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시 한국사18

2022년 서울시 9급 6월 공무원 한국사('A'책형)_6~10번 풀이 6. 조선시기의 과거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① 생원과 진사를 선발하는 사마시의 1차 시험(초시)에서는 합격자의 수를 각 도의 인구 비율로 배분하였다. → O(조선 시대에 생원과 진사를 뽑는 사마시의 1차 시험에서는 각 도의 인구 비율로 700명을 뽑았습니다) ​ ② 문과의 정기시험에는 현직 관원도 응시할 수 있었고, 합격하면 관품을 1~4계 올려주었다. → O(문과의 정기 시험에는 현직 관원도 응시할 수 있었고, 1~4계까지 승진이 가능하였습니다) ​ ③ 조선시기에는 고려시기와 달리 과거를 보지 않고 관직으로 진출할 수 있는 음서제도가 폐지되었다. → X(조선 시대에도 음서 제도가 있었으나 5품 이상의 자제에게 적용되었던 고려 시대와는 달리 2품 이상의 고관 자제에게만 적용되었고.. 2023. 1. 24.
2022년 서울시 9급 6월 공무원 한국사('A'책형)_1~5번 풀이 1. 〈보기〉의 밑줄 친 ‘이 시대’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벼농사가 보급되었다는 것을 통해 밑줄 친 ‘이 시대’가 청동기 시대​임을 알 수 있습니다. 청동기 시대에는 조, 보리 등 밭농사가 주로 행해졌으나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는 벼농사가 시작되었습니다. ​ ① 고인돌 → O(고인돌은 청동기 시대 지배층의 무덤입니다) ​ ② 반달 돌칼 → O(반달 돌칼은 청동기 시대의 농기구로 간석기입니다. 청동기 시대에는 청동이 귀하였기 때문에 농기구로는 여전히 간석기를 사용하였습니다) ​ ③ 민무늬 토기 → O(민무늬 토기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입니다) ​ ④ 슴베찌르개 → X(슴베찌르개는 구석기 후기에 사용된 도구입니다) ​ 정답은 ④입니다. 2. 〈보기〉의 정책을 실시한 신라의 왕.. 2023. 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