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방직 한국사/2021

2021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16~20번 풀이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1. 10.
반응형

 

16. (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제너럴셔먼호 사건은 1866년신미양요는 1871년으로, (가)는 1866~1871년 사이의 사실을 고르면 됩니다.

① 고종이 홍범 14조를 발표하였다.

→ 1895년(고종이 제2차 갑오개혁을 추진하기에 앞서 홍범 14조를 발표한 것은 1895년의 일입니다)

② 일본의 운요호가 초지진을 포격하였다.

→ 1875년(일본이 조선의 문호를 개방하기 위해 운요호를 보내 초지진을 포격한 것은 1875년의 일입니다)

③ 오페르트가 남연군의 묘 도굴을 시도하였다.

→ 1868년(독일 상인 오페르트가 조선과의 통상을 요구하며 남연군 묘 도굴을 시도한 것은 1868년의 일입니다)

④ 차별 대우에 불만을 품은 군인이 임오군란을 일으켰다.

→ 1882년(별기군 설치 이후 차별 대우에 불만을 품은 군인이 임오군란을 일으킨 것은 1882년의 일입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17. 밑줄 친 ‘이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사회주의 세력과 연대, 정우회 선언, 1927년을 통해 밑줄 친 ‘이 단체’가 신간회임을 알 수 있습니다. 사회주의 단체인 정우회가 비타협적 민족주의 세력과의 연대를 요구하며 정우회 선언을 발표하였고, 이는 1927년 신간회 설립의 계기가 되었습니다.

① 조선물산장려회를 조직해 물산장려운동을 펼쳤다.

→ 물산 장려회(조만식 등의 민족 자본가를 중심으로 평양에서 물산 장려회를 조직하였는데, 이후 종교계와 교육계 인사 등을 규합하여 전국 조직인 조선 물산 장려회롤 발전하였습니다. 조선 물산 장려회는 물산 장려 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② 고등 교육 기관을 설립하기 위해 민립대학설립운동을 시작하였다.

→ 조선 교육회(고등 교육 기관 설립을 위해 민립 대학 설립 운동을 시작한 단체는 조선 교육회입니다)

③ 문맹 퇴치와 미신 타파를 목적으로 브나로드 운동을 전개하였다.

→ 동아일보(브나로드 운동은 언론 기관인 동아일보가 전개한 농촌 계몽 운동이었습니다)

④ 광주학생항일운동의 진상을 조사하고 이를 알리는 대회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 신간회(신간회는 광주 학생 항일 운동에 대한 진상 조사단을 파견하였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18. 다음과 같은 내용이 담긴 조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통감의 외교 관리를 통해 제시된 내용이 담긴 조약이 을사늑약(제2차 한·일 협약)임을 알 수 있습니다. 러·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일방적으로 을사늑약 체결을 강요하였습니다. 

① 조선총독부를 설치한다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

→ 한·일 합병 조약(통감부를 조선 총독부로 개편한다는 내용이 담긴 조약은 한·일 합병 조약입니다)

② 헤이그 특사 사건 직후 일제의 강요로 체결되었다.

→ 한·일 신협약(을사늑약에 반발하여 고종은 만국 평화 회의가 열리던 헤이그에 특사를 파견하였다. 이를 계기로 일제는 고종의 강제 퇴위를 강요하였고, 이후 즉위한 순종에게 한·일 신협약 체결을 강요하였습니다)

③ 방곡령 시행 전에 미리 통보해야 한다는 합의가 실려 있다.

→ 조·일 통상 장정(방곡령 시행 한 달 전에 미리 통보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긴 조약은 1883년에 개정된 조·일 통상 장정입니다)

④ 일본의 중재 없이 국제적 성격을 가진 조약을 체결할 수 없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 을사늑약(을사늑약을 통해 통감부가 설치되고 대한 제국의 외교권이 박탈되었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19.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미국과 소련이 개최, 민주주의 임시 정부 수립 문제 논의를 통해 (가)가 미·소 공동 위원회임을 알 수 있습니다.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에서 결정된 사항을 논의하기 위해 미국과 소련은 미·소 공동 위원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여기에서는 민주주의 임시 정부 수립 등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① 미·소 양측의 의견 차이로 결렬되었다.

→ 미·소 공동 위원회(두 차례에 걸쳐 열린 미·소 공동 위원회는 미국과 소련의 의견 차이로 결렬되었습니다)

② 조선건국준비위원회를 조직하는 성과를 냈다.

→ 조선 건국 동맹(여운형을 중심으로 조직된 조선 건국 동맹은 광복 이후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로 개편되었습니다)

③ 민주 공화제를 핵심으로 한 제헌헌법을 만들었다.

→ 제헌 의회(민주 공화제를 핵심으로 한 제헌 헌법은 5·10 총선거로 조직된 제헌 의회에서 만든 것입니다)

④ 유엔 감시하의 총선거로 정부를 수립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 유엔 소총회(유엔 결정에 따라 총선거 실시를 위해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이 입국하였습니다. 그러나 소련의 거부로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의 북한 방문이 어려웠고, 결국 유엔 소총회는 남한에서만의 단독 총선거 실시에 따른 정부 수립을 결정하였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20. (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4·19 혁명은 1960년유신 헌법 공포는 1972년의 일입니다. 그러므로 1960~1972년 사이의 사실을 고르면 됩니다. 

① 반민족행위처벌법이 제정되다.

→ 1948년(반민족 행위 처벌법은 1948년 9월에 제정되었습니다)

② 7·4 남북 공동 성명이 발표되다.

→ 1972년(박정희 정부 때 7·4 남북 공동 성명이 발표되었는데, 이는 남북의 독재권 강화에 이용되었습니다. 이후 박정희 정부는 유신 헌법을 공포하였습니다)

③ 남북한이 유엔에 동시 가입하다.

→ 1991년(남북한의 유엔 동시 가입은 노태우 정부 때인 1991년의 일입니다)

④ 5·18 민주화 운동이 일어나다.

→ 1980년(신군부의 비상계엄의 전국 확대에 반발하여 1980년 광주에서 5·18 민주화 운동이 일어났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반응형

댓글