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직 한국사/2020

2020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가'책형)_16~20번 풀이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1. 10.
반응형

 

16. 다음 자료에 나타난 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사람이 곧 하늘이다를 통해 제시된 자료에 타나난 사상이 동학임을 알 수 있습니다. 동학은 사람이 곧 하늘이다라는 인내천 사상을 강조하여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고 주장하였습니다.

① 이 사상에 대해 순조 즉위 이후 대탄압이 가해졌다.

→ 천주교(순조 때 정권을 장악한 노론 벽파는 남인 시파를 탄압하기 위해 천주교에 대한 대탄압을 가하기 시작하였습니다)

② 이 사상을 바탕으로 『동경대전』과 『용담유사』가 편찬되었다.

→ 동학(동학의 제2대 교주였던 최시형은 교리를 정리하여 『동경대전』과 『용담유사』를 편찬하였습니다)

③ 이 사상을 근거로 몰락한 양반의 지휘 아래 평안도에서 난이 일어났다.

→ 홍경래의 난(몰락한 양반 홍경래의 지휘 아래 평안도에서 일어난 홍경래의 난(1811)은 동학 창시(1860) 이전에 일어났습니다)

④ 이 사상을 근거로 단성에서 시작된 농민봉기는 진주로 이어졌다.

→ 임술 농민 봉기(단성에서 시작되고 진주로 이어진 임술 농민 봉기는 동학과 관련이 없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17. 다음은 우리나라 경제성장 과정을 시간 순으로 나열한 것이다.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수출액 100억 달러 달성(1977)은 박정희 정부, 제2차 석유 파동(1978~1980)은 전두환 정부,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가입(1996)은 김영삼 정부 대의 일입니다. 

① 제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실시되다.

→ 1972년(박정희 정부 대인 1972년에 중화학 공업 육성을 중점으로 하는 제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실시되었습니다)

② 저금리, 저유가, 저달러의 3저 호황을 경험하다.

→ 1986년(전두한 정부 대인 1986년부터 3저 호황이 시작되어 우리나라는 빠른 경제 성장을 달성하였습니다)

③ 베트남 파병을 시작하고 브라운 각서를 체결하다.

→ 1966년(박정희 정부 대인 1966년에 베트남 파병의 대가로 브라운 각서를 체결하여 한국군의 현대화 및 경제 원조를 제공받기로 하였습니다)

④ 일본과 대일 청구권 문제에 합의하고 한일 기본 조약을 체결하다.

→ 1965년(박정희 정부 대인 1965년 무상 3억 달러, 상업 차관 3억 달러 제공 등을 합의한 한·일 기본 조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18. 다음 법령이 실시된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국체를 변혁 또는 사유재산제를 부인하는 이들을 징역에 처한다는 내용을 통해 다음 법령이 치안 유지법임을 알 수 있습니다. 치안 유지법은 1925년에 제정되어 일제가 패망할 때까지 존속되었습니다. 일제는 식민 체제를 부정하는 반정부·반체제 운동이나 사회주의를 탄압하기 위해 1925년 치안 유지법을 제정하였는데, 이를 본토뿐만 아니라 식민지 조선에도 적용하여 독립운동을 탄압하는 데에도 이용하였습니다. 

① 조선 태형령이 공포되었다.

→ 1912년(한국인에게만 재판 없이 태형을 집행한다는 조선 태형령은 1912년에 공포되었습니다)

② 경성 제국 대학이 설립되었다.

→ 1924년(민립 대학 설립 운동이 전개되자 일제는 한국인의 고등 교육 열기를 무마하고 한국 거주 일본인들의 고등 교육을 위해 1924년에 경성 제국 대학을 설립하였습니다)

③ 물산 장려 운동이 시작되었다.

→ 1920년(물산 장려 운동은 1920년 조만식 등이 평양에서 조직한 물산 장려회를 중심으로 시작되었습니다)

④ 학도 지원병 제도가 실시되었다.

→ 1943년(일제는 전쟁에 필요한 인력을 동원하기 위해 1943년 학도 지원병 제도를 실시하여 학생들까지 전쟁터로 끌고 갔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19. 다음 사실이 있었던 시기의 향촌사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향전을 통해 조선 후기의 향촌 사회에 대해 묻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조선 후기에는 향촌 운영을 둘러싸고 구향과 신향의 대립이 격화되어 향전이 일어났습니다.

① 향전의 전개 속에서 수령의 권한이 강화되었다.

→ 향전이 전개되면서 재지사족의 힘이 약화되고 수령과 향리 등의 관권이 강화되ᄋᅠᆻ습니다.

② 신향층은 수령과 그를 보좌하는 향리층과 결탁하였다.

→ 부농층과 같은 새로운 세력으로 구성된 신향은 수령과 그를 보좌하는 향리층과 타협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향촌 사회를 장악하였습니다.

③ 수령은 경재소와 유향소를 연결하여 지방통치를 강화하였다.

→ 경재소는 선조 때 폐지(1603)되었고, 유향소의 명칭도 향청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러므로 조선 후기에는 경재소와 유향소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④ 재지사족은 동계와 동약을 통해 향촌사회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려 하였다.

→ 구향은 기존에 향촌 사회를 지배하던 재지사족을 의미하였습니다. 이들은 촌락 단위로 동약을 실시하는 등 족적 결합을 강화하여 향촌 사회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고자 하였습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20. 다음 자료가 발표된 이후의 사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대일 선전을 통해 제시된 자료가 1941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발표한 대일 선전 포고문임을 알 수 있습니다. 태평양 전쟁이 일어나자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대일 선전 포고를 하고 한국광복군을 연합군의 일원으로 참전시켰습니다.

① 한국광복군은 김원봉이 이끌던 조선의용대의 병력을 통합하였다.

→ 1942년(조선 의용대는 조선 민족 전선 연맹의 산하 군대로 대일 항전을 전개하였습니다. 이후 일부가 화북 지방으로 이동하고 김원봉이 이끌던 조선 의용대는 1942년 한국광복군에 합류하였습니다)

② 영국군의 요청에 따라 인도, 미얀마 전선에 한국광복군이 파견되었다.

→ 1943년(한국광복군은 영국군과 연합 작전을 수행하였고, 1943년에는 인도, 미얀마 전선에 파견되어 포로 심문, 암호문 번역 등을 담당하였습니다)

③ 조선독립동맹은 조선의용대 화북지대를 기반으로 조선의용군을 조직하였다.

→ 1942년(김두봉을 위원장으로 조직된 조선 독립 동맹은 조선 의용대 화북 지배를 개편하여 조선 의용군을 조직하였습니다. 이들은 중국 팔로군과 연합하여 호가장 전투 등을 수행하였습니다)

④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김구를 주석으로 하는 단일 지도 체제를 만들고 대한민국 건국 강령을 제정하였다.

→ 1940~1941년(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1940년 제4차 개헌을 통해 정부 형태를 주석 중심 체제로 개편하였습니다. 또한 조소앙의 삼균주의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건국 강령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는 대일 선전 포고 이전의 일입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