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시 한국사/2019

2019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2회, 'A'책형)_1~5번 풀이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1. 29.
반응형

 

 

 

1. 고조선을 주제로 한 학술 대회를 개최할 경우, 언급될 내용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위만의 이동과 집권 과정

→ 고조선(중국의 진한 교체기에 위만이 한반도에 들어왔습니다. 준왕의 신임을 받은 위만은 서쪽 변경을 수비하였는데, 세력을 확대한 후 준왕을 축출하고 왕위에 올랐습니다)

② 진대법과 빈민 구제

→ 고구려(진대법은 고구려 고국천왕이 실시한 빈민 구제 정책입니다)

③ 범금 8조(8조법)에 나타난 사회상

→ 고조선(고조선에는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범금 8조(8조법)가 있었습니다. 범금 8조(8조법)의 내용을 통해 고조선에서는 생명, 노동력, 사유 재산을 중시하였고, 형벌과 노비 제도가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④ 비파형 동검 문화권과 국가의 성립

→ 고조선(고조선은 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건국되었는데, 비파형 동검은 청동기 문화의 대표적인 유물입니다. 특히 고조선의 영역은 비파형 동검, 미송리식 토기 등의 분포 지역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2. <보기>에서 백제의 발전 과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6좌평제와 16관등제 및 백관의 공복을 제정하였다.

→ 고이왕(6좌평제와 16관등제 및 백관의 공복을 제정한 왕은 고이왕입니다)

ㄴ.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하였다.

→ 근초고왕(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국원왕을 살해한 왕은 근초고왕입니다)

ㄹ. 불교를 받아들여 통치이념을 정비하였다.

→ 침류왕(중국 동진으로부터 불교를 받아들여 통치 이념을 정비한 왕은 침류왕입니다)

ㄷ. 지방에 22담로를 설치하였다.

→ 무령왕(지방에 22담로를 설치하고 왕족을 파견하여 지방 통제를 강화한 왕은 무령왕입니다)

백제의 발전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ㄱ → ㄴ → ㄹ → ㄷ으로, 정답은 ②입니다. 

 

 

 

 


3. <보기>에서 밑줄 친 ‘이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아홉 추장, 여섯 알을 통해 밑줄 친 ‘이 나라’가 가야(금관가야)임을 알 수 있습니다. 제시문은 가야 건국 설화로, 아홉 추장은 김해의 토착 세력을 의미하고, 여섯 알은 가야 연맹을 의미합니다. 그 중 가장 먼저 태어난 수로가 세운 금관가야가 전기 가야 연맹을 주도하였습니다. 

① 중국 동진으로부터 불교를 받아들여 왕실의 권위를 높였다.

→ 백제(중국 동진으로부터 불교를 받아들인 국가는 백제입니다. 백제는 침류왕 때 불교를 받아들였습니다)

② 재상을 뽑을 때 정사암에 후보 이름을 써서 넣은 상자를 봉해두었다.

→ 백제(정사암 회의를 통해 재상을 뽑은 나라는 백제입니다)

③ 큰일이 있을 때에는 반드시 화백제도를 통해 여러 사람의 의견을 따랐다.

→ 신라(만장일치제의 화백 회의를 운영한 나라는 신라입니다)

④ 철기를 만들 때 사용하는 덩이쇠를 화폐와 같은 교환 수단으로 이용하기도 하였다.

→ 가야(가야에서는 철이 풍부하게 생산되어 덩이쇠를 화폐로 사용하기도 하였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4. 발해의 사회 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주민은 고구려 유민과 말갈인으로 구성되었다.

→ O(발해 주민은 고구려 유민과 말갈인으로 구성되었는데, 고구려 유민은 대체로 지배층, 말갈인은 대체로 피지배층이었습니다)

② 중앙 문화는 고구려 문화를 바탕으로 당의 문화가 가미된 형태를 보였다.

→ O(고구려를 계승한 발해는 고구려 문화를 바탕으로 당의 문화를 받아들였습니다)

③ 당, 신라, 거란, 일본 등과 무역하였는데, 대신라 무역의 비중이 가장 컸다.

→ X(발해의 대외 무역 비중이 가장 컸던 국가는 당이었습니다)

④ 유학 교육기관인 주자감을 설치하여 귀족 자제에게 유교 경전을 가르쳤다.

→ O(발해는 일종의 국립 대학인 주자감을 설치하여 귀족 자제에게 유교 경전을 가르쳤습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5. 삼국의 사회·문화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고구려는 영양왕 때 이문진이 『유기』를 간추려 『신집』 5권을 편찬했다.

→ O(고구려 영양왕 때 이문진이 역사서인 『유기』 100권을 『신집』 5권으로 간추렸습니다)

② 백제의 승려 원측은 당나라에 가서 유식론(唯識論)을 발전시켰다.

→ X(원측은 통일 신라의 승려입니다. 그는 당으로 가서 유식학을 배우고 독자적인 사상 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원측을 따르는 학파를 서명학파라고 합니다)

③ 신라의 진흥왕은 두 아들의 이름을 동륜 등으로 짓고 자신은 전륜성왕으로 자처했다.

→ O(진흥왕은 스스로 전륜성왕이라고 자처하였고, 아들 이름도 전륜성왕 중 하나인 동륜 등으로 지었습니다)

④ 백제 말기에는 미래에 중생을 구제한다는 미륵신앙이 유행하기도 하였다.

→ O(백제 말기에는 미륵신앙이 유행하였고, 이에 따라 무왕 때 미륵사가 건립되기도 하였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