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계리직 한국사/2022

2022년 계리직 한국사 해설_11~15번

by 데일리히스토리 2022. 12. 3.
반응형

11. 밑줄 친 ( ) 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젊고 재능 있는 문신들을 교육하는 인재 양성 정책은 정조 때 실시한 초계문신제이고, 이를 담당한 기관은 규장각이다. 정조는 신진 인물이나 중하급 관리 중 유능한 인사를 재교육하는 초계문신제를 실시하였다.

 

① 학문 및 정책 연구를 위하여 경복궁 안에 설치되었다.

→ X(규장각은 창덕궁 안에 설치되었다)

 

② 왕명 출납 등 국왕 측근에서 비서실의 기능을 하였다.

→ X(왕명 출납 등을 담당한 기구는 승정원이다)

 

③ 정책을 비판하는 삼사의 하나로 국왕의 자문에 응하였다.

→ X(삼사 중 하나로 국왕의 자문에 응한 기관은 홍문관이다)

 

④ 창덕궁 후원에 설치되어 수만 권의 서적을 보관하였다.

→ O(규장각은 창덕궁 후원에 설치되어 본래는 역대 왕의 글, 책을 수집·보관하기 위한 왕실 도서관의 역할을 하였다. 이후 비서실 기능, 문한 기능, 과거 시험 주관, 문신 교육 임무까지 담당하였다)

 

정답 ④


12. 다음의 작품이 제작된 시기의 문학과 예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제시된 작품은 조선 후기에 활약한 김홍도의 씨름도와 들밥이다. 조선 후기에는 김홍도, 신윤복, 김득신 등의 풍속화가가 활약하였다.

 

① 중국의 남종문인화를 우리의 자연에 맞추어 토착화하는 화풍이 발생하였다.

→ O(조선 후기에는 중국의 남종문인화를 우리 자연에 맞추어 토착화한 화풍이 진경산수화가 발생하였다)

 

② 『촌담해이』, 『필원잡기』 등 일정한 격식 없이 세상에 떠도는 이야기를 기록한 패설작품이 창작되었다.

→ X(『촌담해이』는 조선 전기 강희맹이 편찬한 소담집이고, 『필원잡기』는 조선 전기 서거정이 편찬한 수필집이다)

 

③ 서양식 화법이 도입되어 원근법을 사용하거나 인물의 측면을 묘사하는 그림이 등장하였다.

→ O(조선 후기에는 서양식 화법이 도입되어 원근법 등이 사용되었는데, 대표적으로 강세황의 영통동구도가 있다)

 

④ 양반 사회를 비판하는 「양반전」, 「허생전」, 「호질」 등의 한문 소설이 지어졌다.

→ O(조선 후기에는 양반 사회를 비판하는 한문 소설이 지어졌다)

 

정답 ②


13. 다음에서 ( ㉠ )과 ( ㉡ )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조선 전기에 꽃과 나무를 다룬 서적으로는 강희안의 『양화소록』이 있다.

 

① 강희안 『양화소록』

→ O(강희안은 『양화소록』에서 꽃과 나무의 재배와 이용에 관해 서술하였다)

 

② 양성지 『농잠서』

→ X(조선 전기에 양성지는 양잠에 관한 내용을 『농잠서』로 정리하였다)

 

③ 강희맹 『금양잡록』

→ X(조선 전기에 강희맹은 지금의 경기도 시흥인 금양현에서 직접 농사 지은 경험을 바탕으로 『금양잡록』을 편찬하였다)

 

④ 신속 『농가집성』

→ X(조선 후기에 신속은 벼농사 중심의 농법을 소개한 『농가집성』을 편찬하였다)

 

정답 ①


14. <보기>의 궁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석조전을 통해 <보기>의 궁궐이 덕수궁임을 알 수 있다. 덕수궁 석조전은 1910년에 축조된 르네상스식 건물이다.

 

① 도성의 동쪽에 위치하여 동궐이라 불리기도 하였다.

→ X(동궐이라 불린 궁궐은 창덕궁, 창경궁이다)

 

② 전통 정원 조경의 자연미와 인공미가 조화를 이룬 후원이 유명하다.

→ X(전통 정원 조경의 자연미와 인공미가 조화를 이룬 후원이 유명한 궁궐은 창덕궁이다)

 

③ 흥선대원군의 왕권강화에 대한 강력한 의지에 따라 크게 중건되었다.

→ X(흥선 대원군이 왕권 강화를 위해 임진왜란 때 불 탄 경복궁을 중건하였다)

 

④ 아관파천 이후 고종이 옮겨와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광무개혁을 실시하였다.

→ O(아관파천 이후 고종은 덕수궁으로 가서 대한 제국을 선포하고 광무개혁을 실시하였다)

 

정답 ④


15. 다음 정책의 결과로 옳지 않은 것은?

식량 생산을 대폭 늘린 정책은 산미 증식 계획이다. 일제는 자국의 식량이 부족해지자 이를 메꾸기 위해 한반도에서 산미 증식 계획을 실시하였다.

 

① 조선인 자작농이 감소하고 소작농이 급증하였다.

→ O(산미 증식 계획을 시행할 때 과도한 수리 조합비 등의 부담으로 농민이 몰락하는 경우가 많았다)

 

② 미(米) 단작화로 경제구조의 파행성이 심화되었다.

→ O(산미 증식 계획으로 쌀 중심의 단작형 농업 구조가 형성되어 만성적인 농촌 공황이 초래되었다)

 

③ 전국 토지의 토지대장, 지적도, 등기부가 작성되었다.

→ X(전국 토지의 토지 대장, 지적도, 등기부가 작성된 것은 토지 조사 사업 때의 일이다)

 

④ 식량 부족분을 해결하기 위해 만주산 좁쌀 등이 수입되었다.

→ O(산미 증식 계획으로 늘어난 생산량보다 더 많은 쌀을 일본이 수탈하여 식량이 부족해지자 만주에서 잡곡이 수입되었다)

 

정답 ③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