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직 한국사/2022

2022년 소방직 한국사 해설_11~15번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1. 8.
반응형

11. (가)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가) 허적, 복선군을 통해 경신환국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남인인 허적이 군사용 천막을 허락 없이 사용하여 숙종의 심기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서인들이 허적의 서자 허견 등의 역모 사건(허견이 복창군, 복선군, 복평군과 역모를 꾀하였다는 사건)을 고발하였다. 이에 많은 남인들의 축출되었다.

 

(나) 송시열, 원자의 명호를 통해 기사환국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희빈 장씨의 아들을 원자로 삼으려고 하자 서인인 송시열 등이 반대하였다. 이에 숙종은 기사환국을 일으켜 서인 세력을 몰아내고 인현 왕후를 폐출시켰다.

 

① 서인이 정국을 주도하였다.

→ O(경신환국으로 남인이 축출되자 서인이 정국을 주도하였다)

 

② 정여립 모반 사건이 발생하였다.

→ X(정여립 모반 사건은 선조 때 발생하였으므로, (가) 시기 이전이다)

 

③ 노론이 연잉군의 세제 책봉을 주장하였다.

→ X(노론이 연잉군(영조)의 세제 책봉을 주장한 것은 경종 때의 일로, (나) 시기 이후이다)

 

④ 자의 대비의 복상 문제로 붕당 간 대립이 발생하였다.

→ X(장의 대비의 복상 문제로 붕당 간 대립인 예송이 발생한 것은 현종 때로, (가) 시기 이전이다)

 

정답 ①


12. 밑줄 친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강홍립, 후금과 친선을 꾀하는 중립 정책을 통해 밑줄 친 ‘왕’이 조선 광해군임을 알 수 있다. 광해군은 명과 후금 사이에서 친선을 꾀한 중립 정책을 취하였다. 이에 명이 후금과 전쟁을 위한 군사 지원을 요청하자 광해군은 강홍립을 보내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하도록 명하였다.

 

① 허준이 『동의보감』을 완성하였다.

→ O(조선 의학을 집대성한 허준의 『동의보감』은 광해군 때 완성되었다)

 

② 경기도에 한하여 대동법을 실시하였다.

→ O(광해군 때 경기도에 한하여 대동법을 실시하였고, 숙종 때 전국으로 확대 실시되었다)

 

③ 국방력 강화를 위해 5군영 체제를 완비하였다.

→ X(숙종 때 금위영이 설치되면서 5군영 체제가 완비되었다)

 

④ 기유약조를 체결하여 제한된 범위의 교섭을 허용하였다.

→ O(광해군은 일본과 기유약조를 체결하여 제한된 범위의 교섭을 허용하였다)

 

정답


13. (가) 시기의 역사적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황제 칭호를 통해 (가) 시기가 대한 제국임을 알 수 있다. 고종은 국호를 ‘대한 제국’으로 고치고 황제 즉위식을 거행하였다.

 

① 「대한국 국제」를 반포하였다.

→ O(대한 제국 시기에 일종의 헌법과 같은 「대한국 국제」를 반포하였다)

 

② 토지 소유자에게 지계를 발급하였다.

→ O(대한 제국 시기에 광무개혁을 실시하였는데, 이때 근대적 토지 소유권 제도를 마련하기 위해 토지 소유자에게 지계를 발급하였다)

 

③ 근대식 교육 기관인 육영 공원을 설립하였다.

→ X(육영공원이 설립된 것은 대한 제국 이전인 1886년의 일이다. 대한 제국은 1897년에 수립되었다)

 

④ 청과 대등한 입장에서 통상 조약을 체결하였다.

→ X(대한 제국은 속방이 아닌 청과 대등한 입장에서 한청 통상 조약을 체결하였다)

 

정답 ③


14. (가)와 (나) 사건 사이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가) 변이 일어나자 임금이 대원군을 불렀다는 것을 통해 임오군란(1882)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고종은 난을 진정시키기 위해 대원군을 불러들였다. 재집권한 대원군은 정부의 개화 정책을 중단하였다.

 

(나) 박영효, 김옥균, 서광범, 서재필 등은 갑신정변(1884)을 일으킨 인물들이다. 갑신정변이 실패하자 이들은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① 군국기무처가 설치되었다.

→ X(군국기무처가 설치된 것은 1894년으로, (나) 이후의 일이다)

 

② 이만손 등이 영남 만인소를 올렸다.

→ X(이만손 등이 개화 정책에 반대하며 영남 만인소를 올린 것은 1881년으로, (가) 이전의 일이다)

 

③ 영국이 거문도를 불법으로 점령하였다.

→ X(영국이 거문도를 불법 점령한 시기는 1885~1887년으로, (나) 이후의 일이다)

 

④ 조선은 일본과 제물포 조약을 체결하였다.

→ O(임오군란이 일어난 이후 조선은 일본에 배상금을 지불하고, 일본 공사관의 경비 병력 주둔을 허용한다는 제물포 조약을 체결하였다)

 

정답 ④


15. (가)~(라)의 민주화 운동을 일어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가) 부·마 민주 항쟁

→ 1979년(유신 체제에 비판적이었던 김영삼 전 신민당 총재가 국회에서 제명되자 부산, 마산 등에서 유신 체젱 반대하는 시위가 일어났다)

 

(나) 3·1 민주 구국 선언

→ 1976년(윤보선, 김대중 등 재야 인사들이 명동 성당에서 긴급 조치 철폐, 박정희 정권 퇴진 등을 요구하는 3·1 민주 구국 선언을 발표하였다)

 

(다) 6월 민주 항쟁

→ 1987년(간선제를 유지하겠다는 4·13 호헌 조치에 반발하여 6월 민주 항쟁이 일어났다)

 

(라) 5·18 민주화 운동

→ 1980년(신군부가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려 하자 이에 반대하며 광주에서 5·18 민주화 운동이 일어났다)

 

(가)~(라)의 민주화 운동을 일어난 순서대로 나열하면 (나) → (가) → (라) → (다)이다.

 

정답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