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보기>의 신라의 발전 과정을 시간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대가야를 정복하였다.
→ 진흥왕(562, 진흥왕이 보낸 이사부에 의해 대가야가 멸망하였습니다)
ㄴ. 우산국을 복속시켰다.
→ 지증왕(512, 지증왕은 이사부를 파견하여 우산국을 복속하였습니다)
ㄷ. 기벌포에서 당군을 격파하였다.
→ 문무왕(676, 문무왕 때 당의 수군을 기벌포에서 섬멸하였습니다)
ㄹ. 율령을 반포하고, 불교를 수용하였다.
→ 법흥왕(520~527, 법흥왕은 520년에 율령을 반포하여 중앙 집권적 고대 국가 체제를 정비하였고, 527년에 이차돈의 순교를 통해 불교를 공인하였습니다. 사실 이 문제는 약간 혼동의 여지가 있습니다. 신라가 불교를 수용한 것은 눌지왕 때이고, 법흥왕 때에는 공인을 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눌지왕으로 할 경우 불교 수용이 가장 이르지만 율령을 반포하였다고 했기 때문에 법흥왕으로 봐야 합니다)
시간순으로 나열하면 ㄴ - ㄹ - ㄱ - ㄷ로, 정답은 ③입니다.
12. <보기>의 밑줄 친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여자 나이 10살이 되기 전에 혼인을 약속한다는 것을 통해 옥저의 민며느리제를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민며느리제는 여자가 어렸을 때 남자 집에서 살다가 성장한 후 남자가 여자 집에 예물을 치르고 결혼하는 일종의 매매혼으로, 옥저의 혼인 풍습이었습니다.
① 시체를 가매장했다가 나중에 뼈만 추려 큰 목곽에 안치하였다.
→ 옥저(옥저에서는 가족이 죽으면 시체를 가매장하였다가 나중에 뼈만 추려 가족 공동 무덤인 큰 목곽에 안치하였습니다)
② 천군이라 불리는 종교지도자가 있었다.
→ 삼한(천군이라는 종교 지도자가 있었던 나라는 삼한입니다)
③ 특산물로는 단궁, 과하마, 반어피가 유명하였다.
→ 동예(단궁, 과하마, 반어피 등은 동예의 특산물이었습니다)
④ 매년 12월에 제천 행사를 열었다.
→ 부여(매년 12월에 제천 행사인 영고를 열었던 나라는 부여입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13. <보기>의 밑줄 친 ‘왕’의 업적으로 가장 옳은 것은?

순도 파견, 태학 설립을 통해 밑줄 친 ‘왕’이 고구려 소수림왕임을 알 수 있습니다. 소수림왕은 전진의 왕 부견이 보낸 승려 순도를 통해 불교를 받아들였고, 우리나라 최초의 국립 대학인 태학을 설립하였습니다.
① 진대법을 실시하였다.
→ 고국천왕(춘궁기에 곡식을 빌려주고 추수기에 갚도록 하는 진대법을 실시한 왕은 고구려 고국천왕입니다)
② 평양으로 도읍을 옮겼다.
→ 장수왕(남진 정책을 추진하여 평양으로 도읍을 옮긴 왕은 고구려 장수왕입니다)
③ 신라에 침입한 왜를 격퇴하였다.
→ 광개토 대왕(신라의 구원 요청을 받아 신라에 침입한 왜를 격퇴한 왕은 고구려 광개토 대왕입니다)
④ 율령을 반포하여 국가 체제를 정비하였다.
→ 소수림왕(소수림왕은 국가 통치의 기본법인 율령을 반포하여 국가 체제를 정비하였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14. <보기>에서 공민왕의 개혁 정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공민왕은 반원 자주 개혁 정책을 추진한 고려의 왕입니다.
ㄱ. 정치도감의 설치
→ 충목왕(정치도감을 설치하여 양전 사업을 실시하고 권세가들이 빼앗은 토지와 노비를 본 주인에게 환원한 왕은 고려 충목왕입니다)
ㄴ. 도방의 설치
→ 경대승(사병 집단인 도방을 처음 설치한 인물은 경대승입니다. 이후 최충헌이 도방을 확대 개편하였습니다)
ㄷ. 동북9성의 설치
→ 예종(윤관 등 별무반을 파견하여 동북 9성을 설치한 왕은 예종입니다)
ㄹ. 신돈의 등용
→ 공민왕(공민왕은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하고 신돈을 등용하여 개혁 정책을 추진하였습니다)
ㅁ. 교정도감 설치
→ 최충헌(국정을 총괄하는 무신 정권 최고의 권력 기구인 교정도감을 설치한 인물은 최충헌입니다)
ㅂ. 정동행성이문소 폐지
→ 공민왕(공민왕은 부원 세력을 대변하는 기구로 변질되었던 정동행성 이문소를 폐지하였습니다)
정답은 ㄹ, ㅂ으로, ④입니다.
15. <보기>에서 고려 시대의 불교 유물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불국사 3층 석탑
→ 통일 신라(불국사 3층 석탑은 전형적인 통일 신라의 석탑입니다)
ㄴ. 경천사 10층 석탑
→ 고려(경천사 10층 석탑은 원의 석탑을 본뜬 것으로, 고려 후기의 석탑입니다)
ㄷ. 법주사 쌍사자 석등
→ 통일 신라(법주사 쌍사자 석등은 균형잡힌 모습을 보여 주는 통일 신라의 석등입니다)
ㄹ. 법천사 지광국사 현묘탑
→ 고려(법천사 지광국사 현묘탑은 특이한 형태를 띠면서도 조형미가 뛰어난 고려 시대의 승탑입니다)
정답은 ㄴ, ㄹ로, ④입니다.
'서울시 한국사 > 202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보훈청 추천, 'A'책형)_16~20번 풀이 (0) | 2023.01.29 |
---|---|
2021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16~20번 풀이 (0) | 2023.01.29 |
2021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11~15번 풀이 (0) | 2023.01.29 |
2021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6~10번 풀이 (0) | 2023.01.29 |
2021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1~5번 풀이 (0) | 2023.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