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한국사18 2019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2회, 'A'책형)_16~20번 풀이 16. 의 밑줄 친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보빙사를 통해 (가) 국가가 미국임을 알 수 있습니다. 보빙사는 미국에 파견된 사절단이었습니다. ① 삼국 간섭에 참여하였다. → 러시아·프랑스·독일(청·일 전쟁 이후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일본이 막대한 이권을 획득하자 러시아, 프랑스, 독일이 일본을 압박하여 랴오둥반도를 청에 반환하도록 하였습니다) ② 용암포를 강제 점령하고 조차를 요구하였다. → 러시아(용암포를 강제 점령하고 조차를 요구한 국가는 러시아입니다. 용암포 사건은 러·일 전쟁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③ 거문도를 불법으로 점령하였다. → 영국(거문도를 불법으로 점령한 국가는 영국입니다. 영국은 러시아의 남하 정책에 위기를 느끼고 거문도를 불법 점령하였습니다) ④ 운산.. 2023. 1. 29. 2019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2회, 'A'책형)_11~15번 풀이 11. 와 같은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한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공물 상납, 불합격 처리를 통해 의 폐단이 공납의 폐단(방납의 폐단)임을 알 수 있습니다. 공납의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한 제도는 대동법입니다. 조선 중기로 갈수록 생산량의 감소 및 생산지 변화 등으로 공납품을 타지에서 구입하는 경우가 늘어났고, 관리들이 백성이 준비한 공물을 거부하고 자신들이 강제로 대신 납부한 다음 원래보다 비싸게 받는 폐단 등이 나타났습니다. 이에 현물 대신 쌀, 동전 등을 납부하는 대동법을 실시하였습니다. ① 광해군 시기에 실시하였다. → O(대동법은 광해군 때 처음으로 경기도에서 시험적으로 실시되었습니다) ② 토지 결수를 기준으로 1결당 쌀 12두를 납부하게 하였다. → O(대동법.. 2023. 1. 29. 2019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2회, 'A'책형)_6~10번 풀이 6. 고려시대 군사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북방의 양계지역에는 주현군을 따로 설치하였다. → X(양계 지역에 설치된 군대는 주진군이었습니다. 주현군은 5도에 편성된 군대였습니다) ② 2군(二軍)인 응양군과 용호군은 왕의 친위부대였다. → O(고려의 중앙군인 2군은 국왕의 친위부대로, 응양군, 용호군으로 구성되었습니다) ③ 6위(六衛) 중의 감문위는 궁성과 성문수비를 맡았다. → O(6위 중 하나인 감문위는 궁성을 경비하였습니다) ④ 직업군인인 경군에게 군인전을 지급하고 그 역을 자손에게 세습시켰다. → O(고려의 중앙군은 경군이라고도 불리는데, 직업 군인 중심으로 편성되었습니다. 이들은 군인전을 지급받았고, 그 역을 자손에게 세습하였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7... 2023. 1. 29. 2019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2회, 'A'책형)_1~5번 풀이 1. 고조선을 주제로 한 학술 대회를 개최할 경우, 언급될 내용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위만의 이동과 집권 과정 → 고조선(중국의 진한 교체기에 위만이 한반도에 들어왔습니다. 준왕의 신임을 받은 위만은 서쪽 변경을 수비하였는데, 세력을 확대한 후 준왕을 축출하고 왕위에 올랐습니다) ② 진대법과 빈민 구제 → 고구려(진대법은 고구려 고국천왕이 실시한 빈민 구제 정책입니다) ③ 범금 8조(8조법)에 나타난 사회상 → 고조선(고조선에는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범금 8조(8조법)가 있었습니다. 범금 8조(8조법)의 내용을 통해 고조선에서는 생명, 노동력, 사유 재산을 중시하였고, 형벌과 노비 제도가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④ 비파형 동검 문화권과 국가의 성립 → 고조선(고조선은 .. 2023. 1. 29.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