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시 한국사/2021

2021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16~20번 풀이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1. 29.
반응형

 

16. <보기>에서 고려시대 회화 작품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고사관수도 

→ 조선(고사관수도는 조선 전기의 문인 화가인 강희안이 그린 것입니다)

ㄴ. 부석사 조사당 벽화

→ 고려(부석사 조사당 벽화는 고려 시대의 대표적이 사찰 벽화입니다)

ㄷ. 예성강도 

→ 고려(예성 강도는 고련 전기의 화가인 이령이 그린 것입니다)

ㄹ. 송하보월도

→ 조선(송하보월도는 조선 중기의 노비 출신 화원인 이상좌가 그린 것입니다)

정답은 ㄴ, ㄷ으로, ③입니다. 


17. <보기>에 나타난 사건과 시기상 가장 먼 것은?

충주, 몽골군, 노군과 잡류만이 쫓아냄을 통해 <보기>의 사건이 고려 대몽 항쟁기에 일어난 충주 전투(제1차 침입, 1231)임을 알 수 있습니다. 몽골이 침입해 오자 충주 부사 등 지배층이 모두 도주하였으나 농민과 천민들이 대몽 항쟁을 전개하여 몽골군을 쫓아냈습니다. 

① 처인성에서 몽골 장수를 사살하였다.

→ 1232년(처인성 전투에서 김윤후가 몽골 장수인 살리타를 사살한 것은 몽골의 제2차 침입기인 1232년의 일입니다)

② 진주의 공·사노비와 합주의 부곡민이 합세하였다.

→ 1200년(무신 집권기에 진주에서 노비들이 반란을 일으켰는데, 이들은 합주의 민란에도 가담하였습니다)

③ 수도를 강화도로 옮기고 주민을 산성과 섬으로 피난시켰다.

→ 1232년(당시 집권자였던 최우는 몽골에 대항하기 위해 강화도로 천도하였습니다)

④ 몽골군이 경주의 황룡사 9층탑을 불태웠다.

→ 1235년(몽골의 제3차 침입 당시 경주의 황룡사 9층 목탑이 소실되었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18. <보기>의 제도가 처음 시행된 시기의 군사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보인 지급, 장정 2인 1보를 통해 <보기>의 제도가 조선 전기에 실시된 군사 제도임을 알 수 있습니다. 세조는 현역병인 정군과 정군의 군역 수행에 필요한 각종 경비를 부담하는 보인을 마련하였습니다. 

① 중앙군을 5군영으로 편성하였다.

→ 조선 후기(임진왜란 중에 설치된 훈련도감을 시작으로 숙종 때 금위영이 마련되면서 5군영 체제가 정비되었습니다)

② 2군 6위가 중앙과 국경을 수비하였다.

→ 고려(2군 6위는 고려의 중앙군입니다)

③ 지방군은 진관 체제를 바탕으로 조직되었다.

→ 조선 전기(세조 때 지역 단위의 방어 체제인 진관 체제를 마련하였습니다)

④ 양반부터 노비까지 모두 속오군에 편입시켰다.

→ 조선 후기(임진왜란 때 지방군 편제를 속오군으로 개편하였습니다. 이때 속오군에서 양반부터 노비까지 포함되었습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19. <보기>와 같은 주장을 편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토지 소유 제한, 「한민명전의」를 통해 <보기>와 같은 주장을 편 인물이 박지원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용후생 학파의 실학자인 박지원은 「한민명전의」에서 토지 소유의 상한선을 설정한 후 그 이상의 토지 소유를 금지하는 한전론을 주장하였습니다. 

① 『북학의』를 저술하여 청 문물의 수용을 역설하였다.

→ 박제가(『북학의』에서 청과의 통상 강화, 소비의 중요성 등을 주장한 인물은 박제가입니다)

② 「양반전」, 「호질」 등을 지어 놀고먹는 양반을 비판하였다.

→ 박지원(박지원은 「양반전」, 「호질」 등에서 양반의 허위의식을 비판하였습니다)

③ 화폐 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폐전론을 주장하였다.

→ 이익(화폐를 없애자는 폐전론을 주장한 인물은 이익입니다. 박지원은 용전론을 주장하였습니다)

④ 마을 단위로 토지를 공동 경작하여 분배할 것을 제안하였다.

→ 정약용(마을 단위로 토지를 공동 경작하여 분배하자는 여전론을 주장한 인물은 정약용입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20. <보기>의 자료와 관련된 개혁의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청에 의존하지 않음, 재정을 탁지아문에서 관할 등을 통해 <보기>의 자료가 제2차 갑오개혁 때 발표한 홍범 14조임을 알 수 있습니다. 고종은 개혁을 추진하기에 앞서 종묘에서 홍범 14조를 선포하였는데, 주요 내용으로는 청의 종주권 부인, 왕실 사무와 국정의 분리, 재정 일원화 등이 있습니다. 

① 지방에 진위대를 설치하고, 건양이라는 연호를 제정하였다.

→ 을미개혁(지방에 진위대 설치, 건양 연호 사용은 을미개혁의 내용입니다)

② 내각 제도를 수립하고, 인민평등권 확립과 조세 개혁 등을 추진하였다.

→ 갑신정변(내각 제도 수립, 인민 평등권 확립, 조세 개혁 등은 갑신정변 때 급진 개화파가 주장한 혁신 정강의 주요 내용입니다)

③ 의정부를 내각으로 개편하고, 지방제도를 8도에서 23부로 바꾸었다.

→ 제2차 갑오개혁(의정부를 내각으로, 지방 제도를 8도에서 23부로 개편한 것은 제2차 갑오개혁의 내용입니다)

④ 전라도 53군에 자치적 민정 기구인 집강소가 설치되었다.

→ 동학 농민 운동(집강소 설치는 동학 농민 운동에서 주장한 내용입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