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계리직 한국사/2022

2022년 계리직 한국사 해설_1~5번

by 데일리히스토리 2022. 12. 3.
반응형

1. 밑줄 친 ( )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우역을 통해 신라 소지 마립간에 대해 묻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소지 마립간은 국가 공문서를 전달하기 위해 사방에 우역을 설치하였다.

 

① 처음으로 수도에 시장을 열어 사방의 물자를 유통시켰다.

 소지 마립간(소지 마립간 때 사방의 물화가 유통될 수 있도록 경주에 시사(시장)를 열었다)

 

② 중앙관서를 22부로 정비하고 수도를 5부로 편제하였다.

 성왕(중앙 관서를 22부로 정비하고 수도를 5부로 편제한 것은 백제 성왕 때의 일이다)

 

③ 우산국으로 불리던 울릉도를 정복하여 영토로 편입하였다.

 지증왕(이사부를 파견하여 우산국으로 불리던 울릉도를 정복한 왕은 신라 지증왕이다)

 

④ 9주와 5소경을 설치하여 지방행정을 새롭게 정비하였다.

 신문왕(전국에 9주 5소경을 설치하여 지방 행정을 정비한 왕은 통일 신라 신문왕이다)

 

정답 ①


2. 삼국시대 고분 중 벽화가 남아 있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호우총

 X(신라 호우총은 돌무지덧널무덤으로 벽화가 있을 수 없는 구조이다. 여기에서는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를 알 수 있는 호우명 그릇이 발견되었다)

 

ㄴ. 쌍영총

 O(고구려 쌍영총은 굴식 돌방무덤으로, 풍속도 등이 그려져 있다)

 

ㄷ. 무용총

 O(고구려 무용총은 굴식 돌방무덤으로, 무용도, 수렵도 등이 그려져 있다)

 

ㄹ. 각저총

 O(고구려 각저총은 굴식 돌방무덤으로, 씨름도가 그려져 있다)

 

ㅁ. 천마총

 X(신라 천마총은 돌무지 덧널무덤이다.여기에서 발견된 천마도는 마구에 그려진 것으로, 벽화가 아니다)

 

정답 ③


3. (가)와 (나) 사이 시기 신라에서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가) 안동도호부는 668년에 설치되었다. 고구려를 멸망한 후 당은 고구려 지역을 관리한다는 명목 하에 안동도호부를 설치하였다.

 

(나) 대조영이 발해를 건국한 것은 698년의 일이다.

 

① 일반 백성들에게 정전을 지급하였다.

 X(통일 신라 성덕왕이 일반 백성에게 정전을 지급한 것은 722년의 일이다)

 

② 관리 채용을 위한 시험제도로 독서삼품과를 실시하였다.

 X(통일 신라 원성왕이 독서삼품과를 실시한 것은 788년의 일이다)

 

③ 유교 교육을 진흥시키기 위해 국학을 설치하였다.

 O(통일 신라 신문왕이 유교 교육 진흥을 위해 국학을 설치한 것은 682년의 일이다)

 

④ 관료전을 폐지하고 녹읍을 부활하였다.

 X(통일 신라 경덕왕은 관료전을 폐지하고 녹읍을 부활한 것은 757년의 일이다)

 

정답 ③


4. 후삼국 통일 과정에 있었던 사건의 순서를 옳게 나열한 것은?

ㄱ. 완산주에 도읍을 정하고 후백제를 건국하였다.

 900년(견훤이 완산주에 도읍을 정하고 후백제를 건국한 것은 900년의 일이다)

 

ㄴ. 국호를 태봉, 연호를 수덕만세로 정하였다.

 911년(후고구려의 궁예가 국호를 태봉으로 바꾸고, 연호를 수덕만세로 정한 것은 911년의 일이다)

 

ㄷ. 금성이 함락되고 경애왕이 사망하였다.

 927년(견훤이 이끄는 후백제군의 침입으로 신라의 수도인 금성이 함락되고 경애왕이 사망한 것은 927년의 일이다)

 

ㄹ. 왕건이 궁예를 몰아내고 즉위하였다.

 918년(왕건이 궁예를 몰아내고 즉위하여 고려를 세운 것은 918년의 일이다)

 

정답 ②


5. 밑줄 친 ( ) 제도를 개혁한 인물들로 옳은 것은?

토지를 문무백과에게 과에 따라 주고, 초채지도 주었다는 것을 통해 밑줄 친 ( ) 제도가 전시과임을 알 수 있다. 고구려 전시과는 관리의 등급을 나누어 지급한 토지로, 여기에는 식량을 얻을 수 있는 전지, 땔감을 얻을 수 있는 시지가 있었다.

 

① 조준, 정도전

 O(혁명파 사대부에 속했던 조준, 정도전은 전시과 제도를 개혁하고 새롭게 과전법을 마련하였다)

 

② 정도전, 이색

 X(이색은 고려를 유지하고자 한 온건파 사대부로, 전면적인 토지 개혁에 반대하였다)

 

③ 이색, 정몽주

 X(이색, 정몽주 모두 온건파 사대부이다)

 

④ 조준, 이인임

 X(이인임은 권문세족이었다)

 

정답 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