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한국사18 2021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6~10번 풀이 6. 에서 발해 문화가 고구려를 계승하였음을 보여 주는 문화유산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온돌 장치 → O(발해 궁전 터에서 바견된 온돌 장치는 우리나라 고유의 난방 장치로, 발해 문화가 고구려를 계승하였음을 보여 주는 문화유산입니다) ㄴ. 벽돌무덤 → X(정효 공주 묘가 발해의 대표적인 벽돌 무덤인데, 이는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이었습니다) ㄷ. 굴식돌방무덤 → O(정혜 공주 묘가 발해의 대표적인 굴식 돌방무덤인데, 고구려 양식을 계승한 것입니다. 즉, 이는 발해 문화가 고구려를 계승하였음을 보여 주는 문화유산입니다) ㄹ. 주작대로 → X(발해의 수도인 상경은 당의 수도인 장안을 본떠 건설한 도시로, 주작대로 또한 당의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 정답은 ㄱ, ㄷ으로, ②입니다. 7. 의 .. 2023. 1. 29. 2021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1~5번 풀이 1. 에서 설명하는 시대의 문화유산으로 옳은 것은? 움집, 농경 생활 시작 등을 통해 에서 설명하는 시대가 신석기 시대임을 알 수 있습니다. 신석기 시대에는 농경 생활을 시작하였고, 이에 정착 생활도 가능해지면서 거주 공간인 움집이 만들어졌습니다. ① 고인돌 → 청동기 시대(고인돌은 청동기 시대 지배층의 무덤입니다) ② 세형동검 → 청동기 시대 후반(청동기 시대 후반 이후 비파형동검은 세형동검으로 발전하였습니다) ③ 거친무늬 거울 → 청동기 시대(거친무늬 거울은 청동기 시대에 사용한 의식용 거울입니다) ④ 빗살무늬 토기 → 신석기 시대(빗살무늬 토기는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로, 서울 암사동 등에서 출토되고 있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2. 는 대한민국 헌법 개정을 시기순으로 나열한.. 2023. 1. 29. 2022년 서울시 9급 6월 공무원 한국사('A'책형)_16~20번 풀이 16. 〈보기〉의 조선 후기 호락논쟁에 대한 설명 중 성격이 다른 것은? 호락 논쟁은 인간과 사물의 본성을 어떻게 볼 것인가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호론과 낙론으로 나뉘어 벌어진 논쟁입니다. 이때 호론은 인물성이론, 낙론은 인물성동론을 주장하였습니다. ㄱ. 조선을 중화로, 청을 오랑캐로 보는 명분론으로 이어진다. → 호론(조선은 중화로, 청을 오랑캐로 보는 명분론은 인물성이론을 주장한 호론에 대한 설명입니다) ㄴ. 조선후기 실학운동으로 이어지는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 낙론(인물성동론을 주장한 낙론의 사상은 북학파 실학사상으로 이어졌습니다) ㄷ. 주로 충청도 지역의 학자들이 중심이 되었다. → 호론(주로 충청도 지역의 학자들이 중심을 이룬 것은 호론이다. 낙론은 서울, 경기 지방의 학자들이 .. 2023. 1. 24. 2022년 서울시 9급 6월 공무원 한국사('A'책형)_11~15번 풀이 11. 〈보기〉에서 설명하는 기록물에 해당하는 것은? 조선 후기, 국왕의 일기 형식을 통해 에서 설명하는 기록물이 『일성록』임을 알 수 있습니다. ① 승정원일기 → X(『승정원일기』는 왕의 비서 기관인 승정원에서 기록한 것으로, 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② 비변사등록 → X(『비변사등록』은 비변사의 회의록으로 『조선왕조실록』을 편찬할 때 중요한 연구 자료 중 하나로 사용되었습니다) ③ 조선왕조실록 → X(『조선왕조실록』은 왕의 사후 사관이 작성한 기록과 여러 자료를 통합하여 편찬한 것으로, 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에 등재되어 있습니다) ④ 일성록 → O(『일성록』은 정조의 개인 일기에서 시작되었는데, 임금의 동정과 국정 운영 상황을 매일 기록하였습니다. 2011년에는 유.. 2023. 1. 24.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