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직 한국사/2022

2022년 소방직 한국사 해설_1~5번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1. 8.
반응형

 

 

 

 

 

 

1.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소노부, 계루부 등 5부를 통해 (가) 국가가 고구려임을 알 수 있다. 고구려는 계루부 등 5부족 연맹으로 이루어졌다.

 

① 신성 지역인 소도가 존재하였다.

→ 삼한(신성 지역인 소도가 존재한 국가는 삼한이다)

 

② 서옥제라는 혼인 풍습이 있었다.

→ 고구려(고구려에서는 신랑이 처가에 살면서 자식을 낳고 일을 하다가 자식이 성장하며 신랑 집으로 돌아가는 서옥제라는 혼인 풍습이 있었다)

 

③ 가(加)들이 사출도를 나누어 다스렸다.

→ 부여(가들이 사출도로 불리는 행정 구역을 통치한 국가는 부여이다)

 

④ 8조법을 만들어 사회 질서를 유지하였다.

→ 고조선(8조법을 만들어 사회 질서를 유지한 국가는 고조선이다)

 

정답 ②


2. (가)와 (나) 사건 사이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가) 고구려 왕, 한성 포위를 통해 고구려 장수왕의 한강 유역 차지(475)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장수왕은 백제를 공격해 수도 한성을 함락하고 한강 유역을 차지하였다.

 

(나) 왕이 신라를 습격하였으나 살해되었다는 것을 통해 백제 성왕의 관산성 전투(554)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백제와 신라는 힘을 합쳐 고구려로부터 한강 유역을 되찾았으나 신라의 배신으로 백제는 한강 유역을 빼앗겼다. 이에 백제 성왕이 신라를 공격하였으나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① 신라가 대가야를 병합하였다.

→ X(신라 진흥왕이 대가야를 병합한 것은 562년의 일이다)

 

② 백제가 22담로에 왕족을 파견하였다.

→ O(한강 유역을 빼앗긴 백제는 한성에서 웅진으로 수도를 옮겼다. 이 시기 동성왕은 22담로에 왕족은 파견하여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이후 백제는 성왕 때 사비로 도읍을 옮겼다)

 

③ 고구려가 국내성으로 수도를 옮겼다.

→ X(고구려 유리왕 때 국내성으로 수도를 옮겼는데, 이는 (가) 이전이다)

 

④ 백제가 마한의 잔여 세력을 복속하였다.

→ X(백제 근초고왕이 마한의 잔여 세력을 복속하였는데, 이는 (가) 이전이다)

 

정답 ②


3. 다음 자료에 해당하는 제도로 옳은 것은?

『논어』와 『효경』, 상품, 중품, 하품을 통해 제시된 자료에 해당하는 제도가 통일 신라의 독서삼품과임을 알 수 있다.

 

① 현량과

→ X(현량과는 조선 중종 때 조광조가 제시한 관리 등용 방식으로, 일종의 추천제이다)

 

② 골품 제도

→ X(골품 제도는 신라의 신분 제도로, 골품에 따라 관등의 상한선을 정한 것이다)

 

③ 독서삼품과

→ O(통일 신라는 국학에서 『논어』와 『효경 』 등 유교 경전을 가르쳤는데, 이해 정도에 따라 상품, 중품, 하품으로 구분하여 관리로 채용하는 독서삼품과를 실시하였다)

 

④ 상수리 제도

→ X(상수리 제도는 지방 귀족들 수도에 머물게 하는 통일 신라의 제도로, 지방 세력을 견제하기 위한 것이었다)

 

정답 ③

 


4. 다음 사건이 일어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연개소문, 안시성을 통해 7세기의 일임을 알 수 있다. 고구려는 당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천리장성을 축조하였는데, 연개소문은 축조 감독자였다. 연개소문은 요동 지방의 군사력을 바탕으로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였다. 연개소문이 대당 강경책을 실시하자 당이 침입하였는데, 고구려는 안시성 전투에서 당군을 격파하였다(645).

살수 대첩은 612년, 백제 멸망은 660년의 일이므로, 제시된 사건은 (나) 시기에 일어났다.

 

정답 ②


5. 다음 문화유산이 소재한 지역에서 있었던 역사적 사실로 옳은 것은?

첫 번째 문화유산은 익산 미륵사지 석탑이다. 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목탑에서 석탑으로 넘어가는 과도기 형태이다. 두 번째 문화유산은 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이다. 두 문화유산 모두 백제의 문화유산이다.

 

① 안승의 보덕국 건국

→ O(보덕국은 신라가 고구려를 멸망시킨 후 금마저(현재의 전라북도 익산)에 설치했던 고구려 유민의 나라이다)

 

② 매소성 전투의 전개

→ X(매소성 전투는 나당 전쟁 중 신라군이 당군을 물리친 전투인데, 매소성은 현재의 경기도 연천군이다)

 

③ 진흥왕의 순수비 건립

→ X(진흥왕 순수비로는 서울의 북한산 순수비, 경상남도 창녕군의 창녕 척경비, 함경남도 항흥의 황초령 순수비와 마운령 순수비가 있다)

 

④ 원종과 애노의 난 발생

→ X(원종과 애노의 난은 통일 신라 진성 여왕 때 사벌주(현재의 경상북도 상주)에서 일어난 농민 봉기이다)

 

정답 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