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풍습이 있었던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족 공동 무덤인 커다란 목곽에 안치하였다는 것을 통해 제시된 풍습이 있었던 나라가 옥저임을 알 수 있습니다. 옥저에서는 가족이 죽으면 시체를 임시로 매장하였다가 그 뼈를 추려 가족 공동 무덤인 목곽에 안치하는 골장제가 있었습니다.
① 민며느리제라는 혼인 풍습이 있었다.
→ 옥저(일종의 매매혼인 민며느리제는 옥저의 혼인 풍습이었습니다)
② 제가가 별도로 사출도를 다스렸다.
→ 부여(마가, 우가, 저가, 구가 등의 제가들이 별도로 사출도를 다스린 나라는 부여입니다)
③ 소도라는 신성 구역이 존재하였다.
→ 삼한(신성 구역인 소도가 존재한 나라는 삼한입니다)
④ 무천이라는 제천행사를 열었다.
→ 동예(무천이라는 제천 행사가 있었던 나라는 동예입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2. 우리나라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우리나라에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된 문화유산이 많이 있습니다. 아래 선택지는 백제 역사 유적 지구에 대한 것입니다.
① 미륵사지에는 목탑 양식의 석탑이 있다.
→ O(익산 미륵사지에는 목탑에서 석탑으로 넘어가는 과도기 형태의 석탑이 있습니다)
② 정림사지에는 백제의 5층 석탑이 남아 있다.
→ O(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은 백제의 대표적인 석탑입니다)
③ 능산리 고분군에는 계단식 돌무지무덤이 있다.
→ X(부여 능산리 고분군은 굴식 돌방무덤 형태입니다. 계단식 돌무지무덤은 한성 시대에 나타난 것으로,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무덤입니다)
④ 무령왕릉에는 무덤 주인공을 알려주는 지석이 있었다.
→ O(공주 무령왕릉에는 무덤의 주인공을 알려주는 지석이 있습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3. 조선 시대의 관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조선의 중앙 기구는 의정부와 6조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① 사간원 - 교지를 작성하였다.
→ X(사간원은 왕에게 간쟁과 논박을 하는 언론 기관이었습니다. 조선 시대에 교지 작성을 담당한 기관은 예문관입니다)
② 한성부 - 시정기를 편찬하였다.
→ X(한성부는 수도의 행정과 치안을 담당한 기관이었습니다. 『시정기』 등의 역사서 편찬을 담당한 기관은 춘추관입니다)
③ 춘추관 - 외교문서를 작성하였다.
→ X(춘추관은 역사서 편찬과 보관을 담당한 기관이었습니다. 조선 시대에 외교 문서 작성을 담당한 기관은 승문원입니다)
④ 승정원 - 국왕의 명령을 출납하였다.
→ O(승정원은 왕명의 출납을 담당한 국왕의 비서 기구였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4.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1 운동 이후 만들어짐, 연통제, 교통국을 통해 (가)가 대한민국 임시 정부임을 알 수 있습니다. 3·1 운동 이후 독립운동을 조직적으로 전개할 필요성이 대두되어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습니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비밀 행정 조직망으로 교통국, 연통제 등을 운영하였습니다.
① 외교 운동을 위해 미국에 구미 위원부를 설치하였다.
→ O(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외교 운동을 위해 미국에 구미 위원부를 설치하고, 미국, 유럽을 중심으로 한국의 독립 문제를 국제적으로 알리고자 노력하였습니다)
② 비밀결사 운동을 추진하고자 독립 의군부를 만들었다.
→ X(독립 의군부는 고종의 밀명으로 받아 임병찬이 조직한 비밀 결사였습니다)
③ 이인영, 허위 등을 중심으로 서울 진공 작전을 추진하였다.
→ X(정미의병 때 이인영, 허위 등을 중심으로 서울 진공 작전을 추진하였으나 성공하지는 못하였습니다)
④ 영국인 베델을 발행인으로 한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하였다.
→ X(양기탁은 영국인 베델과 함께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하여 일본에 대해 강도 높게 비판하였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5. 다음 (가), (나) 승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부석사를 통해 의상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통일 신라 시대의 승려인 의상은 화엄 사상을 바탕으로 부석사 등 여러 사찰을 건립하였습니다.
(나) 황룡사 9층탑을 통해 자장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신라의 승려인 자장은 계율종을 개창하였고, 선덕 여왕에게 황룡사 9층 목탑 건립을 제안하였습니다.
① (가)는 모든 것이 한마음에서 나온다는 일심사상을 제시하였다.
→ X(모든 것이 한마음에서 나온다는 일심사상을 제시한 인물은 통일 신라의 승려인 원효입니다)
② (가)는 화엄일승법계도를 만들었다.
→ O(의상은 『화엄일승법계도』를 저술하여 모든 존재가 상호 의존적이며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화엄 사상을 정립하였습니다)
③ (나)는 왕오천축국전이라는 여행기를 남겼다.
→ X(당, 인도, 중앙아시아를 순례한 후 『왕오천축국전』이라는 여행기를 남긴 인물은 통일 신라의 승려인 혜초입니다)
④ (나)는 이론과 실천을 같이 강조하는 교관겸수를 제시하였다.
→ X(이론과 실천을 같이 강조하는 교관겸수를 제시한 인물은 고려 시대의 승려인 의천입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국가직 한국사 >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가'책형)_16~20번 풀이 (0) | 2023.01.08 |
---|---|
2022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가'책형)_11~15번 풀이 (0) | 2023.01.08 |
2022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가'책형)_6~10번 풀이 (0) | 2023.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