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다음과 같은 주장을 편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지구만이 공교롭게 중앙에 위치해 있다는 것은 이럴 이치가 없다라고 하며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 아니라고 주장한 인물은 홍대용이다. 홍대용은 『의산문답』에서 무한 우주론을 전개하였다.
① 『양반전』을 지어 양반의 허례와 무능을 풍자하였다.
→ 박지원(『양반전』을 지어 양반의 허례와 무능을 풍자한 인물은 박지원이다)
② 지전설을 바탕으로 중국 중심의 세계관을 비판하였다.
→ 홍대용(홍대용은 김석문과 함께 지전설을 주장하며 중국 중심의 세계관을 비판하였다)
③ 『우서』에서 사농공상의 평등과 전문화를 주장하였다.
→ 유수원(『우서』에서 사농공상의 평등과 전문화를 주장한 인물은 유수원이다)
④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를 처음으로 고증하였다.
→ 김정희(『금석과안록』에서 신라 진흥왕 순수비를 처음 고증한 인물은 김정희이다)
⑤ 『곽우록』에서 토지매매를 제한하는 한전제를 제시하였다.
→ 이익(『곽우록』에서 토지 매매를 제한하는 한전제를 제시한 인물은 이익이다)
정답 ②
7.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안재홍, 준비위원을 통해 ㉠이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임을 알 수 있다.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는 중도 우파인 안재홍, 중도 좌파인 여운형 등이 연합하여 조직한 단체이다.
① 8·15 해방 이전에 결성되었다.
→ X(해방 이전 조선 건국 동맹이 해방 이후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로 개편되었다)
② ‘결정적 시기의 무장봉기’ 전술을 구상하였다.
→ X(‘결정적 시기의 무장 봉기’ 전술을 구상한 것은 사회주의자들이다)
③ 노농군 편성을 목적으로 군사위원회를 조직하였다.
→ X(노농구 편성을 목적으로 군사 위원회를 조직한 것은 조선 건국 동맹이다)
④ 강령에서 조선민주공화국 건설을 목표로 내세웠다.
→ X(강령에서 조선 민주 공화국 건설을 목표로 내세운 것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이다.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는 조선 인민 공화국을 선포하였다)
⑤ 미군 진주 시까지 치안 유지 활동 등을 수행하였다.
→ O(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는 치안대를 설치하고 미군 진주 시까지 치안 유지 활동 등을 수행하였다)
정답 ⑤
8. (가)의 내용에 해당하는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1945년 12월, 좌우 대립 격화를 통해 (가)가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임을 알 수 있다. 광복 직후 미국, 영국, 소련의 외상이 모스크바에 회의를 열어 한반도 문제를 협의하였다. 여기에서 신탁 통치에 대한 내용이 국내에서 좌우익의 대립을 심화시켰다.
ㄱ. 미·소 공동위원회의 설치
→ O(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는 한반도에 임시 정부 수립을 지원하기 위한 미소 공동 위원회 설치를 협의하였다)
ㄴ. 임시 민주주의 정부의 수립
→ O(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는 민주주의에 바탕을 둔 독립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임시 민주주의 정부를 수립할 것을 협의하였다)
ㄷ. 조선의 완전한 독립을 저해하는 일체의 반동 세력 박멸
→ X(해당 내용은 모스크바 3국 회의 결정 내용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ㄹ. 미·소 공동위원회와 임시정부는 최고 5년간의 신탁통치 협정 작성
→ O(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는 미국, 영국, 중국, 소련 4개국이 한국을 최고 5년간 신탁 통치할 것을 협의하였다)
정답 ④
9. (가), (나) 시기 사이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가) 세사미두 200석, 세견선 50척은 세종 때 체결한 계해약조(1443)의 내용이다.
(나) 세견선 25척, 세사미두 100석은 중종 때 체결한 임신약조(1513)의 내용이다.
① 삼포왜란이 일어났다.
→ O(조선 정부의 무역 통제에 반발하여 중종 때 삼포왜란(1510)이 일어났다)
② 을묘왜변이 발발하였다.
→ X(을묘왜변(1555)은 (나) 이후인 명종 때 일어났다)
③ 강화도조약이 체결되었다.
→ X(강화도 조약(1876)은 (나) 이후인 고종 때 체결되었다)
④ 백두산 정계비가 세워졌다.
→ X(백두산정계비(1712)는 (나) 이후인 숙종 때 세워졌다)
⑤ 일본에 회답겸쇄환사가 파견되었다.
→ X(일본에 회답 겸 쇄환사가 파견된 것은 임진왜란 이후의 일로, 이는 (나) 이후이다
정답 ①
10. 밑줄 친 왕의 재위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기유처분을 통해 밑줄 친 왕이 조선 영조임을 알 수 있다. 이인좌의 난 이후 영조는 붕당을 타파하고 각 붕당의 인재를 고루 사용하겠다는 기유처분을 발표하였다.
① 대동법을 전국으로 확산시켰다.
→ 숙종(대동법이 전국으로 확산된 것은 숙종 때의 일이다)
② 창덕궁 안에 대보단을 설치하였다.
→ 숙종(임진왜란 때 군사를 보내 준 명 신종을 기리기 위해 창덕궁 안에 대보단을 설치한 것은 숙종 때의 일이다)
③ 재야 산림의 공론을 인정하지 않았다.
→ 영조(영조는 공론의 주재자로 인식되던 산림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았다)
④ 대유둔전이라는 국영농장을 설치하였다.
→ 정조(대유둔전이라는 국영 농장을 설치한 것은 정조 때의 일이다)
⑤ 관료의 재교육을 위해 초계문신제를 시행하였다.
→ 정조(관료의 재교육을 위해 초계문신제를 시행한 것은 정조 때의 일이다)
정답 ③
'국회직 한국사 >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국회직 9급 한국사 해설_16~20번 (0) | 2022.12.06 |
---|---|
2022년 국회직 9급 한국사 해설_11~15번 (0) | 2022.12.06 |
2022년 국회직 9급 한국사 해설_1~5번 (0) | 2022.1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