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밑줄 친 ‘왕’의 행적으로 옳은 것은?
고려의 왕공이 우리 왕을 위로하였다는 것을 통해 고려의 왕공은 태조 왕건이고 밑줄 친 ‘왕’이 신라 경순왕임을 알 수 있다. 경순왕은 신라의 마지막 왕이다.
① 발해를 건국하였다.
→ 대조영(발해를 건국한 인물은 대조영이다)
② 고려에 귀순하였다.
→ 경순왕(경순왕은 고려에 항복하고 귀순하였다)
③ 철원에 수도를 정하였다.
→ 궁예(철원에 수도를 정한 인물은 후고구려를 세운 궁예이다)
④ ‘천수’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다.
→ 태조 왕건(‘천수’ 연호를 사용한 인물은 고려의 태조 왕건이다)
정답 ②
7. 다음 자료를 활용한 탐구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이자겸, 최충 등은 고려의 문벌 귀족이다.
① 과거의 폐단
→ X(과거제는 고려 광종 때 우리나라에서 처음 실시되었다)
② 훈척의 소멸
→ X(훈척은 나라에 공운 세운 임금의 친척을 의미한다)
③ 문벌의 형성
→ O(고려 시대에는 여러 대에 걸쳐 고위 관료를 배출한 가문들이 왕실과 혼인을 맺거나 상호 간의 혼인을 통해 문벌 귀족을 형성하였다. 대표적인 가문으로 경원 이씨, 해주 최씨 등이 있다)
④ 최씨정권의 형성
→ X(무신 정권기 최충헌이 권력을 잡으며 최씨 정권이 형성되었다)
정답 ③
8. 다음 건의문이 올려진 이후에 발생한 사건으로 옳은 것은?
이의민, 10가지 사항을 통해 제시된 건의문이 최충헌의 봉사 10조임을 알 수 있다. 최충헌은 천민 출신으로 경대승 사후 정권을 잡았던 이의민을 제거하고, 무신 정권 초기의 혼란을 극복하기 위해 봉사 10조를 발표하였다.
① 이의방이 정변을 일으켰다.
→ X(이의방, 정중부 등이 무신 정변을 일으킨 것은 최충헌 집권 이전의 일이다)
② 정방과 삼별초가 설치되었다.
→ O(최충헌 이후 집권한 최우가 인사 기구인 정방, 군사 조직인 삼별초를 설치하였다)
③ 척준경이 이자겸을 제거하였다.
→ X(이자겸의 난 때 이자겸과 반목한 척준경이 이자겸을 제거한 것은 인종 때로, 최충헌 집권 이전의 일이다)
④ 묘청이 국호를 대위로 정하였다.
→ X(묘청이 국호를 대위로 정하고 난을 일으킨 것은 인종 때로, 최충헌 집권 이전의 일이다)
정답 ②
9. ㉮ ~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는 국가로부터 토지를 지급받았다.
→ O(정호는 직역을 지는 대신 국가로부터 토지를 받았다)
② ㉮와 ㉯에는 수령이 파견되지 않았다.
→ O(속현과 향·소·부곡에는 수령이 파견되지 않는 대신 향리가 행정을 전담하였다)
③ ㉱는 ㉰와 달리 직역을 수행하지 않았다.
→ O(백정은 정호와 달리 직역을 수행하지 않았으나 조세, 공납, 역의 의무를 수행하였다)
④ ㉯의 주민은 과거를 통해 하급 관료가 될 수 있었다.
→ X(향·소·부곡 주민들의 신분은 양인이었으나 과거 응시 불가 등 법적인 차별을 받았다)
정답 ④
10. 다음 자료에 해당하는 서적으로 옳은 것은?
성종 때 간행, 저자가 직접 농사 지어보고 저술하였다는 것을 통해 제시된 자료에 해당하는 서적이 강희맹의 『금양잡록』임을 알 수 있다.
① 구황촬요
→ X(『구황촬요』는 조선 명종 때 간행된 흉년에 대비한 책이다)
② 금양잡록
→ O(강희맹은 금양(현재의 경기도 시흥과 과천)에서 직접 농사 지은 경험을 바탕으로 농서인 『금양잡록』을 저술하였다)
③ 농사직설
→ X(『농사직설』은 조선 세종 때 간행된 농서로, 농민들의 실제 경험을 토대로 저술되었다)
④ 농상집요
→ X(『농상집요』는 고려 말 이암이 중국에서 들여와 보급한 농서이다)
정답 ②
'소방직 한국사 >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소방직 한국사 해설_16~20번 (0) | 2023.01.08 |
---|---|
2022년 소방직 한국사 해설_11~15번 (0) | 2023.01.08 |
2022년 소방직 한국사 해설_1~5번 (0) | 2023.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