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방직 한국사/2021

2021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11~15번 풀이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1. 10.
반응형

 

11. 다음 내용의 역사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중국 역사에 대해 잘 말하는 사람은 있으나 우리나라에 대해서는 잘 모름, 삼국의 역사를 통해 제시문의 역사서가 『삼국사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 김부식은 『삼국사기』를 편찬하여 우리의 역사를 제대로 알리고 정치적 교훈으로 삼고자 하였습니다.

① 불교를 중심으로 신화와 설화를 정리하였다.

→ 『삼국유사』(불교를 중심으로 신화와 설화를 정리한 역사서는 일연의 『삼국유사』입니다)

② 유교적인 합리주의 사관에 따라 기전체로 서술되었다.

→ 『삼국사기』(김부식은 고려 초의 『구삼국사』를 기본으로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에 기초하여 기전체로 『삼국사기』를 편찬하였습니다)

③ 단군조선을 우리 역사의 시작으로 본 통사이다.

→ 『동국통감』(단군 조선을 우리 역사의 시작으로 하여 고려 말까지를 다룬 역사서로는 서거정 등이 편찬한 『동국통감』이 대표적입니다)

④ 진흥왕의 명을 받아 거칠부가 편찬하였다.

→ 『국사』(신라 진흥왕의 명을 받아 거칠부가 편찬한 역사서는 『국사』입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12. 밑줄 친 ‘이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문무왕에 이어 즉위한 왕을 통해 밑줄 친 ‘이 왕’이 통일 신라 신문왕임을 알 수 있습니다. 신문왕은 문무왕의 아들로, 문무왕 때 창건하기 시작한 감은사의 공사를 마무리하였습니다. 

① 건원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 법흥왕(건원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한 왕은 신라 법흥왕입니다)

② 국학을 설립하여 유학을 교육하였다.

→ 신문왕(유교 정치 이념을 확립하기 위해 국학을 설립한 왕은 통일 신라 신문왕입니다)

③ 백성에게 처음으로 정전을 지급하였다.

→ 성덕왕(백성들에게 처음으로 정전을 지급한 왕은 통일 신라 성덕왕입니다)

④ 진골 출신으로서 처음 왕위에 올랐다.

→ 무열왕(진골 출신으로 처음 왕위에 오른 왕은 통일 신라 (태종)무열왕입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13. 밑줄 친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초계문신제, 서얼 출신 인사의 규장각 검서관 등용을 통해 밑줄 친 ‘왕’이 조선 정조임을 알 수 있습니다. 정조는 신진 인물들 중 유능한 인사를 재교육하는 초계문신제를 시행하였고, 강력한 정치 기구를 육성하기 위해 규장각을 설치하였는데, 규장각 검서관에 박제가, 유득공, 이덕무 등의 서얼들을 등용하였습니다. 

① 동학이 창시되었다.

→ 철종(최제우가 동학을 창시한 것은 조선 철종 때의 일입니다)

② 『대전회통』이 편찬되었다.

→ 고종(조선의 법전을 정리한 『대전회통』을 편찬한 왕은 조선 고종입니다)

③ 신해통공이 시행되었다.

→ 정조(정조는 신해통공을 반포하여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의 금난전권을 폐지하였습니다)

④ 홍경래의 난이 발생하였다.

→ 순조(평안도 지역에서 홍경래의 난이 발생한 것은 조선 순조 때의 일입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14.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고종의 아버지를 통해 (가) 인물이 흥선 대원군임을 알 수 있습니다. 철종의 뒤를 이어 고종이 어린 나이로 즉위하자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 대원군이 실권을 장악하였습니다.

① 대한국국제를 만들어 공포하였다.

→ 고종(광무개혁 때 전제 군주권을 강조한 대한국 국제를 공포한 인물은 고종입니다)

② 서원을 대폭 줄이는 정책을 추진하였다.

→ 흥선 대원군(서원을 대폭 줄여 지방에 대한 국가 통제력을 강화하고자 한 인물은 흥선 대원군입니다)

③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을 이용해 정변을 일으켰다.

→ 김옥균 등(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을 이용해 갑신정변을 일으킨 인물은 김옥균 등 급진 개화파입니다)

④ 황쭌셴의 『조선책략』을 가져와 널리 유포하였다.

→ 김홍집(러시아를 막기 위해 미국 등과 연결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황쭌셴의 『조선책략』을 들여온 인물은 제2차 수신사로 일본에 파견되었던 김홍집입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15. (가) 단체의 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구미 위원부 설치를 통해 (가) 단체가 대한민국 임시 정부임을 알 수 있습니다. 3·1 운동 이후 독립운동을 조직적으로 전개할 필요성이 높아졌고, 이에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습니다. 구미 위원부는 이승만이 워싱턴에 설치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외교 사무소였습니다. 

① 대동단결선언을 발표하였다.

→ 신한 혁명당(국민 주권과 공화주의를 내세우며 대동 단결 선언을 발표한 단체는 신한 혁명당입니다)

② 국내와의 연락을 위해 교통국을 두었다.

→ 대한민국 임시 정부(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통신 기관인 교통국을 설치하여 국내외의 연락을 담당하도록 하였습니다)

③ 독립군을 양성하기 위해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하였다.

→ 신민회(독립군을 양성하기 위해 만주에 삼원보 등 독립운동 기지를 건설하고, 독립군을 양성하기 위해 신흥 강습소(이후 신흥 무관 학교로 개편)를 설립한 단체는 신민회입니다)

④ 조선혁명선언을 강령으로 삼아 의열투쟁을 전개하였다.

→ 의열단(신채호가 작성한 조선 혁명 선언을 강령으로 삼아 의열 투쟁을 전개한 단체는 의열단입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