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97 2022년 고졸 검정고시 2차 한국사_6~10번 6. 다음에서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흥선 대원군은 세도 정치의 폐단 개선, 민생 안정을 위한 여러 개혁을 실시하였다. ① 서원 정리 → O(흥선 대원군은 지방 양반들의 거점이었던 서원을 철폐하여 지방에 대한 국가 통제력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② 당백전 발행 → O(흥선 대원군은 경복궁 중건에 필요한 공사비를 마련하기 위해 당백전을 발행하였다) ③ 호포제 시행 → O(흥선 대원군은 양반에게도 군포를 징수하는 호포제를 실시하였다) ④ 훈민정음 창제 → X(훈민정음 창제는 조선 세종 때의 일이다) 정답 ④ 7. 다음에서 설명하는 화폐는? 조선 후기 주조된 화폐는 상평통보이다. ① 호패 → X(호패는 일종의 신분증과 같은 것으로, 조선 태종 때 처음 실시하였다) ② 명도전 → X(명도전은 중국.. 2023. 3. 10. 2022년 고졸 검정고시 2차 한국사_1~5번 1. 다음에서 설명하는 유물은? 구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뗀석기는 주먹도끼이다. ① 주먹도끼 → O(구석기 시대에는 돌을 떼어 만든 뗀석기를 사용하였는데, 대표적으로 사냥 도구로 쓰인 주먹도끼가 있다) ② 이불병좌상 → X(이불병좌상은 발해의 문화유산으로, 두 부처가 나란히 앉아 있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③ 비파형 동검 → X(비파형 동검은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이다) ④ 빗살무늬 토기 → X(빗살무늬 토기는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이다) 정답 ① 2. 다음에서 설명하는 왕은? 영락 연호를 통해 제시문이 설명하는 왕이 고구려 광개토 대왕임을 알 수 있다. ① 세종 → X(세종은 조선 시대의 왕으로,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 ② 고이왕 → X(고이왕은 백제의 왕으로, 백제 초기 제도 정비에 기여하.. 2023. 3. 10. 2020년 국회직 9급 한국사 해설_16~20번 16. 일제 시대 국학운동에 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신채호는 역사를 ‘인류 사회의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이라고 규정하고 민족주의 사학을 주장하였다. → O(신채호는 『조선상고사』에서 역사를 아와 비아의 투쟁이라고 보았다) ② 백남운은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에 입각하여 한국사의 발전과정을 변증법적 역사발전 법칙에 따라 서술하였다. → O(백남운은 마르크스 역사학에 바탕을 두고 한국사를 세계사적 보편성 위에서 체계화하려고 하였다) ③ 정인보는 ‘민족의 혼’을 강조하고, 저술을 통해 국가를 구성하고 있는 두 요소를 ‘혼’과 ‘백’이라고 하였다. → X(민족의 혼을 강조한 인물은 박은식이다. 정인보는 민족 정신으로 얼을 강조하였다) ④ 문일평은 ‘조선심’을 강조하고 조선심의 결정체로서 ‘조선글.. 2023. 3. 4. 2020년 국회직 9급 한국사 해설_11~15번 11. (가), (나)의 토지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경종, 인품만 가지고 등급을 정하였다는 것을 통해 시정 전시과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경종은 전현직 관리를 대상으로 관직, 인품을 고려해 시정 전시과를 실시하였다. (나) 과전을 통해 과전법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공양왕 때 신진 사대부의 경제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경기 지방 토지를 대상으로 과전법을 실시하였다. ① (가) - 무인에 대한 차별대우가 사라졌다. → X(무인에 대한 차별 대우가 사라진 것은 경정 전시과 때의 일이다) ② (가) - 전지와 시지를 함께 지급하였다. → O(전시과는 전지와 시지의 수조권을 지급하는 제도였다) ③ (나) - 수신전, 휼양전 등이 마련되었다. → O(과전법에서는 관리가 사망하면 .. 2023. 3. 4. 이전 1 2 3 4 5 6 7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