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회직 한국사/2022

2022년 국회직 9급 한국사 해설_1~5번

by 데일리히스토리 2022. 12. 6.
반응형

 

1. ㉠ 유물이 등장한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전곡리를 통해 ㉠ 유물이 구석기 시대의 주먹도끼임을 알 수 있다. 경기도 연천 전곡리에서는 아슐리안형 주먹도끼가 출토되었다.

 

① 갈돌과 갈판을 이용하였다.

→ 신석기 시대(갈돌과 갈판은 신석기 시대에 사용되었다)

 

② 빗살무늬토기를 사용하였다.

→ 신석기 시대(빗살무늬 토기는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이다)

 

③ 반달돌칼을 이용하여 벼를 수확하였다.

→ 청동기 시대(간석기인 반달 돌칼을 이용하여 벼를 수확한 것은 청동기 시대의 일이다)

 

④ 동굴, 바위 그늘, 강가의 막집에서 생활하였다.

→ 구석기 시대(구석기인들은 주로 동굴, 바위 그늘, 강가의 막집에서 살았다)

 

⑤ 다른 씨족과의 혼인을 통해 부족사회를 형성하였다.

→ 신석기 시대(다른 씨족과의 혼인을 통해 부족 사회를 형성한 것은 신석기 시대의 일이다)

 

정답 ④


2. <보기>의 내용이 발생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ㄱ. 노비추쇄법을 폐지하였다.

→ 1785년(도망간 노비를 잡아들이던 노비추쇄법은 정조 때인 1785년의 일이다)

 

ㄴ. 일부를 제외한 공노비를 해방하였다.

→ 1801년(공노비를 해방한 것은 조선 순조 때인 1801년의 일이다)

 

ㄷ. 새로 태어난 노비 자녀에게 노비 세습을 금지하였다.

→ 1886년(새로 태어난 노비 자녀에게 노비 세습을 금지한 것은 고종 때인 1886년의 일이다)

 

ㄹ. 노비제가 법적으로 완전히 폐지되었다.

→ 1894년(노비제가 법적으로 완전히 폐지된 것은 1894년 갑오개혁 때의 일이다)

 

ㅁ. 노비종모법이 시행되었다.

→ 1731년(어머니의 신분을 따른다는 노비 종모법은 영조 때인 1731년에 시행되었다)

 

ㄱ~ㅁ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ㅁ → ㄱ → ㄴ → ㄷ → ㄹ이다.

 

정답 ④

 


3. 삼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신성지역인 소도가 있었다.

→ O(삼한에서는 신성 지역인 소도에서 농경, 종교에 대한 의례를 주관하였다)

 

ㄴ. 제사 의식을 주관하는 천군이 있었다.

→ O(삼한에서는 제사 의식을 주관하는 제사장인 천군이 있었다)

 

ㄷ. 해마다 10월에 무천이라는 제천행사를 열었다.

→ X(무천이라는 제천 행사를 연 나라는 동예이다. 삼한에서는 5, 10월에 계절제를 거행하였다)

 

ㄹ. 소국의 지배자는 신지, 읍차 등으로 불렸다.

→ O(삼한의 지배자는 세력 크기에 따라 신지, 읍차 등으로 불렸다)

 

ㅁ. 천군과 소도는 제정일치 사회임을 알려준다.

→ X(정치적 지배자와 별개로 종교적 지배자인 천군과 그가 주관하는 소도가 있었다는 것은 삼한이 제정 분리 사회였음을 알려준다)

 

정답 ②


4. 다음 자료와 관련된 왕대의 사실로 옳은 것은?

직전의 세는 관에서 거두어 관에서 준다는 것은 관수 관급제로, 이는 조선 성종 때 실시되었다. 성종은 관수 관급제를 실시하여 토지에 대한 국가의 지배력을 강화하였다.

 

① 6조 직계제를 부활시켰다.

→ 태종, 세조(6조 직계제는 태종, 세조 때 실시되었다)

 

② 『삼강행실도』와 『효행록』을 간행하였다.

→ 세종(세종 때 『삼강행실도』가 간행되었고, 『효행록』을 개정하여 편찬하였다)

 

③ 국가의 경제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호패법을 실시하였다.

→ 태종(호패법은 태종 때 실시되었다)

 

④ 여진을 정벌하고 4군 6진을 개척하여 영토를 확장하였다.

→ 세종(여진을 정벌하고 4군 6진을 개척한 것은 세종 때의 일이다)

 

⑤ 집현전을 계승한 홍문관을 설치하고 경연을 활성화하였다.

→ 성종(성종은 집현전을 계승하는 홍문관을 설치하고 경연을 활성화하였다)

 

정답 ⑤


5.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신문왕 때 설치, 태학감을 통해 ㉠이 국학임을 알 수 있다. 국학은 신문왕 때 유학 교육 기관으로 설립되었고, 이후 경덕왕 때 태학감을 이름을 바꾸었다.

 

① 학업 기한은 일반적으로 9년이었다.

→ O(국학의 학업 기한은 대체로 9년이었다)

 

② 진골 귀족만이 입학할 수 있었다.

→ X(국학에는 12등급의 대사 이하부터 관등이 없는 귀족 자제들이 입학하였다)

 

③ 당의 교육기관인 국자감을 참고하였다.

→ O(국학은 당의 교육 기관인 국자감을 참고하여 만든 것이었다)

 

④ 관등이 대나마·나마에 이르면 내보냈다.

→ O(15~30세의 귀족 자제들이 입학하고, 이들이 대나마, 나마에 이르면 졸업하였다)

 

⑤ 박사(博士)와 조교(助敎)가 교육을 담당하였다.

→ O(국학에서는 박사, 조교가 교육을 담당하였다)

 

정답 ②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