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가)에 들어갈 인물로 옳은 것은?
삼균주의를 통해 (가)에 들어갈 인물이 조소앙임을 알 수 있다.
① 김규식
→ X(김규식은 파리 강화 회의에 독립 청원서를 제출하러 파견되었다)
② 여운형
→ X(여운형은 광복 직전 조선 건국 동맹을 조직하고, 이후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로 개편하였다)
③ 안재홍
→ X(중도 우파 안재홍 등은 중도 좌파 여운형 등과 연합하여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를 조직하였다)
④ 조소앙
→ O(삼균주의는 인간 평등, 민족 평등, 국가 평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조소앙의 삼균주의를 바탕으로 건국 강령을 발표하였다)
정답 ④
17. 다음 자료에 나타난 민족 운동이 전개된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대학의 설립을 통해 제시된 자료에 나타난 민족 운동이 1920년대 민립 대학 설립 운동임을 알 수 있다. 일제의 식민지 차별 교육에 대항하여 한국인 본위의 고등 교육 기관 설립을 주장하며 민립 대학 설립 운동이 전개되었다.
① 조선인이 발행한 신문을 검열하였다.
→ O(1920년대 문화 통치를 실시하면서 한국어로 된 신문 발행이 가능하였으나 일제는 이런 신문들을 검열하였다)
② 공출제를 실시하여 미곡을 강제로 거두었다.
→ X(1930~1940년대 일제는 전쟁 규모를 확대하며 군량미를 확보하기 위해 한반도에 공출제를 실시하고 미곡을 강제로 거두었다)
③ 조선 태형령을 제정하여 조선인을 탄압하였다.
→ X(1910년대 무단 통치기 일제는 한국인에게만 차별적으로 적용하는 조선 태형령을 제정하였다)
④ 노동력 동원을 위해 국민 징용령을 시행하였다.
→ X(1930~1940년대 일제는 노동력 동원을 위해 국민 징용령을 시행하였다)
정답 ①
18. 다음 전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대전자령을 통해 제시된 전투가 한국 독립군이 일본군에 승리를 거둔 대전자령 전투임을 알 수 있다. 한국 독립군은 쌍성보, 대전자령, 사도하자, 동경성 등에서 일본군에 대승을 거두었다.
① 한·중 연합 작전으로 전개되었다.
→ O(한국 독립군은 북만주 일대에서 중국 호로군과 연합 작전을 수행하였다)
② 양세봉이 이끄는 부대가 일본군을 격퇴하였다.
→ X(양세봉이 이끄는 부대는 조선 혁명군이다. 한국 독립군은 지청천 등이 이끌었다)
③ 독립군 통합 부대가 자유시로 이동하게 되었다.
→ X(독립군 통합 부대가 자유시로 이동한 것은 대전자령 전투 이전의 일이다)
④ 봉오동에서 패배한 일본군의 반격으로 시작되었다.
→ X(봉오동에서 패배한 일본군의 반격으로 청산리 전투가 일어났으나 이때에도 독립군이 대승을 거두었다)
정답 ①
19. 다음 자료에 해당하는 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구 백동화 교환을 통해 제시된 자료에 해당하는 정책이 화폐 정리 사업임을 알 수 있다. 일본은 구 백동화를 일본 제일은행권으로 교환하는 정책을 실시하여 대한 제국의 경제를 일본에 예속하고자 하였다.
① 한국 상업 자본에 큰 타격을 주었다.
→ O(화폐 정리 사업에서 화폐 교환이 등급별로 이루어져 제대로 보상을 받지 못한 국내 상공업자들이 큰 타격을 받았다)
② 재정 고문 메가타의 주도로 시행되었다.
→ O(화폐 정리 사업은 제1차 한일 협약에 따라 재정 고문으로 대한 제국에 들어온 메가타의 주도로 시행되었다)
③ 전환국에서 새로운 화폐를 발행하게 되었다.
→ X(일본은 화폐 정리 사업을 실시할 때 대한 제국에서 화폐 주조를 담당하던 전환국을 폐지하였다)
④ 일본 제일은행이 한국의 중앙은행 지위를 확보하게 되었다.
→ O(화폐 정리 사업으로 일본 제일은행권을 조선의 본위 화폐로 지정하여 제일은행이 한국의 중앙 은행 지위를 확보하였다)
정답 ③
20. 다음 연설을 한 정부의 통일 노력으로 옳은 것은?
남북한의 유엔 가입을 통해 제시된 연설을 한 정부가 노태우 정부임을 알 수 있다. 국제 정세의 변화, 남한의 적극적인 북방 외교 정책 등으로 인해 남북 관계가 진전되었고, 그 결과 남북이 유엔이 동시 가입하였다.
① 남북 기본 합의서를 채택하였다.
→ 노태우 정부(노태우 정부 때 남북은 상호 불가침, 교류와 협력 확대 등의 내용을 담은 남북 기본 합의서를 채택하였다)
② 7·4 남북 공동 성명을 발표하였다.
→ 박정희 정부(7·4 남북 공동 성명을 발표한 것은 박정희 정부 때의 일이다)
③ 6·15 남북 공동 선언을 발표하였다.
→ 김대중 정부(6·15 남북 공동 선언을 발표한 것은 김대중 정부 때의 일이다)
④ 제2차 남북 정상 회담을 개최하였다.
→ 노무현 정부(제2차 남북 정상 회담은 노무현 정부 때 개최되었다)
정답 ①
'소방직 한국사 >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소방직 한국사 해설_11~15번 (0) | 2023.01.08 |
---|---|
2022년 소방직 한국사 해설_6~10번 (0) | 2023.01.08 |
2022년 소방직 한국사 해설_1~5번 (0) | 2023.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