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 <보기>의 (가), (나) 문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가) 대한 제국, 전제 정치를 통해 대한국 국제임을 알 수 있습니다.
(나) 관민이 동심합력, 전제 황권을 견고케 할 것을 통해 독립 협회의 헌의 6조임을 알 수 있습니다.
① (가)에서는 입법·사법·행정의 모든 권력이 황제에게 있음을 천명하였다.
→ O(대한국 국제에서는 대한 제국이 전제 정치 국가이며 입법·사법·행정 등의 모든 권력이 황제에게 있음을 규정하였습니다)
② (나)에서는 정부의 예산과 결산을 인민에게 공표할 것을 주장하였다.
→ O(헌의 6조의 제3조에 따르면 예산과 결산을 인민에게 공표해야 한다고 제시되어 있습니다)
③ (나)를 수용한 고종은 「조칙 5조」를 반포하였다.
→ O(조칙 5조는 고종이 헌의 6조를 받아들이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반포한 것입니다)
④ (가)에 따른 전제정치 선포에 반발하며 독립협회는 의회개설운동을 전개하였다.
→ X(대한국 국제는 1899년에 공포되었고, 독립 협회는 1898년에 해산되었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12. <보기>의 (가), (나) 시기 사이에 있었던 사실로 가장 옳은 것은?

(가) 고국원왕 전사를 통해 371년의 일임을 알 수 있습니다.
(나) 왜의 침입을 받은 신라 구원을 통해 400년의 일임을 알 수 있습니다(광개토 대왕 시기).
즉, 문제는 4세기 후반의 일을 묻고 있습니다.
① 수도를 평양성으로 천도하였다.
→ 5세기(평양성 천도는 475년으로, 고구려 장수왕 때의 일입니다)
② 낙랑군을 축출하고 대동강 유역을 차지하였다.
→ 4세기 전반(낙랑군 축출은 313년으로, 고구려 미천왕 때의 일입니다)
③ 요서지역에 대해 선제공격을 감행하였다.
→ 6세기(수의 세력 확대에 위협을 느낀 고구려의 요서 지역 선제 공격은 598년의 일입니다)
④ 태학을 설립하고 율령을 반포하여 체제 안정화 정책을 실시하였다.
→ 4세기 후반(고국원왕의 뒤를 이은 소수림왕은 국가적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태학 설립, 율령 반포 등의 체제 안정화 정책을 실시하였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13. <보기>의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태조와의 공산 전투에서 승리, 고창 전투에서 패배를 통해 (가) 인물이 후백제의 견훤임을 알 수 있습니다. 후백제의 견훤은 신라 경애왕을 살해한 뒤 철수하는 와중에 고려와 공산 전투를 벌였는데, 이때 고려가 대패하였습니다. 이후 고창 전투에서는 고려가 승리하여 후삼국의 전황이 고려에 유리해졌습니다.
① 오월에 사신을 보내 교류하였다.
→ 견훤(견훤은 중국의 오월, 후당 등에 사신을 보내 적극적인 대외 교류를 하였습니다)
② 송악에서 철원으로 도읍을 옮겼다.
→ 궁예(송악에서 철원으로 수도를 옮긴 인물은 궁예입니다)
③ 기훤, 양길의 휘하에서 세력을 키웠다.
→ 궁예(기훤, 양길 휘하에서 세력을 키운 인물은 궁예입니다)
④ 예성강을 중심으로 성장한 해상 세력이다.
→ 왕건(왕건은 예성강 일대에서 해상 무역을 통해 성장한 호족들과 연합하여 세력을 강화하였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14. <보기>의 사건들을 일어난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ㄴ. 동경 유학생들이 2·8 독립선언을 하였다.
→ 1919년(일본 유학생들의 비밀 결사인 조선 청년 독립단이 2·8 독립 선언서를 발표하였는데, 이는 3·1 운동의 도화선이 되었습니다)
ㄱ.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창간되었다.
→ 1920년(문화 통치기에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창간되었습니다)
ㄷ. 순종의 국장일에 만세 시위 사건이 일어났다.
→ 1926년(순종의 국장일에 맞춰 일어난 만세 시위는 1926년의 6·10 만세 운동입니다)
ㄹ. 조선어학회가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발표하였다.
→ 1933년(조선어 학회가 한굴 맞춤법 통일안을 발표한 것은 1933년의 일입니다)
시기순으로 나열하면 ㄴ - ㄱ - ㄷ - ㄹ로, 정답은 ②입니다.
15. <보기>의 사건들을 일어난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남인이 제2차 예송을 통해 집권하였다.
→ 1674년(현종 때 남인이 제2차 예송(갑인예송)에서 기년설을 주장하였고, 이 주장이 받아들여지면서 집권하였습니다)
ㄷ. 서인은 허적이 역모를 꾸몄다고 고발하여 남인을 축출하고 집권하였다.
→ 1680년(숙종 때 서인은 남인인 허적이 역모를 꾸몄다고 고발하여 남인을 축출하고 집권하였습니다. 이를 경신환국이라고 합니다)
ㄹ. 남인은 장희빈이 낳은 왕자가 세자로 책봉되는 과정을 거쳐 집권하였다.
→ 1689년(숙종 때 남인 계열인 희빈 장씨 아들의 세자 책봉 문제로 인해 서인과 남인이 갈등하였고, 결국 남인이 승리하여 다시 정권을 잡았습니다. 이를 기사환국이라고 합니다)
ㄴ. 노론과 소론이 민비를 복위하는 과정을 거쳐 집권하였다.
→ 갑술환국(서인이 인현 왕후(민비) 복위 운동을 전개하였고, 그 결과 남인이 몰락하고 서인이 재집권하였습니다. 이를 갑술환국이라고 합니다. 이후 서인 내부에서 노론과 소론이 정면 대립하게 되었습니다)
시기순으로 나열하면 ㄱ - ㄷ - ㄹ - ㄴ으로, 정답은 ①입니다.
'서울시 한국사 > 202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보훈청 추천, 'A'책형)_16~20번 풀이 (0) | 2023.01.29 |
---|---|
2021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보훈청 추천, 'A'책형)_11~15번 풀이 (0) | 2023.01.29 |
2021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16~20번 풀이 (0) | 2023.01.29 |
2021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6~10번 풀이 (0) | 2023.01.29 |
2021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1~5번 풀이 (0) | 2023.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