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직 한국사/20204

2020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가'책형)_16~20번 풀이 16. 다음 자료에 나타난 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사람이 곧 하늘이다를 통해 제시된 자료에 타나난 사상이 동학임을 알 수 있습니다. 동학은 사람이 곧 하늘이다라는 인내천 사상을 강조하여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고 주장하였습니다. ​ ① 이 사상에 대해 순조 즉위 이후 대탄압이 가해졌다. → 천주교(순조 때 정권을 장악한 노론 벽파는 남인 시파를 탄압하기 위해 천주교에 대한 대탄압을 가하기 시작하였습니다) ​ ② 이 사상을 바탕으로 『동경대전』과 『용담유사』가 편찬되었다. → 동학(동학의 제2대 교주였던 최시형은 교리를 정리하여 『동경대전』과 『용담유사』를 편찬하였습니다) ​ ③ 이 사상을 근거로 몰락한 양반의 지휘 아래 평안도에서 난이 일어났다. → 홍경래의 난(몰락한 양반 홍경래의 지휘 아래 평.. 2023. 1. 10.
2020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가'책형)_11~15번 풀이 11. 밑줄 친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원종과 애노를 통해 밑줄 친 왕이 통일 신라의 진성 여왕임을 알 수 있습니다. 신라 하대의 사회 혼란으로 많은 농민들이 몰락하였고, 이에 진성 여왕 때 일어난 원종과 애노의 난을 시작으로 농민 봉기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습니다. ​ ① 발해가 멸망하였다. → 경애왕(발해는 926년 거란의 침입으로 멸망하였는데, 이때 신라의 왕은 경애왕이었습니다) ​ ② 국학을 설치하였다. → 신문왕(국학은 신문왕 때 설치된 국립 대학으로, 귀족 자제들을 대상으로 유학 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 ③ 최치원이 시무책 10여 조를 건의하였다. → 진성 여왕(당의 빈공과에 급제한 이후 신라로 귀국한 최치원은 개혁을 위해 진성 여왕에게 시무책 10여 조를 건의하였으나.. 2023. 1. 8.
2020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가'책형)_6~10번 풀이 6. 밑줄 친 ‘이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장수왕의 백제 침공, 백제 왕도를 통해 (가)가 백제의 수도였던 한성임을 알 수 있습니다. 장수왕의 공격으로 한성이 함락되고 백제 개로왕은 전사하였습니다. 한성은 현재의 서울 지역입니다. ​ ① 망이, 망소이가 반란을 일으켰다. → 공주(고려 시대의 하층민 봉기였던 망이, 망소이는 공주 명학소에서 일어났습니다) ​ ② 고려 문종 대에 남경이 설치되었다. → 서울(고려 중기 이후 한양 명당설이 대두하여 문종 때 한양을 남경으로 승격하였습니다) ​ ③ 보조국사 지눌이 수선사 결사를 주도하였다. → 순천(지눌은 순천 송광사에서 불교 개혁 운동인 수선사 결사를 주도하였습니다) ​ ④ 고려 태조가 북진 정책의 전진 기지로 삼았다. → 평양(고려 태조는 평양을.. 2023. 1. 8.
2020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가'책형)_1~5번 풀이 1. (가) 시기의 생활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함경북도 종성군 동관진을 통해 (가) 시기가 구석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 동관진 유적은 한반도에서 최초로 발견된 구석기 유적지로, 일제 강점기에 발굴되었습니다. 그러나 일제는 자신들의 본토에서 구석기 유적이 출토되지 않았기 때문에 동관진 유적을 부정하였습니다. ​ ① 반달 돌칼을 이용하여 벼를 수확하였다. → 청동기(반달 돌칼은 청동기 시대에 사용한 농기구입니다) ​ ② 넓적한 돌 갈판에 옥수수를 갈아서 먹었다. → 신석기(갈판은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도구입니다) ​ ③ 사냥이나 물고기잡이 등을 통해 식량을 얻었다. → 구석기(구석기 시대에는 사냥이나 물고기잡이 등을 통해 식량을 얻었습니다) ​ ④ 영혼 숭배 사상이 있어 사람이 죽으면 흙 그릇 안.. 2023.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