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법원직 한국사/2022

2022년 법원직 9급 한국사 해설_1~5번

by 데일리히스토리 2022. 12. 10.
반응형

 

1. (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가장 옳은 것은?

(가) 시기는 원 간섭기이다. 고려는 원의 간섭을 받으면서 왕의 지위가 격하되어 ‘~왕’으로 불리게 되었다.

 

① 서경 유수 조위총이 난을 일으켰다.

→ X(서경 유수 조위총이 난을 일으킨 것은 무신 정권 초기의 일이다)

 

② 정동행성 이문소가 내정을 간섭하였다.

→ O(원 간섭기에 정동행성 이문소는 본래 범죄를 단속하는 사법 기구였으나 부원 세력을 대변하는 기구로 변질되었다)

 

③ 홍건적의 침입으로 왕이 복주로 피신하였다.

→ X(홍건적의 침입으로 공민왕이 복주로 피신하였다)

 

④ 삼별초가 진도와 제주도에서 항쟁을 전개하였다.

→ X(삼별초가 진도와 제주도에서 항쟁을 전개한 것은 원 간섭기 이전의 일이다)

 

정답 ②


2. 밑줄 친 ‘이 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좌수와 별감을 통해 밑줄 친 ‘이 기구’가 유향소임을 알 수 있다. 조선 시대에 유향소는 지방 사족 중심으로 구성된 향촌 자치적 성격의 기구로, 좌수와 별감이 임원이었다.

 

① 경재소를 통해 중앙의 통제를 받았다.

→ O(유향소를 통재하기 위해 경재소가 설치되었다)

 

② 향촌 사회의 풍속을 교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 O(유향소는 향촌 사회의 풍속을 교정하는 역할을 하였다)

 

③ 수령을 보좌하고 향리를 감찰하는 역할을 하였다.

→ O(유향소는 수령을 감시하고 향리를 감찰하는 역할을 하였다)

 

④ 전통적 공동 조직에 유교 윤리를 가미하여 만들었다.

→ X(전통적 공동 조직에 삼강오륜을 중심으로 한 유교 윤리를 가미하여 만든 것은 향약이다)

 

정답 ④


3. 밑줄 친 ‘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이차돈을 통해 밑줄 친 ‘왕’이 신라 법흥왕임을 알 수 있다.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법흥왕 때 불교를 공인하였다.

 

① 이사부를 파견하여 우산국을 복속시켰다.

→ 지증왕(이사부를 파견하여 지금의 울릉도인 우산국을 복속시킨 것은 지증왕 때의 일이다)

 

② 광개토 대왕의 지원으로 왜군을 격파하였다.

→ 내물 마립간(고구려 광개토 대왕의 지원으로 왜군을 격파한 왕은 내물 마립간이다)

 

③ 대가야를 정복하여 가야 연맹을 해체시켰다.

→ 진흥왕(대가야를 정복하여 가야 연맹을 해체시킨 왕은 진흥왕이다)

 

④ 상대등을 설치하여 정치 조직을 강화하였다.

→ 법흥왕(법흥왕은 화백 회의의 주관자이자 귀족들의 대표인 상대등을 설치하였다)

 

정답 ④


4. 다음 군대가 창설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별기군은 개항 이후 설치된 신식 군대로, 1881년에 설치되었다. 개항 이후 근대 정책을 총괄하기 위해 통리기무아문이 설치된 것은 1880년의 일이고, 근대 무기 제조 관서인 기기창이 설치된 것은 1883년의 일이다.

 

정답 ①


5. (가), (나) 사이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가장 옳은 것은?

(가) 남과 북이 상대방에 대해 무력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통해 남북 기본 합의서(1991)의 내용임을 알 수 있다. 남북은 남북 기본 합의서에 상호 불가침, 교류와 협력 확대 등의 내용을 담았다.

 

(나) 남측의 연합제 안과 북측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안이 공통성 있다고 인정하였다는 것을 통해 6·15 남북 공동 선언(2000)임을 알 수 있다. 6·15 남북 공동 선언에서 남북은 통일 방안의 유사성을 인정하였다.

 

① 남북조절위원회가 설치되었다.

→ X(남북 조절 위원회는 7·4 남북 공동 성명(1972)의 영향으로 설치되었다)

 

② 금강산 관광 사업이 시작되었다.

→ O(금강산 관광 사업이 시작된 것은 1998년의 일이다)

 

③ 제2차 남북 정상 회담이 개최되었다.

→ X(제2차 남북 정상 회담은 2007년에 개최되었다)

 

④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최초로 이루어졌다.

→ X(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최초로 이루어진 것은 1985년의 일이다)

 

정답 ②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