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보기>와 같은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한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공물 상납, 불합격 처리를 통해 <보기>의 폐단이 공납의 폐단(방납의 폐단)임을 알 수 있습니다. 공납의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한 제도는 대동법입니다. 조선 중기로 갈수록 생산량의 감소 및 생산지 변화 등으로 공납품을 타지에서 구입하는 경우가 늘어났고, 관리들이 백성이 준비한 공물을 거부하고 자신들이 강제로 대신 납부한 다음 원래보다 비싸게 받는 폐단 등이 나타났습니다. 이에 현물 대신 쌀, 동전 등을 납부하는 대동법을 실시하였습니다.
① 광해군 시기에 실시하였다.
→ O(대동법은 광해군 때 처음으로 경기도에서 시험적으로 실시되었습니다)
② 토지 결수를 기준으로 1결당 쌀 12두를 납부하게 하였다.
→ O(대동법은 기존의 가호 대신 토지 결 수를 기준으로 쌀, 삼베, 동전 등을 납부하도록 한 것인데 대체로 토지 1결당 12두였다)
③ 왕실과 관청에서 필요한 수요품을 구해 납품하는 덕대가 등장하였다.
→ X(덕대는 조선 후기에 나타난 광산 경영 전문가이다. 왕실과 관청에서 필요한 수요품을 납부하는 상인은 공인이었다)
④ 물품 구매와 상품 수요가 증가하면서 상품 화폐 경제가 한층 발전하였다.
→ O(공인이 전국을 돌아다니며 물품을 구매하자 상품 수요가 증가하였고, 농민들도 대동세를 납부하기 위해 시장에 토산물을 팔아 쌀, 동전 등을 마련하면서 상품 화폐 경제가 발전하였다)
정답은 ③입니다.
12. <보기>의 토지 개혁안을 주장한 조선 후기 실학자를 옳게 짝지은 것은?

ㄱ. 여전을 통해 여전론을 주장한 정약용에 대한 사료임을 알 수 있습니다. 정약용은 농지를 공동으로 소유하되 노동량에 따라 생산물을 차등 분배하자는 여전론을 제시하였습니다.
ㄴ. 영업전을 설정하고 영업전 외에는 판매를 허가한다는 것을 통해 이익의 한전론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익은 영업전을 기반으로 점진적일 토지 균등을 추구한 한전론을 주장하였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참고로 박지원은 한전론을 주장하되 이익과 달리 토지 소유의 상한선을 설정하였고, 유형원은 신분에 따라 토지를 차등 지급하자는 균전론을 주장하였습니다.
13. <보기>의 의서(醫書)를 편찬된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ㄹ.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
→ 고려 고종(『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은 고려 고종 때 편찬된 우리나라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의서입니다)
ㄷ. 『의방유취(醫方類聚)』
→ 조선 세종(『의방유취(醫方類聚)』는 조선 세종 때 편찬된 의학 백과사전입니다)
ㄱ. 『동의보감(東醫寶鑑)』
→ 조선 광해군(『동의보감(東醫寶鑑)』은 조선 광해군 때 허준이 저술한 의학 서적으로, 조선 의학을 집대성하였다는 평을 받습니다)
ㄴ. 『마과회통(麻科會通)』
→ 조선 정조(『마과회통(麻科會通)』은 조선 정조 때 정약용이 마진(홍역)에 대한 연구를 종합하여 편찬한 것으로, 여기에서 제너가 발명한 우두종두법이 처음으로 소개되었습니다)
순서대로 나열하면 ㄹ - ㄷ - ㄱ - ㄴ으로, 정답은 ③입니다.
14. 조선 후기 지도 편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김정호는 『대동여지도』를 편찬하기 이전에 이미 『청구도』 등을 제작하였다.
→ O(『청구도』, 『대동여지도』 모두 조선 후기에 김정호가 편찬한 지도입니다)
② 정상기는 백리척을 이용하여 『동국지도』를 제작하였다.
→ O(정상기는 『동국지도』에서 최초로 100리 척을 사용하여 과학적인 지도 제작에 공헌하였습니다)
③ 모눈종이를 이용한 정밀한 지도도 제작되었다.
→ O(조선 후기에는 모눈종이를 이용한 정밀한 지도가 제작되었습니다)
④ 『대동여지도』가 완성되자 나라의 기밀을 누설시킬 우려가 있다고 하여 판목은 압수 소각되었다.
→ X(흥선 대원군이 국가 기밀 누설을 이유로 『대동여지도』 판목을 압수 소각하였다는 것은 일제의 날조입니다. 1995년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에서 『대동여지도』 목판 11개가 재발견되었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15. 위정척사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최익현은 왜양일체론을 내세우며 개항 반대 운동을 전개하였다.
→ O(1870년대 일본이 개항을 요구하자 최익현은 왜와 서양이 다르지 않다는 왜양일체론을 내세우며 개항 반대 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② 이항로는 척화주전론을 주장하며 통상 반대 운동을 전개하였다.
→ O(1860년대 프랑스 등이 통상을 요구하자 이항로, 기정진 등은 서양에 맞서 싸우자는 척화주전론을 주장하며 통상에 반대하였습니다)
③ 기정진 등 영남 유생들이 만인소를 올려 『조선책략』을 들여온 김홍집의 처벌을 요구하였다.
→X(2차 수신사로 일본에 다녀온 김홍집이 조선이 미국과 수교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조선책략』을 들여오자 영남 유생들이 만인소를 올려 반발하였습니다. 이때 영남 유생의 대표적인 인물은 이만손이었습니다. 기정진은 1860년대에 통상 반대 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④ 홍재학은 주화매국의 신료를 처벌하고 서양물품과 서양서적을 불태울 것을 주장하였다.
→ O(홍재학은 고종의 개화 정책 등에 반대하였고, 나아가 고종을 규탄하여 사형에 처해졌습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서울시 한국사 > 2019'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2회, 'A'책형)_16~20번 풀이 (0) | 2023.01.29 |
---|---|
2019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2회, 'A'책형)_6~10번 풀이 (0) | 2023.01.29 |
2019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2회, 'A'책형)_1~5번 풀이 (0) | 2023.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