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직 한국사/2022

2022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가'책형)_16~20번 풀이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1. 8.
반응형

 

1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문화유산은?

주심포 양식,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을 통해 안동 봉정사 극락전에 대한 설명임을 알 수 있습니다. 

① 서울 흥인지문

→ X(서울 흥인지문은 조선 시대의 성문으로, 일반적으로는 동대문이라고 불립니다)

② 안동 봉정사 극락전

→ O(고려 시대에 주심포 양식으로 건축된 안동 봉정사 극락전은 현존하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입니다. 주심포 양식이란 공포가 기둥 위에만 짜여져 있는 건축 양식으로, 고려 전기에 유행하였습니다)

③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 X(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은 고려 시대 주심포 양식의 건축물로, 배흘림 기둥, 팔작 지붕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④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 X(합천 해인사 장경판전은 조선 시대에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기 위해 세운 건축물로, 유메스코 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있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17. (가)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서재필, 만민 공동회를 통해 (가) 단체가 독립 협회임을 알 수 있습니다. 서재필 등이 주도하여 조직한 독립 협회는 국민 계몽과 근대적 자주 독립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였고,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민중 집회인 만민 공동회를 개최하였습니다. 

① 교육 입국 조서를 작성해 공포하였다.

→ X(제2차 갑오개혁 때 고종은 근대적 교육 제도 확립을 내세운 교육 입국 조서를 공포하였습니다)

② 영은문이 있던 자리 부근에 독립문을 세웠다.

→ O(독립 협회는 자주 독립 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과거 중국 사신을 맞이하던 영은문 자리에 독립문을 세웠습니다)

③ 개혁의 기본 강령인 홍범 14조를 발표하였다.

→ X(제2차 갑오개혁 때 개혁의 기본 강령인 홍범 14조를 발표하였습니다)

④ 일본에 진 빚을 갚자는 국채 보상 운동을 일으켰다.

→ X(대구에서 서상돈 등이 일본에 진 빚을 갚자는 국채 보상 운동을 시작하였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18. (가) 시기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1270년 고려 조정이 개경으로 환도하며 무신 정권이 몰락하였고, 이후 원 간섭기가 전개되ᄋᅠᆻ습니다. 반원 자주 정책을 실시한 공민왕은 1352년에 즉위하였습니다. 

① 만권당이 만들어졌다.

→ O(학술 연구 기관인 만권당이 원의 수도 연경에 설치된 것은 원 간섭기인 충선왕 때의 lf입니다)

② 정동행성이 설치되었다.

→ O(원 간섭기에 고려는 원의 일본 원정에 동원되었습니다. 이때 원은 일본 원정을 준비하고자 개경에 정동행성을 설치하였습니다)

③ 쌍성총관부가 수복되었다.

→ X(공민왕은 원에 빼앗긴 쌍성총관부를 무력으로 수복하였습니다)

④ 제왕운기가 저술되었다.

→ O(이승휴가 『제왕운기』를 편찬한 것은 원 간섭기인 충렬왕 때의 일입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19. 밑줄 친 ‘이 나라’의 경제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전시과를 통해 밑줄 친 ‘이 나라’가 고려임을 알 수 있습니다. 고려는 관리들에게 직역에 따라 토지에 대한 수조권을 지급하는 전시과 제도를 운영하였습니다. 

① 재정을 운영하는 관청으로 삼사를 두었다.

→ O(고려 시대의 삼사는 재정을 운영하는 관청이었습니다. 참고로 조선 시대의 삼사는 언론 기관을 가리킵니다)

② 공물 부과 기준이 가호에서 토지로 바뀌었다.

→ X(공물 부과 기준이 가호에서 토지로 바뀐 것은 대동법에 대한 설명으로, 대동법은 조선 시대에 실시되었습니다)

③ 생산량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조세를 거두었다.

→ O(고려 시대에는 조세로 생산량의 1/10을 납부하도록 하였습니다)

④ ‘소’라는 행정구역의 주민이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물품을 생산하였다.

→ O(‘소’는 고려 시대의 특수 행정 구역으로 여기에 사는 주민들은 수공업에 종사하거나 광업품을 생산하여 국가에 바쳤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20. (가) 시기에 있었던 일로 옳은 것은?

신미양요는 1871년에 일어났고, 갑오개혁은 1894년에 전개되었습니다.

① 을사늑약 체결

→ X(대한 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는 을사늑약은 1905년에 체결되었습니다)

② 정미 의병 발생

→ X(의병 전쟁으로까지 확대된 정미의병은 1907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③ 오페르트 도굴 미수 사건

→ X(독일 상인 오페르트가 통상을 요구하며 흥선 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의 묘 도굴을 시도한 사건은 1868년에 일어났습니다)

④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체결

→ O(우리나라가 서양과 맺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인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은 1882년에 체결되었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