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법원직 한국사/2022

2022년 법원직 9급 한국사 해설_21~25번

by 데일리히스토리 2022. 12. 10.
반응형

 

21. (가), (나) 국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가) 탕평비를 통해 조선 영조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영조는 붕당의 폐해를 경계하기 위해 성균관 입구에 탕평비를 세웠다.

 

(나) 초계문신제를 통해 조선 정조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정조는 유능한 신진 인사를 재교육하는 초계문신제를 실시하였다.

 

① (가) - 장용영을 설치하여 군사권을 장악하였다.

→ 정조(장용영을 설치하여 군사권을 장악한 국왕은 정조이다)

 

② (가) - 조선과 청의 국경을 정하는 백두산정계비를 세웠다.

→ 숙종(조선고 청의 국경을 정하는 백두산정계비를 세운 국왕은 숙종이다)

 

③ (나) - 대전통편을 편찬하여 법령을 정비하였다.

→ 정조(『대전통편』을 편찬하여 법령을 정비한 국왕은 정조이다)

 

④ (나) - 삼정의 문란을 개혁하기 위해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였다.

→ 철종(철종 시기에 일어난 임술 농민 봉기 이후 삼정의 문란을 개혁하기 위해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였다)

 

정답 ③


22. 다음 사실을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가) 강희맹의 『금양잡록』은 조선 성종 때 편찬되었다.

 

(나) 신속의 『농가집성』은 조선 효종 때 편찬되었다.

 

(다) 이암이 『농상집요』를 들여온 것은 고려 원 간섭기의 일이다.

 

(라) 정초 등이 『농사직설』을 편찬한 것은 조선 세종 때의 일이다.

 

(가)~(라)를 시기순으로 나열하면 (다) - (라) - (가) - (나)이다.

 

정답 ③


23. 밑줄 친 ‘이 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일연, 불교사를 통해 밑줄 친 ‘이 책’이 『삼국유사』임을 알 수 있다. 일연은 불교사를 중심으로 민간 설화 등을 수록한 역사서인 『삼국유사』를 편찬하였다.

 

① 기전체 형식으로 서술되었다.

→ X(기전체 형식으로 서술된 가장 대표적인 역사서는 김부식 등의 『삼국사기』이다)

 

②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역사서이다.

→ X(우리나라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역사서는 김부식 등의 『삼국사기』이다)

 

③ 단군의 건국 이야기가 수록되었다.

→ O(일연은 『삼국유사』에 우리나라 최초로 단군의 건국 이야기를 수록하였다)

 

④ 대의명분을 중시하는 성리학적 사관을 반영하였다.

→ X(대의명분을 중시하는 성리학적 사관을 반영한 역사서는 이제현의 「사략」이다)

 

정답 ③


24.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김종서 등과 갈등, 집현전을 없앴다는 것을 통해 (가) 인물이 수양 대군(세조)임을 알 수 있다. 수양 대군은 단종 때 김종서 등이 왕권을 위협한다며 계유정난을 일으켜 이들을 제거하였다. 이후 세조로 즉위하여 집현전을 없앴다.

 

①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하였다.

→ 공민왕 등(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한 대표적인 인물은 고려 공민왕이다)

 

② 석보상절을 한글로 번역하여 편찬하였다.

→ 수양 대군(수양 대군은 세종 때 소헌 왕후의 명복을 빌며 석가의 일대기를 담은 『석보상절』을 편찬하였다)

 

③ 불교 종파를 선·교 양종으로 병합하였다.

→ 세종(불교 종파를 선·교 양종으로 병합한 인물은 조선 세종이다)

 

④ 정여립 모반 사건을 계기로 기축옥사를 일으켰다.

→ 선조(정여립 모반 사건을 계기로 기축옥사가 일어난 것은 선조 때의 일이다)

 

정답 ②


25. (가)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비파형 동검과 고인돌을 통해 세력 범위를 추정하는 있는 나라는 고조선이다.

 

① 상, 대부, 장군 등의 관직을 두었다.

→ 고조선(고조선은 왕 밑에 상, 대부, 장군 등의 관직을 두었다)

 

② 읍군, 삼로 등이 하호를 통치하였다.

→ 옥저와 동예(읍군, 삼로 등의 군장이 하호를 통치한 나라는 옥저, 동예이다)

 

③ 계루부 출신의 왕이 5부의 대가들과 함께 통치하였다.

→ 고구려(계루부 출신의 왕이 5부의 대가들과 함께 통치한 나라는 고구려이다)

 

④ 사람이 죽으면 가매장한 다음 뼈만 추려 목곽에 안치하였다.

→ 옥저(사람이 죽으면 가매장한 다음 뼈만 추려 목곽에 안치한 나라는 옥저이다)

 

정답 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