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가)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대조영의 아들, 인안을 통해 (가) 왕이 발해 무왕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발해는 대조영이 세운 나라이고, 대조영의 뒤를 이어 무왕이 즉위하였습니다. 발해는 인안 등의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습니다.
① 수도를 상경성으로 옮겼다.
→ 문왕 등(발해는 여러 차례 수도를 옮겼는데, 문왕 때 동모산, 중경, 상경, 동경 등으로 천도하였고, 성왕 때 동경에서 상경으로 재천도하였습니다)
② ‘해동성국’이라고 불릴 만큼 전성기를 이루었다.
→ 선왕 이후(발해가 중국으로부터 ‘바다 동쪽의 융성한 나라’라는 의미의 ‘해동성국’으로 불린 것은 선왕 이후의 일입니다)
③ 장문휴를 시켜 당의 등주(산둥성)를 공격하였다.
→ 무왕(발해 무왕은 대당 강경책을 전개하여 장문휴의 수군으로 당의 산둥성을 선제 공격하였습니다)
④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 이끌고 동모산에 도읍을 정하였다.
→ 대조영(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 이끌고 동모산에 도읍을 정하고 발해를 세운 왕은 대조영입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7. (가)~(라) 국왕 대에 있었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가) 『경국대전』은 성종 때, (나) 『속대전』은 영조 때, (다) 『대전통편』은 정조 때, (라) 『대전회통』은 고종 때 편찬되었습니다.
① (가) - 홍문관을 두어 집현전을 계승하였다.
→ O(성종 때 집현전을 계승하는 홍문관을 두었습니다)
② (나) - 서원을 붕당의 근거지로 인식하여 대폭 정리하였다.
→ O(탕평 정책을 실시한 영조는 서원을 붕당의 근거지로 인식하여 대폭 정리하였습니다)
③ (다) - 사도세자의 무덤을 옮기고 화성을 축조하였다.
→ O(정조는 아버지인 사도 세자의 무덤을 옮기고, 자신의 정치적 이상을 담은 수원 화성을 축조하였습니다)
④ (라) - 삼정의 문란을 바로잡기 위해 삼정이정청을 설치했다.
→ X(임술 농민 봉기를 수습하고 삼정의 문란을 바로잡기 위해 삼정이정청을 설치한 것은 철종 때의 일입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8. 밑줄 친 ‘사건’의 명칭은?

조광조 제거를 통해 밑줄 친 ‘사건’이 기묘사화임을 알 수 있습니다.
① 갑자사화
→ X(갑자사화는 연산군 때 연산군 생모인 폐비 윤씨의 사사 사건에 연루된 훈구가 제거된 것인데, 이때 사람도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② 기묘사화
→ O(조광조는 중종 때 등용된 사림으로, 왕도 정치를 위한 여러 개혁 정책을 실시하였습니다. 이는 훈구 세력의 불만을 가져왔는데, 특히 위훈 삭제를 추진하려고 하자 훈구가 반발하였고 결국 기묘사화가 일어나 조광조 등 사림이 제거되었습니다)
③ 무오사화
→ X(무오사화는 연산군 때 사림이었던 김일손이 스승 김종직의 「조의제문」(세조의 왕위 찬탈 비판)을 사초에 기록하려 한 것이 원인이 되어 사림이 제거된 사건입니다)
④ 을사사화
→ X(을사사화는 명종 때 인종의 외척이 대윤이 명종의 외척인 소윤에 의해 제거된 사건인데, 여기에 사림이 연루되어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9. (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중국의 역사는 잘 아는데 우리나라의 역사는 잘 모르므로 왕명을 받아 지었다는 것을 통해 김부식의 『삼국사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 고려 시대 김부식은 인종의 명을 받아 『삼국사기』를 편찬하여 우리 역사를 제대로 알리고 정치적 교훈으로 삼고자 하였습니다.
(나) 남북국을 통해 유득공의 『발해고』임을 알 수 있습니다. 조선 후기의 학자인 유득공은 『발해고』에서 처음으로 남북국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습니다.
① (가)는 동명왕의 업적을 칭송한 영웅 서사시이다.
→ 「동명왕편」(고구려의 시조인 동명왕(주몽)의 업적을 칭송한 영웅 서사시는 이규보가 편찬한 「동명왕편」입니다)
② (가)는 불교를 중심으로 고대 설화를 수록하였다.
→ 『삼국유사』(불교 중심으로 고대 설화를 수록한 대표적인 역사서는 일연의 『삼국유사』입니다)
③ (나)는 만주 지역까지 우리 역사의 범위를 확장하였다.
→ 『발해고』(조선 후기에 유득공은 발해를 본격적으로 다룬 『발해고』를 통해 우리 역사의 범위를 만주 지역까지 확장하였습니다)
④ (나)는 고조선부터 고려에 이르는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 『동국통감』(고조선부터 고려에 이르는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대표적인 역사서는 서거정의 『동국통감』입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10. 다음 주장을 한 실학자가 쓴 책은?

토지의 소유를 제한하는 법령, 제한된 면적을 초과해 소유한 자는 더는 토지를 점하지 못한다는 것을 통해 박지원의 한전론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박지원은 『한민명전의』에서 토지 소유의 상한선을 정하는 한전론을 제시하였습니다.
① 반계수록
→ X(『반계수록』은 유형원의 저서입니다)
② 성호사설
→ X(『성호사설』은 이익의 저서입니다. 이익 또한 한전론을 주장하였으나 그는 토지 소유의 하한선을 정하고, 그 이상의 토지는 자유롭게 매매를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③ 열하일기
→ O(박지원은 청에 다녀온 후 『열하일기』를 저술하여 청의 문물을 소개하였습니다)
④ 목민심서
→ X(『목민심서』는 정약용의 저서입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국가직 한국사 >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가'책형)_16~20번 풀이 (0) | 2023.01.08 |
---|---|
2022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가'책형)_11~15번 풀이 (0) | 2023.01.08 |
2022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가'책형)_1~5번 풀이 (0) | 2023.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