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보기〉의 조선 후기 호락논쟁에 대한 설명 중 성격이 다른 것은?
호락 논쟁은 인간과 사물의 본성을 어떻게 볼 것인가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호론과 낙론으로 나뉘어 벌어진 논쟁입니다. 이때 호론은 인물성이론, 낙론은 인물성동론을 주장하였습니다.
ㄱ. 조선을 중화로, 청을 오랑캐로 보는 명분론으로 이어진다.
→ 호론(조선은 중화로, 청을 오랑캐로 보는 명분론은 인물성이론을 주장한 호론에 대한 설명입니다)
ㄴ. 조선후기 실학운동으로 이어지는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 낙론(인물성동론을 주장한 낙론의 사상은 북학파 실학사상으로 이어졌습니다)
ㄷ. 주로 충청도 지역의 학자들이 중심이 되었다.
→ 호론(주로 충청도 지역의 학자들이 중심을 이룬 것은 호론이다. 낙론은 서울, 경기 지방의 학자들이 중심을 이루었습니다)
ㄹ. 대표적인 학자로는 한원진이 있다.
→ 호론(한원진, 권상하가 호론의 대표적인 학자이다. 낙론의 대표적인 학자로는 이간, 이재 등이 있습니다)
정답은 ㄴ으로, ②입니다.
17. 〈보기〉의 선언문이 발표된 이후에 일어난 변화로 가장 옳은 것은?

4·13 폭거(4·13 호헌 조치)를 통해 <보기>의 선언문이 6월 민주 항쟁과 관련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전두환 정부가 대통령 간선제를 유지하겠다는 호헌 조치를 발표하자 학생, 시민 등이 대통령 직선제를 주장하며 6월 민주 항쟁을 전개하였습니다.
① 해방 이후 단절되었던 일본과의 국교가 정상화되었다.
→ X(해방 이후 일본과의 국교가 정상화된 것은 박정희 정부 때로, <보기>보다 이전입니다)
② 내각 책임제와 양원제 국회를 특징으로 하는 개헌이 이루어졌다.
→ X(내각 책임제와 양원제 국회를 특징으로 하는 개헌은 4·19 혁명 이후 이루어진 제3차 개헌으로, <보기>보다 이전입니다)
③ 장기적인 경제 발전을 위해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하였다.
→ X(장기적인 경제 발전을 위해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수립된 것은 박정희 정부 때로, <보기>보다 이전입니다)
④ 연임이 안 되는 임기 5년의 대통령을 직선제로 선출하게 되었다.
→ O(6월 민주 항쟁 이후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하는 제9차 개헌이 이루어졌고, 이에 따라 노태우 대통령이 선출되었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18. 〈보기〉의 밑줄 친 ‘왕’의 재위 기간에 일어난 일이 아닌 것은?

백제와 더불어 고구려를 공격하였다는 것을 통해 밑줄 친 ‘왕’이 신라 진흥왕임을 알 수 있습니다. 진흥왕은 백제 성왕과 연합하여 고구려가 차지하고 있던 한강 유역을 공격하여 탈취하였습니다.
① 대가야를 정벌하여 가야 연맹을 소멸시켰다.
→ O(진흥왕은 대가야를 정벌하였고, 이로써 가야 연맹이 소멸되었습니다)
②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화랑도를 국가적 조직으로 개편하였다.
→ O(진흥왕은 인재 양성을 위해 화랑도를 국가적 조직으로 개편하였습니다)
③ 자장의 건의를 받아들여 황룡사 9층 목탑을 건립하였다.
→ X(자장의 건의를 받아들여 황룡사 9층 목탑을 건립한 왕은 선덕 여왕입니다. 참고로 진흥왕 때 황룡사를 창건하였습니다)
④ 신라의 역사를 정리하여 국사를 편찬하였다.
→ O(진흥왕은 거칠부에게 명하여 신라의 역사를 정리해 『국사』를 편찬하였습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19. 〈보기〉에서 일제 강점기의 의식주 변화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음식 조리과정에서 왜간장, 조미료 등을 사용하였다.
→ O(우리나라의 전통 간장은 메주를 띄워 우려낸 것인데, 콩에 볶은 밀이나 보리를 섞고 종국균을 띄어 양조하는 방식의 왜간장이 사용되었습니다)
ㄴ. 도시 인구 급증의 후유증으로 토막(土幕) 집이 등장하였다.
→ O(일제 강점기 경성 변두리에서는 빈민이 토막집을 짓고 생활하였습니다)
ㄷ. 일제말 여성들이 일본식 노동복인 몸빼의 착용을 강요당하였다.
→ O(1940년대 일제는 전시 통제 체제를 갖추면서 남성에게는 국민복, 여성에게는 일본 농촌 여성의 작업봅인 몸빼를 입게 하였습니다)
ㄹ. 경성의 경우, 북촌에는 조선인이, 남촌에는 일본인이 주로 거주하였다.
→ O(일제 강점기에 경성은 청계천을 경계로 일본인 중심의 남촌, 한국인 중심의 북촌으로 구분되었습니다)
정답은 ㄱ, ㄴ, ㄷ, ㄹ로, ④입니다.
20. 〈보기〉에서 ㉠에 들어갈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대봉예를 통해 ㉠ 나라가 발해임을 알 수 있습니다. 대씨는 발해 왕족의 성씨입니다.
① 마진, 태봉 등의 국호를 사용하였다.
→ 후고구려(마진, 태봉 등의 국호를 사용한 나라는 궁예가 세운 후고구려입니다)
② 당으로부터 해동성국이라는 칭호를 들었다.
→ 발해(선왕 이후 전성기를 맞이한 발해에 대해 당은 해동성국이라 불렀습니다)
③ 백제의 부흥을 내걸고 완산주에 도읍을 정했다.
→ 후백제(백제의 부흥을 내걸고 견훤이 완산주에 도읍을 정해 세운 나라는 후백제입니다)
④ 지금의 황해도 지역에 패강진이라는 군진을 개설하였다
→ 통일 신라(황해도 지역에 패강진이라는 군진을 개설한 것은 통일 신라 선덕왕 때의 일입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서울시 한국사 >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서울시 9급 6월 공무원 한국사('A'책형)_11~15번 풀이 (0) | 2023.01.24 |
---|---|
2022년 서울시 9급 6월 공무원 한국사('A'책형)_1~5번 풀이 (0) | 2023.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