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가)와 (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중일 전쟁은 1937년에 발발하였고, 진주만 기습은 1941년에 있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1945년에 광복을 맞았다.
① (가) - 국가총동원법 제정
→ O(국가 총동원법은 1938년에 제정되었다)
② (가) - 가격 등 통제령 제정
→ O(상인의 폭리를 막기 위해 가격 등 통제령을 제정한 것은 1939년의 일이다)
③ (나) - 학도지원병제 실시
→ O(학도 지원병제는 1943년에 실시되었다)
④ (나) - 여자정신대근로령 공포
→ O(여자 정신대 근로령은 1944년에 공포되었다)
⑤ (나) - 육군특별지원병령 공포
→ X(육군 특별 지원병령이 공포된 것은 (가) 시기인 1938년의 일이다)
정답 ⑤
17. ㉠ 단체의 활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제시문은 백범 김구가 1932년에 저술한 『도왜실기』이다. 『도왜실기』는 김구가 한인 애국단의 의열 활동을 저술한 책이다. 제시문이 어렵더라도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것이니 선택지에서 다른 내용을 고르면 된다.
① 김지섭이 일왕의 궁성으로 들어가는 니주바시에 폭탄을 던졌다.
→ X(김지섭은 의열단원으로 도쿄 궁성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② 상하이사변 직후 일본 이즈모호를 폭파하기로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 O(이봉창 의거 이후 한인 애국단은 일본군 사령부가 이즈모호에 설치되어있다는 정보를 입수하여 이즈모호를 폭파하기로 하였다)
③ 이덕주는 조선총독부 총독을 저격하고자 계획했으나 사전에 체포되어 실패하였다.
→ O(윤봉길의 훙커우 공원 의거를 준비하던 때에 한인 애국단은 이덕주 등을 국내로 잠입시켜 우가키 충독을 처단하고자 하였다)
④ 이봉창은 도쿄에서 일왕 히로히토를 향해 수류탄을 던졌으나 성공하지 못하였다.
→ O(한인 애국단원인 이봉창은 도쿄에서 일본 국왕의 폭살을 시도하였다)
⑤ 윤봉길이 상하이 홍커우 공원에서 일왕 탄생 축하 행사 겸 전승 축하식장에 폭탄을 던졌다.
→ O(한인 애국단원 윤봉길은 상하이 훙커우 공원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정답 ①
18. ㉠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새로운 사상, 새로운 교육 등 새로운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는 것을 통해 ㉠ 단체가 신민회임을 알 수 있다. 제시문은 신민회 결성 취지문 중 일부이다.
① 외곽단체로 청년학우회를 만들었다.
→ O(신민회는 외곽 단체로 청년 학우회를 만들었다)
② 대성학교, 오산학교 등을 설립하였다.
→ O(신민회는 민족 교육을 위해 대성 학교, 오산 학교 등을 설립하였다)
③ 기관지로 잡지 『서우』를 간행하였다.
→ X(기관지로 잡지 『서우』를 간행한 단체는 서우 학회이다)
④ 자기회사, 소방직공장, 소연초공장 등을 설립하였다.
→ O(신민회는 민족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자기 회사, 소방직 공장 등을 설립하였다)
⑤ 학술 간행 단체인 조선광문회와 서점인 태극서관을 만들었다.
→ O(신민회는 민족 문화를 양성하기 위해 학술 간행 단체인 조선 광문회를 만들어 후원하고, 태극 서관을 만들어 서적을 출판하였다)
정답 ③
19. ㉠ 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최우, 백관의 인사를 통해 ㉠ 기구가 정방임을 알 수 있다. 최우는 독자적인 인사 기구로 정방을 설치하여 인사권을 장악하였다.
① 을묘왜변을 계기로 설치되었다.
→ 비변사(을묘왜변을 계기로 상설 기구화된 것은 비변사이다)
② 공민왕의 개혁으로 일시 폐지되었다.
→ 정방(공민왕은 신진 사대부의 등장을 억제하던 정방을 폐지하였다)
③ 간쟁, 서경, 봉박의 업무를 담당하였다.
→ 대간(간쟁, 서경, 봉박의 업무를 담당한 것은 고려 시대 대간이다)
④ 원 간섭기에 도평의사사로 명칭이 바뀌었다.
→ 도병마사(원 간섭기에 도평의사사로 명칭이 바뀐 것은 도병마사이다)
⑤ 진도, 제주도로 옮겨가며 조정에 대항하였다.
→ 삼별초(진도, 제주도로 옮겨가며 원과 조정에 대항한 것은 삼별초이다)
정답 ②
20. 다음 자료와 관련된 역사적 사실로 옳은 것은?
마산 부두의 변사체, 3·15 사건을 통해 제시된 자료가 4·19 혁명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3·15 부정 선거에 대항하여 마산에서 시위가 일어났는데, 시위 도중 실종되었던 김주열 학생의 변사체가 발견되었다. 이로 인해 시위가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① 한·일 학생 간 충돌이 있었다.
→ X(한일 학생 간의 충돌에서 비롯된 사건은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이다)
② 신군부가 비상계엄을 확대하였다.
→ X(신군부가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고자 하자 광주에서 신군부에 대항하는 5·18 민주화 운동이 일어났다)
③ 일부 국회의원들은 사사오입 개헌을 비판하였다.
→ X(사사오입 개헌은 제시된 사건 이전인 1954년에 일어났다)
④ 정·부통령 부정선거에 학생, 시민들이 항의하였다.
→ O(3·15 선거가 부정 선거로 전개되자 학생, 시민들이 항의하였고, 이는 4·19 혁명으로 이어졌다)
⑤ 직선제 개헌을 요구하는 학생, 시민들의 시위가 있었다.
→ X(직선제 개헌을 요구하며 일어난 시위는 6월 민주 항쟁이다)
정답 ④
'국회직 한국사 >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국회직 9급 한국사 해설_11~15번 (0) | 2022.12.06 |
---|---|
2022년 국회직 9급 한국사 해설_6~10번 (0) | 2022.12.06 |
2022년 국회직 9급 한국사 해설_1~5번 (0) | 2022.1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