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계리직 한국사/2022

2022년 계리직 한국사 해설_16~18번

by 데일리히스토리 2022. 12. 3.
반응형

 

16. 다음 ‘시정방침’에 따른 통치가 이루어지던 시기에 일어난 대중운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통 경찰을 통해 제시된 ‘시정방침’에 따른 통치가 1920년대의 문화 통치임을 알 수 있다. 일제는 3·1 운동 이후 무단 통치의 한계를 인식하고, 통치 방식을 소위 문화 통치로 바꾸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헌병 경찰 제도를 보통 경찰 제도로 바꾸었지만 실제로는 경찰 인력이 더 증가하여 기만적인 통치였음을 알 수 있다.

 

① 전국적 규모의 노동자조직으로서 조선노동공제회가 결성되었다.

→ O(조선 노동 공제회가 결성된 것은 1920년의 일이다)

 

② 빈농을 주체로 한 토지혁명을 주장하는 농민조합운동이 일어났다.

→ X(토지 혁명 등을 주장한 농민 조합 운동은 1930년대에 일어났다)

 

③ 대중운동 전국적 조직화의 일환으로 조선청년총동맹이 결성되었다.

→ O(조선 청년 총동맹이 결성된 것은 1924년의 일이다)

 

④ 백정들이 신분에 대한 불만을 타파하고자 조선형평사를 설립하였다.

→ O(조선 형평사가 진주에 설립된 것은 1923년의 일이다)

 

정답 ②


17. (가)와 (나) 사이 시기의 사실로 옳은 것은?

(가) 1964년 굴욕적인 한일 회담에 반대하여 학생을 중심으로 6·3 시위가 일어났다.

 

(나) 학생과 시민의 시위에도 불구하고 1965년 6월 한일 기본 조약이 체결되었다.

 

① 정부는 계엄령을 선포하고 인민혁명당 사건을 조작, 발표하였다.

→ O(학생과 시민들의 한일 회담 반대 시위에 대해 박정희 정부는 인민혁명당 사건을 조작하여 탄압하였다)

 

② 베트남 전쟁에 대한 전투부대 파병동의안이 국회에서 통과되었다.

→ X(베트남 전쟁에 대한 전투 부대 파병 동의안이 국회를 통과한 것은 1965년 8월의 일이다)

 

③ 반공법과 데모규제법 제정을 추진하여 거센 반대운동을 불러왔다.

→ X(1961년 장면 정권이 반공법과 데모규제법 제정을 추진하자 거센 반대 운동이 일어났다)

 

④ 대통령이 각종 법의 효력을 정지시킬 수 있는 긴급조치가 발동되었다.

→ X(유신 체제 때 대통령이 각종 법의 효력을 정지시킬 수 있는 긴급 조치가 발동되었는데, 처음 발동된 것은 1974년의 일이다)

 

정답 ①


18. <보기>의 내용을 일어난 시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아름이의 작은 할아버지는 거제도 포로수용소에서 제3국행을 결정하여 아르헨티나로 갔다.

→ 1953년(6·25 전쟁 때 정전 회담에 반대하며 이승만 대통령은 회담의 쟁점이었던 거제도 포로수용소의 포로들을 석방시켰다)

 

ㄴ. 수지의 할아버지는 미군과 함께 인천에 상륙하여 서울 수복을 위해 진격하였다.

→ 1950년 9월(6·25 전쟁 초반 북한군에 밀리던 국군은 인천 상륙 작전의 성공으로 전세를 반전시켰다)

 

ㄷ. 지연이의 큰 고모부는 흥남 부두에서 가족들과 헤어져 메러디스 빅토리호를 타고 부산으로 향했다.

→ 1950년 12월(인천 상륙 작전 성공 이후 국군과 유엔군은 압록강까지 진격하였으나 중공군의 공세로 동북부 전선에서 작정 중이던 국군과 유엔군이 흥남항에서 대규모 철수 작전을 단행하였다)

 

정답 ③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