시대이다) ④ 비파형 동검을 보고 있는 군장 → 청동기 시대(비파형 동검을 만들고 정치적 지배자인 군장인 있었던 것은 청.. 2023. 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