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도교를 번성하게 한다는 것을 통해 밑줄 친 ‘그’가 고구려 연개소문임을 알 수 있습니다. 보장왕 때 연개소문은 왕실을 견제하기 위해 왕실과 연결된 불교를 억압하고 도교를 장려하였습니다.
① 당나라와 동맹을 체결하였다.
→ 김춘추(고구려와 동맹 체결에 실패한 후 당과 동맹을 체결한 인물은 신라 김춘추입니다)
② 천리장성의 축조를 맡아 수행하였다.
→ 연개소문(고구려는 당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천리장성을 축조하였는데, 이때 축조 감독자가 연개소문이었습니다)
③ 수나라의 군대를 살수에서 격퇴하였다.
→ 을지문덕(살수대첩에서 수의 군대를 격퇴한 인물은 고구려 을지문덕입니다)
④ 남진 정책을 추진하여 한성을 점령하였다.
→ 장수왕(남진 정책을 추진하여 백제의 수도인 한성을 점령한 인물은 고구려 장수왕입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7.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세속 5계를 통해 (가) 인물이 신라 원광임을 알 수 있습니다. 세속 5계는 신라 화랑도의 행동 규범으로, 진평왕 때 승려 원광이 유교·불교 등의 교리를 내포하여 만들었습니다.
① 모든 것이 한마음에서 나온다는 일심 사상을 제시하였다.
→ 원효(모든 것이 한마음에서 나온다는 일심 사상을 바탕으로 종파 융합에 기여한 인물은 통일 신라의 원효입니다)
② 화엄 사상을 연구하여 화엄일승법계도를 작성하였다.
→ 의상(신라에서 화엄일승법계도를 저술하여 모든 존재가 상호 의존적인 관계에 있으면서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화엄 사상을 정립한 인물은 통일 신라의 의상입니다)
③ 왕에게 수나라에 군사를 청하는 글을 지어 바쳤다.
→ 원광(고구려가 신라 땅을 침범하자 신라 진평왕에게 수에 고구려 원정을 청하는 걸사표를 지어 바친 인물은 원광입니다)
④ 인도를 여행하여 『왕오천축국전』을 썼다.
→ 혜초(당, 인도, 중앙아시아를 순례하고 기행문인 『왕오천축국전』을 저술한 인물은 통일 신라의 혜초입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8. (가), (나)에 들어갈 이름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가) 『북학의』를 저술한 인물은 박제가입니다. 박제가는 『북학의』에서 청과의 통상 강화, 수레와 선박의 이용 등을 강조하였는데, 특히 생산과 소비의 관계를 우물에 비유하며 절약보다 소비를 권장하였습니다.
(나) 『해동역사』를 저술한 인물은 한치윤입니다. 한치윤은 중국 및 일본 자료를 참고하여 단군 조선부터 고려까지의 역사를 기전체로 서술한 『해동역사』를 편찬하였습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9. 다음 사건을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라) 이자겸이 척준경과 더불어 난을 일으켰다.
→ 1126년(이자겸이 척준경과 함께 난을 일으킨 것은 1126년의 일입니다)
(가) 정중부와 이의방이 정변을 일으켰다.
→ 1170년(정중부, 이의방, 이고 등의 무신들이 정변을 일으킨 것은 1170년의 일입니다)
(나) 최충헌이 이의민을 제거하고 권력을 잡았다.
→ 1196년(이의민을 제거하고 최충헌이 권력을 잡은 것은 1196년의 일입니다)
(다) 충주성에서 천민들이 몽골군에 맞서 싸웠다.
→ 1252년(몽골의 제5차 침입(1252) 때 김윤후와 함께 충주성의 천민들이 몽골에 대항하여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시기 순으로 나열하면 (라) → (가) → (나) → (다)로, 정답은 ③입니다.
10. (가)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수덕이 순조로워 대업을 만대에 전할 땅, 왕이 100일 이상 머물러서 나라를 안녕케 하라 등을 통해 (가) 지역이 서경(평양)임을 알 수 있습니다. 제시문은 고려 태조 왕건의 훈요 10조 중 일부입니다. 해당 내용은 훈요 10조 중 제5조의 내용으로, 서경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① 이곳에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재조대장경을 만들었다.
→ 강화(대장도감을 설치하고 화엄종의 승통이었던 수기가 총괄하여 재조대장경을 만든 곳은 강화도입니다)
② 지눌이 이곳에서 수선사 결사 운동을 펼쳤다.
→ 순천(지눌이 수선사 결사 운동을 전개한 곳은 순천 송광사입니다)
③ 망이·망소이가 이곳에서 봉기하였다.
→ 공주(망이·망소이가 신분 해방을 주장하며 봉기한 곳은 공주 명학소입니다)
④ 몽골이 이곳에 동녕부를 두었다.
→ 서경(몽골은 자비령 이북 지역을 통치하기 위해 서경에 동녕부를 설치하였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지방직 한국사 > 202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16~20번 풀이 (0) | 2023.01.10 |
---|---|
2021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11~15번 풀이 (0) | 2023.01.10 |
2021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1~5번 풀이 (0) | 2023.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