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직 한국사/2020

2020년 소방직 한국사(A형) 해설_6~10번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2. 23.
반응형

 

 

 

6. 다음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돈오점수, 정혜쌍수를 통해 제시된 인물이 지눌임을 알 수 있다. 지눌은 내가 곧 부처라는 것을 깨닫고 이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돈오점수, 선과 교학이 근본적으로 둘이 아니라는 정혜쌍수를 주장하였다.

 

① 『천태사교의』를 저술하였다.

→ 제관(『천태사교의』를 저술한 인물은 고려 광종 대 활약한 제관이다)

 

② 조계산에서 수선사를 개창하였다.

→ 지눌(지눌은 조계산에서 수선사를 개창하고 승려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자는 수선사 결사 운동을 전개하였다)

 

③ 속장경의 제작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 의천(속장경 제작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인물은 의천이다)

 

④ 참회수행과 염불을 통한 백련결사를 주장하였다.

→ 요세(참회수행과 염불을 통한 백련결사를 주장한 인물은 요세이다)

 

정답 ②


7. 밑줄 친 ‘이 왕’의 재위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도병마사가 도평의사사로 개편된 것은 고려 충렬왕 때의 일이다. 도병마사는 충렬왕 때 도평의사사로 개편되어 최고 정무 기구로 발전하였다.

 

① 만권당을 설치하였다.

→ 충선왕(원의 수도인 연경에 학문 연구소인 만권당을 설치한 왕은 충선왕이다)

 

② 정동행성을 설치하였다.

→ 충렬왕(원은 충렬왕 때 일본 원정을 준비하기 위해 정동행성을 설치하였다. 일본 원정이 실패하였으나 정동행성은 내정 간섭 기구로 존속하였다)

 

③ 정치도감을 설치하였다.

→ 충목왕(정치도감을 설치하여 개혁을 시도한 왕은 충목왕이다)

 

④ 입성책동 사건이 일어났다.

→ 충선왕(원의 지방 행정 단위인 성을 고려에 설치할 것을 주장한 입성책동 사건은 충선왕 때 처음 일어났다)

 

정답 ②


8. 다음 자료에 나타난 토지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자삼, 단삼, 비삼, 녹삼, 인품에 따라 차이를 두었다는 것을 통해 (시정) 전시관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경종은 광종 때 마련된 4색 공복(자삼, 단삼, 비삼, 녹삼)에 따라 인품과 관등을 고려하여 토지를 지급하였다.

 

① 토지를 전지와 시지로 분급하였다.

→ 전시과(전시과는 토지를 전지와 시지로 나누어 차등적으로 지급하는 것이었다)

 

② 관료들의 수조지는 경기도에 한정되었다.

→ 과전법(관료들의 수조지를 경기도로 한정한 대표적인 토지 제도는 과전법이다)

 

③ 관(官)에서 수조지의 조세를 거두어 관리들에게 지급하였다.

→ 관수관급제(국가에서 수조지의 조세를 거두어 관리들에게 지급한 것은 관수관급제이다)

 

④ 인품과 행동의 선악, 공로의 대소를 고려하여 토지를 차등 있게 주었다.

→ 역분전(인품과 행동의 선악, 공로의 대소를 고려해 토지를 차등 있게 준 것은 역분전이다)

 

정답 ①


9. (가) 왕이 실시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서원 정리, 신문고 부활을 통해 (가) 왕이 조선 영조임을 알 수 있다. 영조는 산림의 본거지인 서원을 대폭 정리하였고, 신문고를 부활시켜 백성들의 억울한 일을 직접 해결하고자 하였다.

 

① 비변사를 철폐하였다.

→ 고종(비변사가 철폐된 것은 고종 때의 일이다. 고종 때 집권한 흥선 대원군이 왕권 강화를 위해 비변사를 축소·폐지하였다)

 

② 속대전을 편찬하였다.

→ 영조(영조는 제도 변화 등의 내용을 담아 『속대전』을 편찬하였다)

 

③ 장용영을 설치하였다.

→ 정조(국왕의 친위 부대인 장용영을 설치한 왕은 정조이다)

 

④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였다.

→ 철종(임술 농민 봉기를 수습하기 위해 삼정이정청을 설치한 것은 철종 때의 일이다)

 

정답 ②


10. 다음 건축물과 관련 있는 학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제시된 건축물은 율곡 이이와 관련이 있다. 오죽헌은 이이가 태어난 집이고, 자운 서원은 이이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창건된 곳이다.

 

① 『주자서절요』를 저술하였다.

→ 이황(『주자서절요』를 저술한 인물은 이황이다)

 

② 양명학을 수용하여 강화학파를 형성하였다.

→ 정제두(양명학을 수용하여 강화학파를 형성한 인물은 정제두이다)

 

③ 주자의 학설을 비판하여 사문난적으로 몰렸다.

→ 윤휴, 박세당(주자의 학설을 비판하여 사문난적으로 몰린 인물은 윤휴, 박세당 등이다)

 

④ 이(理)는 두루 통하고 기(氣)는 국한된다고 하였다.

→ 이이(이이는 이가 두루 통하고 기는 국한된다는 이통기국론을 주장하였다)

 

정답 ④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