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회직 한국사/2022

2022년 국회직 9급 한국사 해설_11~15번

by 데일리히스토리 2022. 12. 6.
반응형

 

 

 

11. ㉠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적산 법화원을 통해 ㉠ 인물이 장보고임을 알 수 있다. 장보고는 중국 산둥성 적산촌에 법화원이라는 사찰을 건립하였다.

 

① 진성여왕에게 시무책을 바쳤다.

→ 최치원(진성 여왕에게 시무책을 바친 인물은 최치원이다)

 

② 당에 건너가 빈공과에 합격하였다.

→ 최치원(당에 건너가 외국인 대상 과거 시험인 빈공과에 합격한 대표적인 인물은 최치원이다)

 

③ 당에 견당매물사와 교관선을 보냈다.

→ 장보고(장보고는 당에 견당 매물사, 일본에 회역사란 이름의 교관선단을 파견하였다)

 

④ 나라를 세우고 국호를 장안이라 하였다.

→ 김헌창(국호를 장안, 연호를 경운이라 하며 반란을 일으킨 인물은 김헌창이다)

 

⑤ 독자적으로 오월과 거란에 사신을 보냈다.

→ 견훤(독자적으로 오월, 거란에 사신을 보낸 인물은 견훤이다)

 

정답 ③


12. <보기>의 상소를 올린 인물의 활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강화를 반대하는 것을 통해 <보기>의 상소를 올린 인물이 최익현임을 알 수 있다. 최익현은 개항에 반대하는 5가지 이유(5불가소)를 들었는데, 제시문은 그 중 하나이다.

 

① 대마도에서 옥중 순국하였다.

→ O(최익현은 을사의병으로 활동하다가 체포된 뒤 대마도에서 순국하였다)

 

② 전북 태인의 무성서원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 O(최익현은 을사늑약 체결 이후 전북 태인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③ 연해주에서 13도 의군을 결성하여 도총재로 추대되었다.

→ X(연해주에서 13도 의군을 결성하여 도총재로 추대된 인물은 유인석입니다)

 

④ 사헌부 장령에 임명되자 국정 개혁을 위한 상소를 올려 흥선대원군을 비판하였다.

→ O(최익현은 흥선 대원군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려 그를 실각시켰다)

 

⑤ 「청토오적소(請討五賊疏)」를 올려 을사조약 파기와 매국 오적 처단을 주장하였다.

→ O(최익현은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청토오적소」를 올려 을사늑약의 무효를 국내외에 선포하고, 을사 오적 처단을 주장하였다)

 

정답 ③


13. 밑줄 친 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법화삼매, 법화참 등을 통해 밑줄 친 대사가 요세임을 알 수 있다. 요세는 자신의 행동에 대한 진정한 참회를 강조하는 법화 신앙을 강조하였다.

 

① 백련결사를 주도하였다.

→ 요세(요세는 강진 만덕사에서 법화 신앙을 바탕으로 백련 결사를 제창하였다)

 

② 『천태사교의』를 저술하였다.

→ 의천(천태학의 요지를 밝힌 『천태사교의』를 저술한 인물은 의천이다)

 

③ 정혜쌍수를 교리로 강조하였다.

→ 지눌(선과 교학이 근본적이 둘이 아니라는 정혜쌍수를 강조한 인물은 지눌이다)

 

④ 귀법사의 초대 주지를 역임하였다.

→ 균여(귀법사의 초대 주지를 역임한 인물은 균여이다)

 

⑤ 광종 시기 불교 개혁을 주도하였다.

→ 균여(광종 시기 불교 개혁을 주도한 인물은 균여이다)

 

정답 ①


14. 다음과 같은 주장을 편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제시문은 원이 고려를 자신들의 행성 중 하나로 삼으려 하자 이에 반대하여 이제현이 올린 상소이다. 원 간섭기 권문세족은 원의 지방 행정 단위인 행성에 속하려고 한 입성책동 운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① 국학 진흥을 위해 섬학전을 설치하였다.

→ 충렬왕(양현고의 부실을 보강하기 위해 섬학전을 설치한 인물은 충렬왕이다)

 

② 9재 학당을 건립하여 후진을 양성하였다.

→ 최충(9재 학당윽 건립하여 후진을 양성한 인물은 최충이다)

 

③ 원의 수도에 세워진 만권당에서 활동하였다.

→ 이제현(이제현은 원의 수도에 세워진 만권당에서 원의 학자들과 교류하였다)

 

④ 단군의 건국 이야기를 『삼국유사』에 수록하였다.

→ 일연(『삼국유사』를 저술한 인물은 일연이다)

 

⑤ 성리학을 연구하여 ‘동방 이학(理學)의 조(祖)’라고 불렸다.

→ 정몽주(성리학을 연구하여 ‘동방 이학의 조’라고 불린 인물은 정몽주이다)

 

정답 ③


15. (가) 인물의 활동으로 옳지 않은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고구려의 옛 땅을 회복하고 부여의 습속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통해 제시문이 발해 무왕이 일본에 보낸 국서 내용임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발해가 고구려 계승 의식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ㄱ. 수도를 중경현덕부에서 상경용천부로 옮겼다.

→ X(수도를 중경 현덕부에서 상경 용천부로 옮긴 인물은 발해 문왕이다)

 

ㄴ. 대문예로 하여금 흑수말갈을 공격하게 하였다.

→ O(발해 무왕은 대문예를 보내 흑수말갈을 공격하도록 하였다)

 

ㄷ. 산둥지방의 덩저우에 수군을 보내어 당을 공격하였다.

→ O(발해 무왕은 장문휴의 수군으로 당의 산둥 지방 덩저우를 선제 공격하도록 하였다)

 

ㄹ. 불교의 전륜성왕 이념을 이용해 왕권강화를 도모하였다.

→ X(불교의 전륜성왕 이념을 이용해 왕권 강화를 도모한 대표적 인물은 신라 진흥왕이다)

 

정답 ②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