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보기〉의 밑줄 친 ‘이 시대’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벼농사가 보급되었다는 것을 통해 밑줄 친 ‘이 시대’가 청동기 시대임을 알 수 있습니다. 청동기 시대에는 조, 보리 등 밭농사가 주로 행해졌으나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는 벼농사가 시작되었습니다.
① 고인돌
→ O(고인돌은 청동기 시대 지배층의 무덤입니다)
② 반달 돌칼
→ O(반달 돌칼은 청동기 시대의 농기구로 간석기입니다. 청동기 시대에는 청동이 귀하였기 때문에 농기구로는 여전히 간석기를 사용하였습니다)
③ 민무늬 토기
→ O(민무늬 토기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입니다)
④ 슴베찌르개
→ X(슴베찌르개는 구석기 후기에 사용된 도구입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2. 〈보기〉의 정책을 실시한 신라의 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병부 설치, 금관가야 정복을 통해 제시된 신라의 왕이 법흥왕임을 알 수 있습니다. 법흥왕은 군사권 장악을 위해 중앙 부서로 병부를 설치하였고, 금관가야를 병합하여 영토를 확장하였습니다.
① 백제 성왕과 동맹하여 고구려가 장악했던 한강유역을 차지했다.
→ 진흥왕(백제 성왕과 동맹하여 고구려가 장악하였던 한강 유역을 차지한 왕은 진흥왕입니다)
② 우산국으로 불리던 울릉도를 정복하여 영토로 편입하였다.
→ 지증왕(우산국으로 불리던 울릉도를 정복하여 영토로 편입한 왕은 지증왕입니다)
③ 백관의 공복을 제정하여 귀족을 관료로 등급화시켰다.
→ 법흥왕(법흥왕은 17관등 및 백관의 공복을 제정하여 귀족을 관료로 등급화하였습니다)
④ 신라 역사상 최대 영역을 확보했다.
→ 진흥왕(통일 이전에 신라 역사상 최대 영역을 확보한 왕은 진흥왕입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3. 문화통치시기 일제의 조선통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3·1 운동 이후 일제는 기만적인 문화 통치를 실시하였습니다.
① 토지조사사업을 실시하여 근대적 토지소유관계를 확립하고, 식민지 지주소작제를 수립하였다.
→ 무단 통치(토지 조사 사업은 무단 통치 시기에 실시되었습니다)
② 식량생산을 대폭 늘려 일본으로 더 많은 쌀을 가져가기 위해 이른바 산미증식계획을 세워 추진하였다.
→ 문화 통치(문화 통치 시기 일제는 본토의 부족한 식량을 보충하기 위해 한반도에서 산미 증식 계획을 실시하였습니다)
③ 일본자본가들의 과잉자본을 조선에 투자하고, 전쟁에 필요한 필수품 조달을 위해 군수공업을 위주로 하는 공업화정책이 추진되었다.
→ 민족 말살 통치(민족 말살 통치 시기 전쟁 규모를 확대한 일제는 전쟁에 필요한 물품을 조달하기 위해 한반도에 대한 공업화 정책을 실시하였습니다)
④ 우리민족을 일본국민으로 동화시키기 위해 민족말살정책을 추진했다.
→ 민족 말살 통치(민족 말살 통치 시기에 일제는 전쟁이 한국인들을 동원하기 위해 한국인을 일본 국민으로 동화하는 민족 말살 정책을 실시하였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4. 〈보기〉의 상황을 한국전쟁의 전개과정에 따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유엔군이 인천 상륙 작전에 성공하였다.
→ 1950년 9월, 유엔군이 인천 상륙 작전에 성공하여 전세를 반전시켰습니다.
ㄴ. 중국군이 대규모 병력을 파견하기 시작하였다.
→ 인천 상륙 작전에 성공한 이후 국군과 유엔군이 평양을 수복하고 압록강까지 진격하자 위기를 느낀 중국군이 대규모 군대를 파견하였습니다.
ㄷ. 판문점 부근에서 휴전회담이 열리기 시작하였다.
→ 국군과 유엔군은 38도선을 중심으로 치열한 교전을 전개하였고, 전쟁이 확대될 것을 우려한 소련의 제의로 휴전 회담이 실시되었습니다.
ㄹ. 이승만 정부가 반공포로 석방 조치를 실행하였다.
→ 휴전 협정을 격렬하게 반대한 이승만 정부는 회담의 쟁점이었던 반공포로 석방 조치를 실행하였습니다.
ㄱ~ㄹ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ㄱ → ㄴ → ㄷ → ㄹ로, 정답은 ①입니다.
5. 고려시대 왕들의 교육제도 정비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숙종 대에 서적포라는 국립출판사를 두어 책을 간행하였다.
→ O(숙종은 서적 간행을 활성화하기 위해 일종의 국립 출판사인 서적포를 설치하였습니다)
② 예종 대에는 사립학교 구재(九齋)를 설치하였다.
→ X(예종은 관학 부흥을 위해 국학에 전문 강좌인 7재를 설치하였습니다)
③ 문종은 양현고라는 장학재단을 설치하여 운영하였다.
→ X(양현고라는 장학 재단을 설치하여 운영한 왕은 예종입니다)
④ 고려의 국립대학 국자감은 충선왕 대에 국학으로 개칭되었다.
→ X(국자감을 국학으로 개칭한 왕은 예종입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서울시 한국사 >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서울시 9급 6월 공무원 한국사('A'책형)_16~20번 풀이 (0) | 2023.01.24 |
---|---|
2022년 서울시 9급 6월 공무원 한국사('A'책형)_11~15번 풀이 (0) | 2023.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