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보기>에서 설명하는 시대의 문화유산으로 옳은 것은?

움집, 농경 생활 시작 등을 통해 <보기>에서 설명하는 시대가 신석기 시대임을 알 수 있습니다. 신석기 시대에는 농경 생활을 시작하였고, 이에 정착 생활도 가능해지면서 거주 공간인 움집이 만들어졌습니다.
① 고인돌
→ 청동기 시대(고인돌은 청동기 시대 지배층의 무덤입니다)
② 세형동검
→ 청동기 시대 후반(청동기 시대 후반 이후 비파형동검은 세형동검으로 발전하였습니다)
③ 거친무늬 거울
→ 청동기 시대(거친무늬 거울은 청동기 시대에 사용한 의식용 거울입니다)
④ 빗살무늬 토기
→ 신석기 시대(빗살무늬 토기는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로, 서울 암사동 등에서 출토되고 있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2. <보기>는 대한민국 헌법 개정을 시기순으로 나열한 것이다. ㈎와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980년에 제정된 제8차 헌법은 전두환 정부 시기에 제정한 것으로, 대통령 간선제와 7년 단임제를 골자로 하였습니다. 1987년 6월 민주 항쟁 이후 제정된 제9차 개헌은 대통령 직선제, 5년 단임제를 골자로 하는 현행 헌법입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3. <보기>의 밑줄 친 ‘이 법’을 제정한 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군포 부담을 절반으로 줄였다는 것을 통해 밑줄 친 ‘이 법’이 영조 때 제정한 균역법임을 알 수 있습니다. 영조는 군역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군포 부담은 2필에서 1필로 줄이는 균역법을 실시하였습니다(1750).
① 속대전을 편찬하였다.
→ 영조(영조는 조선 후기의 변화 내용을 담아 『속대전』을 편찬하여 법전 체계를 정비하였습니다)
② 대전통편을 편찬하였다.
→ 정조(왕조의 통치 규범을 전반적으로 정리한 『대전통편』은 정조 때 편찬되었습니다)
③ 대전회통을 편찬하였다.
→ 고종(조선의 법전을 정리한 『대전회통』은 흥선 대원군 집권기인 고종 때 편찬되었습니다)
④ 경국대전을 편찬하였다.
→ 세조~성종(『경국대전』은 세조 때 편찬되기 시작하였고, 성종 때 반포되었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4. <보기>는 동학농민전쟁에 관련된 주요 사건을 표로 나타낸 것이다. 청일전쟁이 발발된 시기는?

제1차 동학 농민 운동 때 동학 농민군이 전라도 일대를 점령하자 정부는 농민의 요구 사항을 받아들이면서도 청에 군사 지원을 요청하였습니다. 청이 군대를 파견하자 일본도 톈진 조약을 구실로 군대를 상륙시켰습니다. 전쟁의 위기감이 높아지자 동학 농민군은 외국 군대의 철병 및 폐정 개혁을 조건으로 정부와 전주 화약을 맺었습니다. 이후 정부는 양군에 철수를 요구하였으나 일본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경복궁을 기습 점령하였으며, 아산만의 청국 군함을 공격하면서 청·일 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이에 동학 농민군이 일본을 몰아내기 위해 다시 봉기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청·일 전쟁이 발발한 시기는 (다) 시기로, 정답은 ③입니다.
5. <보기>의 사건이 있었던 시기의 사실로 가장 옳은 것은?

한성 포위, 그(백제 왕) 살해를 통해 <보기>의 사건이 고구려 장수왕(413~491, 5세기) 때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장수왕은 남진 정책을 추진하여 백제의 수도인 한성을 점령하였고, 이 과정에서 백제 개로왕이 전사하였습니다.
① 성왕이 신라군에게 살해되었다.
→ 6세기(성왕이 신라군에게 살해된 것(관산성 전투)은 554년으로, 이는 장수왕 이후의 사건입니다)
② 신라가 건원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다.
→ 6세기(신라 법흥왕이 건원이라는 연호를 사용한 것은 536년으로, 이는 장수왕 이후의 일입니다)
③ 을지문덕이 살수에서 수의 군대를 물리쳤다.
→ 7세기(을지문덕의 살수 대첩은 612년으로, 이는 장수왕 이후의 일입니다)
④ 고구려가 중국의 남북조와 동시에 교류하였다.
→ 5세기(장수왕은 중국 남북조와 각각 교류하는 다면적인 외교 정책을 추진하였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서울시 한국사 > 202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보훈청 추천, 'A'책형)_16~20번 풀이 (0) | 2023.01.29 |
---|---|
2021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보훈청 추천, 'A'책형)_11~15번 풀이 (0) | 2023.01.29 |
2021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16~20번 풀이 (0) | 2023.01.29 |
2021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11~15번 풀이 (0) | 2023.01.29 |
2021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6~10번 풀이 (0) | 2023.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