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에 해당하는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영고, 흰색 숭상을 통해 해당하는 나라가 부여임을 알 수 있습니다. 부여는 수렵 사회의 전통을 보여 주는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1월에 개최하였습니다. 한편 부여 사람들은 흰 옷을 좋아하고 은력을 사용하였습니다.
① 사람이 죽으면 뼈만 추려 가족 공동 무덤인 목곽에 안치하였다.
→ 옥저(가족이 죽으면 시체를 가매장하였다가 나중에 그 뼈를 추려서 가족 공동 무덤인 커다란 목곽에 안치한 나라는 옥저입니다)
② 읍군이나 삼로라고 불린 군장이 자기 영역을 다스렸다.
→ 옥저·동예(읍군, 삼로 등의 군장이 부족을 통치하는 군장 국가는 옥저와 동예입니다)
③ 가축 이름을 딴 마가, 우가, 저가, 구가 등이 있었다.
→ 부여(왕 아래에 가축 이름을 딴 마가, 우가, 저가, 구가 등이 사출도라는 행정 구획을 통치한 나라는 부여입니다)
④ 천신을 섬기는 제사장인 천군이 있었다.
→ 삼한(천신을 섬기고 신성 지역인 소도에서 의례를 주관한 천군이 있었던 나라는 삼한입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2. (가)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수로를 통해 (가) 나라가 (금관)가야임을 알 수 있습니다. 제시문은 가야 건국 설화에 대한 것인데, 김수로는 김해 지역에서 금관가야를 건국하였습니다. 당시 가야는 6가야의 연맹이었는데, 이는 제시문의 알 여섯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① 해상 교역을 통해 우수한 철을 수출하였다.
→ 가야(철이 풍부하게 생산되던 가야는 해상 교역을 통해 이를 수출하였습니다)
② 박, 석, 김씨가 교대로 왕위를 계승하였다.
→ 신라(박, 석, 김씨의 3성이 교대로 왕위를 계승한 나라는 신라입니다)
③ 경당을 설치하여 학문과 무예를 가르쳤다.
→ 고구려(지방의 사설 교육 기관으로 경당을 설치하여 학문과 무예를 가르친 나라는 고구려입니다)
④ 정사암 회의를 통해 재상을 선발하였다.
→ 백제(정사암 회의에서 재상격인 상좌평 또는 내신좌평을 선출한 나라는 백제입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3. (가)에 들어갈 기구로 옳은 것은?

고려 시대, 도병마사, 제도와 격식을 만들었다는 것을 통해 (가) 기구가 식목도감임을 알 수 있습니다.
① 삼사
→ 고려 시대에 삼사는 화폐와 곡식의 출납에 대한 회계를 담당하였습니다.
② 상서성
→ 고려 시대에 상서성은 상서도성과 6부를 두고 정책 집행을 담당하였습니다.
③ 어사대
→ 고려 시대의 어사대는 관료를 감찰하는 임무와 서경의 역할을 수행하였습니다.
④ 식목도감
→ 도병마사와 식목도감은 고려 시대의 독자적인 기구로, 이중 식목도감은 재신과 추밀이 모여 제도와 격식 등을 다루던 일종의 입법 기관이었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4.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발해를 멸망시켰다는 것을 통해 (가)가 거란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발해는 거란의 침입으로 멸망하였습니다. 이에 고려 태조는 거란을 멸망시킨 나라라 하여 배척하였습니다.
① 강조의 정변을 구실로 고려를 침략하였다.
→ 거란(고려 현종 때 거란 성종은 강조의 정변을 구실로 강동 6주를 넘겨줄 것을 요구하며 제2차 침입을 강행하였다)
② 고려에 동북 9성을 돌려달라고 요구하였다.
→ 여진(고려 예종 때 윤관 등이 별무반을 이끌고 여진족을 토벌한 후 동북 지방 일대에 9성을 축조하였는데, 이후 여진은 동북 9성을 돌려달라고 요구하였습니다. 이에 고려는 거란에 대한 방어의 압박과 어려움으로 둥북 9성을 여진에 돌려주고 철수하였습니다)
③ 다루가치를 배치하여 고려의 내정을 간섭하였다.
→ 몽골(몽골은 고려에 침입한 후 내정 간섭 및 공물 징수를 감독하는 다루가치를 배치하여 고려의 내정은 간섭하였습니다)
④ 쌍성총관부를 두어 철령 이북의 땅을 지배하였다.
→ 몽골(원은 철령 이북 지역을 직접 지배하기 위해 쌍성총관부를 설치하였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5. (가)에 들어갈 기구로 옳은 것은?

사간원, 시정 논함, 관원 규찰 등을 통해 (가) 기구가 사헌부임을 알 수 있습니다.
① 사헌부
→ 조선 시대에 사헌부와 사간원은 양사로서, 5품 이하 관리 임명 때 서경권을 행사하였습니다. 이중 사헌부는 관리의 비리를 감찰하였습니다.
② 교서관
→ 조선 시대에 교서관은 경적의 간행과 제사 때 쓰이는 향, 도장 등을 관장하였습니다.
③ 승문원
→ 조선 시대에 승문원은 외교 문서 작성을 담당하였습니다.
④ 승정원
→ 조선 시대에 승정원은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는 국왕의 비서 기구였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지방직 한국사 > 202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16~20번 풀이 (0) | 2023.01.10 |
---|---|
2021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11~15번 풀이 (0) | 2023.01.10 |
2021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6~10번 풀이 (0) | 2023.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