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가)∼(라) 제도를 시행된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가) 역분전은 고려 태조 왕건 때 시행되었다. 태조 왕건은 논공행상에 따라 토지를 지급하였는데, 이를 역분전이라고 한다.
(나) 과에 따라 받았고, 땔나무를 베어낼 땅도 지급하였다는 것을 통해 고려 시대 전시과에 대한 설명임을 알 수 있다. 전시과는 관리의 등급을 기준으로 전지와 시지(땔나무를 얻을 수 있는 땅)를 지급하는 것이었다. 경종 때 처음 실시되었고, 문종 때 경정 전시과로 정비되었다.
(다) 과전을 통해 고려 말에 처음 실시된 과전법임을 알 수 있다. 고려 말 신진 사대부는 토지 개혁을 실시해 과전법을 실시하였다.
(라) 각 도의 등급과 토지 품질의 등급으로써 수세한다는 것을 통해 조선 세종 때 실시된 공법에 대한 설명임을 알 수 있다. 세종은 합리적인 수취를 위해 토지 비옥도를 기준으로 한 전분6등법, 풍흉을 기준으로한 연분9등법의공법을 실시하였다.
(가)~(라) 제도를 시행된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하면 (가) - (나) - (다) - (라)이다.
정답 ①
7. (가), (나) 격문이 발표된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가) 제시된 격문은 제1차 동학 농민 운동 때 발표한 백산창의문이다. 전봉준은 백산 집회에서 격문과 4대 강령을 발표하였다.
(나) 제시된 격문은 제2차 동학 농민 운동 때 발표한 것이다. 청·일 전쟁 이후 일본이 내정 간섭을 강화하자 이에 대한 반발로 동학 농민군이 다시 봉기하였다.
ㄱ. 조선 정부가 개혁 기구인 교정청을 설치하였다.
→ O(제1차 동학 농민 운동 때 전주 화약을 체결한 이후 조선 정부는 자주적 개혁을 위해 교정청을 설치하였다)
ㄴ. 동학 농민군과 관군이 전주 화약을 체결하였다.
→ O(제1차 동학 농민 운동 때 동학 농민군과 관군은 외국 군대 철병, 폐정 개혁을 조건으로 전주 화약을 체결하였다)
ㄷ. 조선 정부가 조병갑을 파면하고 박원명을 고부 군수로 임명하였다.
→ X(조선 정부가 조병갑을 파면하고 박원명을 고부 군수로 임명한 것은 (가) 이전의 일이다. 고부 군수 조병갑의 횡포로 전봉준 등 농민들이 민란을 일으켰다. 이에 조선 정부는 조병갑을 파면하고 박원명을 고부 군수로 임명하였는데, 사건 수습을 위해 안핵사로 파견된 이용태가 봉기 관련자들을 탄압하여 농민들의 분노가 폭발하였다. 이는 제1차 동학 농민 운동으로 이어졌다)
ㄹ. 동학교도들이 전라도 삼례에서 교조 신원을 요구하는 집회를 벌였다.
→ X(동학교도들이 교조 신원 집회를 벌인 것은 (가) 이전의 일이다. 세력을 확대한 동학 교도들은 최제우의 명예 회복, 동학 탄압 중지를 요구하는 교조 신원 운동을 전개하였으나 제대로 반영되지는 않았다. 교조 신원 운동은 동학 농민 운동이 일어나기 전에 전개되었다)
정답 ①
8. 밑줄 친 ‘그’의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정몽주, 세자, 동복 아우를 통해 밑줄 친 ‘그’가 조선 태종 이방원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방원은 이성계의 아들로, 고려 말에 끝까지 고려에 대한 충성을 유지하고자 한 정몽주를 제거하는 등 조선 개국에 큰 공을 세웠습니다. 이후 정종 때 그의 아우로서 세자로 책봉되었습니다.
ㄱ. 영정법을 도입하였다.
→ 인조(전세를 풍흉에 관계없이 토지 1결당 4~6두로 고정하는 영정법은 인조 때 실시되었습니다)
ㄴ. 호패법을 시행하였다.
→ 태종(태종은 농민의 농촌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지금의 주민등록증과 유사한 호패법을 실시하였습니다)
ㄷ. 경국대전을 편찬하였다.
→ 세조~성종(조선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은 세조 때 편찬되기 시작하여 성종 때 반포되었습니다)
ㄹ. 6조 직계제를 실시하였다.
→ 태종(6조가 의정부를 거치지 않고 바로 왕에게 보고하여 재가를 받는 6조 직계제는 태종 때 실시되었습니다)
정답 ③
9. 밑줄 친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가장 옳은 것은?
별무반 파견을 통해 밑줄 친 ‘왕’이 고려 예종임을 알 수 있습니다. 예종 때 윤관이 별무반을 이끌고 여진을 정벌한 뒤 동북 지방에 9성을 설치하였습니다.
① 광덕, 준풍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다.
→ 광종(광덕, 준풍이라는 연호를 사용한 왕은 광종이다)
② 최승로가 시무 28조의 개혁안을 제시하였다.
→ 성종(최승로가 시무 28조의 개혁안을 제시한 것은 광종 때의 일이다)
③ 양현고를 설치하여 관학을 진흥시키고자 하였다.
→ 예종(예종은 관학의 경제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장학 재단은 양현고를 설치하였다)
④ 의천 등의 건의를 받아들여 주전도감을 설치하였다.
→ 숙종(의천 등의 건의를 받아들여 화폐를 만드는 주전도감을 설치한 왕은 숙종이다)
정답 ③
10. 밑줄 친 ‘개혁’의 사례로 가장 옳은 것은?
조광조를 통해 밑줄 친 ‘개혁’이 중종 때 실시된 조광조의 개혁임을 알 수 있다. 중종은 공신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조광조 등 신진 사림을 등용하였다.
① 현량과 실시
→ O(조광조는 신진 사림을 등용하기 위해 일종의 추천제인 현량과를 실시하였다)
② 비변사 폐지
→ X(비변사는 흥선 대원군 때 축소·폐지되었다)
③ 9재 학당 설립
→ X(9재 학당을 설립한 인물은 고려 시대 최충이다)
④ 삼정이정청 설치
→ X(삼정이정청은 임술 농민 봉기 이후 삼정의 문란을 시정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정답 ①
'법원직 한국사 >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법원직 9급 한국사 해설_21~25번 (0) | 2022.12.10 |
---|---|
2022년 법원직 9급 한국사 해설_16~20번 (0) | 2022.12.10 |
2022년 법원직 9급 한국사 해설_11~15번 (0) | 2022.12.10 |
2022년 법원직 9급 한국사 해설_1~5번 (0) | 2022.1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