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 밑줄 친 ‘이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장수왕의 백제 침공, 백제 왕도를 통해 (가)가 백제의 수도였던 한성임을 알 수 있습니다. 장수왕의 공격으로 한성이 함락되고 백제 개로왕은 전사하였습니다. 한성은 현재의 서울 지역입니다.
① 망이, 망소이가 반란을 일으켰다.
→ 공주(고려 시대의 하층민 봉기였던 망이, 망소이는 공주 명학소에서 일어났습니다)
② 고려 문종 대에 남경이 설치되었다.
→ 서울(고려 중기 이후 한양 명당설이 대두하여 문종 때 한양을 남경으로 승격하였습니다)
③ 보조국사 지눌이 수선사 결사를 주도하였다.
→ 순천(지눌은 순천 송광사에서 불교 개혁 운동인 수선사 결사를 주도하였습니다)
④ 고려 태조가 북진 정책의 전진 기지로 삼았다.
→ 평양(고려 태조는 평양을 서경으로 삼아 북진 정책의 전진 기지로 삼았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7. 다음 사건이 일어난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조선군, 미군을 통해 제시된 사건이 신미양요임을 알 수 있습니다. 고종 때 미국이 개항을 요구하며 강화도에 침입하면서 신미양요가 일어났습니다.
① 군포에 대한 양반들의 면세특권이 폐지되었다.
→ 고종(고종 때 집권한 흥선 대원군은 호포법을 실시하여 양반도 군포를 내도록 하였습니다. 이로써 군포에 대한 양반들의 면세 특권이 폐지되었습니다)
② 금난전권을 제한하려는 통공정책이 시작되었다.
→ 정조(정조 때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 상인들의 금난전권을 철폐한다는 신해통공이 반포되었습니다)
③ 결작세가 신설되면서 지주들의 부담이 증가하였다.
→ 영조(영조 때 균역법의 실시로 부족해진 재정을 보충하기 위해 토지 소유자에게 1결당 미곡 2두를 부과하는 결작세를 신설하였습니다)
④ 영정법이 제정되어 복잡한 전세 방식이 일원화되었다.
→ 인조(인조 때 풍흉에 관계없이 토지 1결당 4~6두의 전세를 내도록 하는 영정법이 제정되었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8. (가)~(라)에 해당하는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문제는 고구려의 주요 사건에 대한 연표입니다. 낙랑군 축출(313)은 고구려 미천왕 때, 광개토 대왕릉비 건립(414)은 고구려 장수왕 때, 살수 대첩(612)은 고구려 영양왕 때, 안시성 전투(645)와 고구려 멸망(668)은 고구려 보장왕 때의 일입니다.
① (가)-백제 침류왕이 불교를 받아들였다.
→ 384년(백제 침류왕은 중국 동진의 마라난타를 통해 불교를 수용하였습니다)
② (나)-고구려 영양왕이 요서 지방을 선제공격하였다.
→ 598년(중국 수의 세력 확대에 위협을 느낀 고구려 영양왕이 요서 지방을 선제 공격하면서 여·수 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③ (다)-백제가 신라 대야성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다.
→ 642년(백제 의자왕은 신라 대야성을 함락하는 등 활발한 정복 활동을 전개하였습니다)
④ (라)-신라가 매소성에서 당군을 격파하였다.
→ 675년(고구려 멸망 이후 당이 한반도를 장악하려 하자 나·당 전쟁이 일어났고, 신라가 매소성·기벌포 전투에서 승리하며 당을 몰아내고 삼국 통일을 달성하였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9. 밑줄 친 ‘이 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중국, 동국(우리나라)의 역사를 편찬했다는 점에서 밑줄 친 ‘이 책’이 고려 시대에 이승휴가 저술한 『제왕운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승휴는 단군부터 시작되는 우리나라의 역사를 서술하고 우리 역사를 중국사와 대등하게 파악하였습니다.
① 성리학적 유교 사관이 반영되어 대의명분을 강조하였다.
→ 『사략』(고려 공민왕 때 이제현은 성리학적 유교 사관을 반영하여 『사략』을 저술하였습니다)
② 국왕, 훈신, 사림이 서로 합의하여 통사체계를 구성하였다.
→ 『동국통감』(조선 성종 때 서거정 등이 왕명을 받아 고조선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다룬 『동국통감』을 편찬하였습니다. 『동국통감』은 국왕, 훈신, 사림이 서로 합의한 통사 체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③ 원 간섭기에 중국과 구별되는 우리 역사의 독자성을 강조하였다.
→ 『제왕운기』(이승휴는 원 간섭기에 민족의 자주성을 강조하며 『제왕운기』를 편찬하였습니다)
④ 왕명으로 단군 조선에서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노래 형식으로 정리하였다.
→ 『동국세년가』(세종 때 권근 등이 왕명으로 단군 조선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시가로 읊은 『동국세년가』를 편찬하였습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10. 다음 그래프에 표시된 시기에 일어난 사회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그래프를 해석해야 하는 신유형의 공무원 한국사 문제입니다. 그런데 개인적으로 그래프를 해석하기보다는 1945~1946년의 사실이 아닌 것을 고르는 문제 같았습니다. 아무튼 그래프를 보면 광복 이후 물가가 오른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① 해외로부터 귀환인이 급증하여 식량이 부족했다.
→ 광복 이후 해외 동포들의 귀환과 38선 이북 주민들의 남하로 식량이 부족해졌습니다.
② 38도선 분할 점령 이후 식료품 부문의 생산이 크게 위축되었다.
→ 광복과 38도선 분할 점령 이후 공장의 생산력이 크게 위축되었는데, 특히 식료품 공업의 위축 정도가 가장 높았습니다.
③ 미군정이 재정적자를 메우기 위해 화폐를 과도하게 발행했다.
→ 미군정 시기 재정 적자를 메꾸기 위한 과도한 화폐 발행을 인플레이션을 유발했습니다.
④ 미곡수집제 폐지, 토지개혁 실시를 주장하는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
→ 미곡 수집제 폐지, 토지 개혁 실시를 주장하는 대규모 시위는 1946년 9월 이후에 일어났습니다. 특히 10월에는 대구, 경북 지역에서 항쟁이 일어나기도 하였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국가직 한국사 > 2020'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가'책형)_16~20번 풀이 (0) | 2023.01.10 |
---|---|
2020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가'책형)_11~15번 풀이 (0) | 2023.01.08 |
2020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가'책형)_1~5번 풀이 (0) | 2023.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