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직 한국사/2020

2020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가'책형)_1~5번 풀이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1. 8.
반응형

1. (가) 시기의 생활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함경북도 종성군 동관진을 통해 (가) 시기가 구석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 동관진 유적은 한반도에서 최초로 발견된 구석기 유적지로, 일제 강점기에 발굴되었습니다. 그러나 일제는 자신들의 본토에서 구석기 유적이 출토되지 않았기 때문에 동관진 유적을 부정하였습니다.

① 반달 돌칼을 이용하여 벼를 수확하였다.

→ 청동기(반달 돌칼은 청동기 시대에 사용한 농기구입니다)

② 넓적한 돌 갈판에 옥수수를 갈아서 먹었다.

→ 신석기(갈판은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도구입니다)

③ 사냥이나 물고기잡이 등을 통해 식량을 얻었다.

→ 구석기(구석기 시대에는 사냥이나 물고기잡이 등을 통해 식량을 얻었습니다)

④ 영혼 숭배 사상이 있어 사람이 죽으면 흙 그릇 안에 매장하였다.

→ 신석기 시대(신석기 시대에는 애니미즘, 샤머님, 토테미즘, 영혼·조상 숭배 등의 원시 신앙이 발전하였습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2.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만적을 통해 (가)가 최충헌임을 알 수 있습니다. 최충헌 집권기 개경에서 사노비 만적이 신분 해방을 넘어 정권 탈취를 목표로 난을 도모하였습니다. 

① 정방을 설치하여 인사권을 장악하였다.

→ 최우(인사 기구였던 정방은 최우 때 설치되었습니다)

② 치안유지를 위해 야별초를 설립하였다.

→ 최우(삼별초의 핵심 부대 중 하나였던 야별초는 최우 때 설치되었습니다)

③ 이의방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하였다.

→ 정중부(무신 정변을 함께 일으켰던 이의방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한 인물은 정중부입니다)

④ 봉사십조를 올려 사회개혁안을 제시하였다.

→ 최충헌(최충헌은 무신 정권 초기의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봉사 10조라는 사회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 실제 성과는 미미하였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3. 조선 전기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조선은 흔히 왜란과 호란을 기준으로 전기와 후기로 구분합니다.

① 『어우야담』을 비롯한 야담·잡기류가 성행하였다.

→ 조선 후기(『어우야담』은 조선 중기 광해군 때 유몽인이 저술한 한국 최초의 야담집입니다)

② 유서(類書)로 불리는 백과사전이 널리 편찬되었다.

→ 조선 후기(백과사전과 같은 저서는 조선 후기에 많이 편찬되었습니다. 대표적으로 영조 때 편찬된 『동국문헌비고』가 있습니다)

③ 『동문선』이 편찬되어 우리 문학의 독자성을 강조하였다.

→ 조선 전기(조선 성종 때 서거정이 삼국~조선 초까지의 시와 산문 중 뛰어난 작품을 선별하여 『동문선』을 편찬하였습니다)

④ 중인층을 중심으로 시사가 결성되어 문학 활동을 벌였다.

→ 조선 후기(중인층 중심의 시사는 조선 후기에 활발하게 결성되었습니다. 대표적인 시사로 옥계 시사가 있습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4. 다음 자료에 나타난 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신이 변혁을 꾀하고자 하는 것은 기(器)이지 도(道)가 아닙니다.’를 통해 동도서기론 대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온건 개화파는 조선의 성리학적 사상은 그대로 둔 상태에서 서양의 기술만 수용하자는 동도서기론을 주장하였습니다.

① 왜양일체론(倭洋一體論)을 주장하였다.

→ 위정척사파(위정척사파의 대표적 인물이었던 최익현은 일본의 개항 요구에 대해 일본이 서양과 다를 것이 없다는 왜양일체론을 주장하며 반대하였습니다)

② 근대 문물 수용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 동도서기론(온건 개화파의 동도서기론을 바탕으로 조선 정부는 근대 문물을 받아들이기 시작하였습니다)

③ 갑신정변 주도 세력의 견해를 대변하였다.

→ 급진 개화파(갑신정변을 주도한 급진 개화파는 서양의 기술뿐만 아니라 정치, 제도, 사상, 종교까지 모두 받아들여야 한다는 전면 개혁을 주장하였습니다)

④ 우등한 사회가 열등한 사회를 지배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보았다.

→ 애국 계몽 운동(우등한 사회가 열등한 사회를 지배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보는 것은 사회진화론입니다. 애국 계몽 운동을 주도한 세력의 상당수는 사회 진화론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5. (가)에 들어갈 기관으로 옳은 것은?

역질 치료, 굶주린 백성 진휼, 『고려사』를 통해 (가)에 들어갈 기관이 고려의 구제도감임을 알 수 있습니다. 질병 치료, 빈민 구제를 모두 담당한 것은 구제도감입니다.

① 의창

→ 고려 성종은 태조 왕건 때 만들어졌던 빈민 구제 기관인 흑창을 의창으로 확대 설치하였습니다.

② 제위보

→ 고려 시대에는 일정한 기금을 모아 그 이자를 공적 사업의 경비로 충당하는 보가 성행하였는데, 그 중 제위보는 빈민 구제를 담당하였습니다. 

③ 혜민국

→ 고려 예종 때 백성의 질병 치료를 위해 혜민국이 설치되었습니다.

④ 구제도감

→ 고려 예종 때 병자 치료, 빈민 구제를 위해 임시 구호 시설인 구제도감을 설치하였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