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밑줄 친 ‘왕’의 재위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은병을 통해 밑줄 친 ‘왕’이 고려 숙종임을 알 수 있다. 은병은 숙종 때 만들어진 고액 화폐로, 주로 지배층이 사용하였다.
ㄱ. 해동통보가 발행되었다.
→ O(해동통보는 숙종 때 발행되었다)
ㄴ. 의천이 화폐 주조를 건의하였다.
→ O(숙종 때 의천의 건의로 화폐 주조를 담당하는 관청이 주전도감이 설치되었다)
ㄷ. 원의 화폐인 지원보초가 유통되었다.
→ X(원의 화폐인 (지원)보초가 유통된 것은 고려 원 간섭기의 일이다)
ㄹ. 저화라고 불린 지폐가 제작되어 사용되었다.
→ X(공양왕 때 최초의 지폐인 저화가 발행되었다)
정답 ①
12. 자료에 나타난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형평사를 통해 자료에 나타난 운동이 형평 운동임을 알 수 있다.
① 백정에 대한 차별 철폐를 요구하였다.
→ O(형평 운동은 일제 강점기에 백정에 대한 차별 철폐를 요구하며 일어난 것이다)
② 공사 노비 제도가 폐지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 X(갑오개혁으로 공사 노비 제도가 폐지되었다)
③ 향·부곡·소를 일반 군현으로 승격할 것을 주장하였다.
→ X(향·부곡·소는 조선 시대에 일반 군현으로 승격되었다)
④ 평안도 지역에 대한 차별과 지배층의 수탈에 항거하였다.
→ X(평안도 지역에 대한 차별과 지배층의 수탈에 항거하여 일어난 것은 홍경래의 난이다)
정답 ①
13.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전쟁의 영향으로 가장 옳은 것은?
왜적, 명군을 통해 제시된 전쟁이 임진왜란임을 알 수 있다. 임진왜란이 일본(왜적)이 조선을 침략하며 일어난 전쟁으로, 이때 조선은 명의 지원을 받았다.
① 4군 6진이 개척되었다.
→ X(4군 6진은 세종 때 개척되었는데, 이는 임진왜란 이전의 일이다)
② 일본의 도자기 문화가 발달하였다.
→ O(임진왜란 때 일본은 우리나라의 도자기 장인들을 납치해 갔고, 이들을 통해 일본의 도자기 문화가 발달하였다)
③ 부산포, 제포, 염포에 왜관이 설치되었다.
→ X(세종 때 부산포, 제포, 염포의 3포가 개항되었는데, 임진왜란 이후 일본과 강화를 맺어 부산에 왜관을 설치하였다)
④ 황룡사 9층 목탑 등 문화재가 소실되었다.
→ X(황룡사 9층 목탑 등 문화재가 소실된 것은 고려 몽골 침입기의 일이다)
정답 ②
14. (가), (나) 시기 사이에 있었던 사실로 가장 옳은 것은?
(가) 백제왕, 평양성 공격을 통해 백제 근초고왕의 공격으로 고구려 고국원왕이 전사한 내용이다(371). 백제와 고구려는 황해도 지역을 놓고 대결하였고, 근초고왕의 공격으로 고국원왕이 전사하였다.
(나) 왕이 신라를 습격, 살해, 시호를 성이라고 하였다는 것을 통해 백제 성왕이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한 내용임을 알 수 있다). 백제와 신라가 연합하여 고구려로부터 한강 유역을 되찾았으나 곧 신라가 배신하여 백제는 영토를 상실하였다. 이에 백제 성왕이 신라를 공격하였으나 관산성 전투에서 패하고 전사하였다.
ⓛ 수가 고구려를 침입하였다.
→ X(수가 고구려를 침입한 것은 598년의 일로, (나) 이후이다)
② 고구려가 평양으로 천도하였다.
→ O(고구려는 장수왕 때 평양으로 천도(427)하였다)
③ 백제가 나당 연합군의 공격을 받았다.
→ X(백제가 나당 연합군의 공격을 받아 멸망한 것은 660년의 일로, (나) 이후이다)
④ 당이 매소성 전투에서 신라에 패하였다.
→ X(당이 매소성 전투에서 신라에 패배한 것은 675년의 일로, (나) 이후이다)
정답 ②
15. 밑줄 친 ‘이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호장을 통해 밑줄 친 ‘이들’이 고려 시대의 향리임을 알 수 있다. 고려 성종 때 호장, 부호장과 같은 향리 직제를 마련하였다.
① 자손이 음서의 혜택을 받았다.
→ X(고려 시대에 음서의 혜택은 받은 것은 5품 이상의 고위 관리들이다)
② 속현의 조세와 공물의 징수, 노역 징발 등을 담당하였다.
→ O(향리는 지방의 실질적인 지배층으로, 속현에서는 조세와 공물의 징수, 노역 징발 등을 담당하였다)
③ 수군, 조례, 역졸, 조졸 등으로 칠반천역이라고도 불렸다.
→ X(수군, 조례, 역졸 등은 신량역천이라고 하는데, 이는 신분은 양인이나 천역을 담당한 계층이다)
④ 수령의 행정 실무를 보좌하는 세습적인 아전으로 활동하였다.
→ X(조선 시대의 향리는 수령의 행정 실무를 보좌하는 세습적인 아전으로 격하되었다)
정답 ②
'법원직 한국사 >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법원직 9급 한국사 해설_21~25번 (0) | 2022.12.10 |
---|---|
2022년 법원직 9급 한국사 해설_16~20번 (0) | 2022.12.10 |
2022년 법원직 9급 한국사 해설_6~10번 (0) | 2022.12.10 |
2022년 법원직 9급 한국사 해설_1~5번 (0) | 2022.1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