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헌병 경찰제, 3·1 운동을 통해 (가) 시기가 무단 통치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일제는 대한 제국을 강제 병합한 이후 헌병 경찰제를 실시하는 등 강압적인 통치를 자행하였습니다. 이때를 무단 통치라고 합니다. 이에 반발해 우리 민족은 1919년 3월 1일 만세 운동을 일으켰습니다(3·1 운동)
① 토지 조사령이 공포되었다.
→ 무단 통치(무단 통치기 일제는 우리나라의 토지를 수탈하기 위해 토지 조사령을 공포하고, 토지 조사 사업을 실시하였습니다)
② 창씨개명 조치가 시행되었다.
→ 민족 말살 통치(한국인의 성씨를 일본식으로 바꾸는 창씨개명은 민족 말살 통치기에 시행되었습니다)
③ 초등 교육 기관의 명칭이 국민학교로 변경되었다.
→ 민족 말살 통치(초등 교육 기관의 명칭을 ‘황국 신민의 학교’라는 의미에서 국민학교로 변경한 것은 민족 말살 통치기의 일입니다)
④ 전쟁 물자 동원을 내용으로 한 국가총동원법이 적용되었다.
→ 민족 말살 통치(전쟁 물자를 효율적으로 동원하기 위해 국가 총동원법이 제정된 것은 민족 말살 통치기의 일입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12.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김규식과 더불어 남북 협상을 위해 평양을 방문하였다는 것을 통해 밑줄 친 ‘그’가 김구임을 알 수 있습니다. 유엔 소총회에서 남한만의 단독 선거를 결정하자 김구와 김규식은 남북 분단을 우려해 반대하고 북한에 남북 협상의 제의하였습니다. 이를 북한이 받아들이면서 김구와 김규식이 평양으로 가 김일성, 김두봉 등과 회의를 가졌습니다.
① 좌우 합작 위원회를 구성해 좌우 합작 7원칙을 발표하였다.
→ 여운형 등(좌우 대립이 격화되는 가운데 남북 분단을 우려한 여운형, 김규식 등이 좌우 합작 위원회를 구성하고 좌우 합작 7원칙을 발표하였습니다)
② 광복 직후 안재홍 등과 함께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를 만들었다.
→ 여운형(광복 직후 중도 우파 안재홍 등과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를 조직한 인물은 중도 좌파 여운형입니다)
③ 무장 항일투쟁을 위해 하와이로 건너가 대조선 국민 군단을 결성하였다.
→ 박용만(무장 항일 투쟁을 위해 하와이에서 대조선 국민 군단을 결성한 인물은 박용만입니다)
④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의 결정 사항이 알려지자 신탁통치 반대 운동을 펼쳤다.
→ 김구(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에서 한반도에 대한 신탁 통치가 결정되자 김구 등 우익 세력은 신탁 통치 반대 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13. 제헌 국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10 총선거 결과 2년 임기의 제헌 국회의원이 선출되고 이들이 제헌 국회(1948~1950)를 구성하였습니다.
①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 O(일제의 잔재를 청산하기 위해 1948년 9월 제헌 국회에서 반민족 행위 처벌법이 제정되고,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가 설치되었습니다)
② 한·일 기본 조약 체결에 반대하는 성명을 내놓았다.
→ X(한·일 기본 조약은 박정희 정부 시기에 체결된 것으로, 제헌 국회 이후의 일입니다)
③ 통일 3대 원칙이 언급된 7·4 남북 공동 성명을 발표하였다.
→ X(7·4 남북 동동 성명이 발표된 것은 박정희 정부 시기의 일로, 이는 제헌 국회 이후입니다)
④ 통일 주체 국민 회의에서 대통령을 뽑는다는 내용의 개헌안을 통과시켰다.
→ X(통일 주체 국민 회의에서 대통령을 뽑는다는 내용의 개헌안은 박정희 정부 때의 10월 유신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는 제헌 국회 이후의 일입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14.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고종 즉위 후 실권 장악을 통해 밑줄 친 ‘그’가 흥선 대원군임을 알 수 있습니다. 흥선 대원군은 고종의 아버지로, 고종이 즉위한 후 실권을 장악하고 여러 정책을 실시하였습니다.
① 미국에 보빙사라는 사절단을 파견하였다.
→ X(조미 수호 통상 조약 체결 이후 미국에 보빙사가 파견되었는데, 이는 흥선 대원군이 하야한 이후의 일입니다)
② 전국 여러 곳에 척화비를 세우도록 했다.
→ O(통상 수교 거부 정책을 표방한 흥선 대원군은 두 차례의 양요 이후 통상 수교 거부 의지를 널리 알리기 위해 전국에 척화비를 세웠습니다)
③ 국경을 획정하고자 백두산정계비를 세웠다.
→ X(청과의 국경을 확정하고 백두산정계비를 세운 것은 숙종 때의 일입니다)
④ 통리기무아문을 설치하고 그 아래에 12사를 두었다.
→ X(개화 정책을 총괄하는 통리기무아문을 설치하고 그 아래에 12사를 둔 것은 흥선 대원군이 하야한 이후의 일입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15. 밑줄 친 ‘이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백제 개로왕, 도림을 통해 밑줄 친 ‘이 왕’이 고구려 장수왕임을 알 수 있습니다. 장수왕은 백제의 한성을 공격하기 전에 승려 도림을 첩자로 백제에 파견하여 그의 꼬임에 넘어가 백제 개로왕이 국고를 탕진하도록 하였습니다. 이후 도림이 도망쳐 오고 고구려는 백제를 공격하였습니다. 이때 개로왕이 전사하였습니다.
① 평양으로 도읍을 천도하였다.
→ 장수왕(장수왕은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도읍을 옮기고 본격적인 남하 정책을 추진하였습니다)
② 진대법을 처음으로 시행하였다.
→ 고국천왕(빈민 구제를 위한 진대법을 처음으로 실시한 왕은 고국천왕입니다)
③ 낙랑군을 점령하고 한 군현 세력을 몰아내었다.
→ 미천왕(낙랑군을 점령하고 한 군현 세력을 몰아낸 왕은 미천왕입니다)
④ 신라에 침입한 왜군을 낙동강 유역에서 물리쳤다.
→ 광개토 대왕(신라 내물 마립간의 요청에 따라 신라에 침입한 왜군을 물리친 왕은 광개토 대왕입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국가직 한국사 >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가'책형)_16~20번 풀이 (0) | 2023.01.08 |
---|---|
2022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가'책형)_6~10번 풀이 (0) | 2023.01.08 |
2022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가'책형)_1~5번 풀이 (0) | 2023.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